경찰은 그들을 사람으로 보지 않았다 / 이시영
경찰은 그들을 적으로 생각하였다. 20일 오전 5시 30분, 한강로 일대 5차선 도로의 교통이 전면 통제되었다. 경찰 병력 20개 중대 1600명과 서울지방경찰청 소속 대테러 담당 경찰특공대 49명, 그리고 살수차 4대가 배치되었다. 경찰은 처음부터 철거민을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한강로 2가 재개발 지역의 철거 예정 5층 상가 건물 옥상에 컨테이너 박스 등으로 망루를 설치하고 농성중인 세입자 철거민 50여명도 경찰을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대신 최후의 자위책으로 화염병과 염산병 그리고 시너 60여통을 옥상에 확보했다. 6시 5분, 경찰이 건물 1층으로 진입을 시도하자 곧바로 화염병이 투척되었다. 6시 10분, 살수차가 건물 옥상을 향해 거센 물대포를 쏘았다. 경찰은 쥐처럼 물에 흠뻑 젖은 시민을 중요 범죄자나 테러범으로 생각하는 듯했다. 6시 45분, 경찰특공대원 13명이 기중기로 끌어올려진 컨테이너를 타고 옥상에 투입되었다. 이때 컨테이너가 망루에 거세게 부딪쳤고 철거민들이 던진 화염병이 물대포를 갈랐다. 7시 10분, 망루에서 첫 화재가 발생했다. 7시 20분, 특공대원 10명이 추가로 옥상에 투입되었다. 7시 26분, 특공대원들이 망루 1단에 진입하자 농성자들이 위층으로 올라가 격렬히 저항했고 이때 내부에서 벌건 불길이 새어나오기 시작했으며 큰 폭발음과 함께 망루 전체가 화염에 휩싸였다. 물대포로 인해 옥상 바닥엔 발목까지 빠질 정도로 물이 흥건했고 그 위를 가벼운 시너가 떠다니고 있었다. 이때 불길 속에서 뛰쳐나온 농성자 3, 4명이 연기를 피해 옥상 난간에 매달려 살려달라고 외쳤으나 아무도 그들을 돌아보지 않았다. 그들은 결국 매트리스도 없는 차가운 길바닥 위로 떨어졌다. 이날의 투입 작전은 경찰 한명을 포함, 여섯 구의 숯처럼 까맣게 탄 시신을 망루 안에 남긴 채 끝났으나 애초에 경찰은 철거민을 사람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며 철거민 또한 그들을 전혀 자신의 경찰로 여기지 않았다.
경찰은 그들을 사람으로 보지 않았다
nefing.com
박재삼문학상운영위원회는 11일 제1회 박재삼문학상 수상자로 이시영(사진) 시인을 선정했다. 수상작은 시집 '경찰은 그들을 사람으로 보지 않았다'(창비).
심사위원회(위원장 신경림)는 "이시영 시의 비범성은 언어의 밀도가 여백에 의해 더욱 꽉 조여진 듯 느껴지는 데서 두드러진다"면서 "서정시가 갖는 본연의 정서와 미감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현실적인 문제를 간과하지 않고 떠올려 우리 시대의 진실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점을 높이 샀다"고 평했다.
박재삼문학상과 함께 제정된 제1회 박재삼사천문학상 수상자로는 김륭 시인이 선정됐다.
이 상은 지난 한 해 동안 경남지역 문예지에 발표된 작품을 대상으로 등단 10년 미만 시인에게 주는 작품상이다.
박재삼문학상은 경남 사천 출신 시인 박재삼(1933~1997)의 문학정신을 기려 제정됐으며 상금 1천만 원과 상패를 시상한다. 박재삼사천문학상은 상금 500만 원과 상패를 준다.
시상식은 박재삼문학제 기간인 6월 9일 경남 사천시 서금동 소재 노산공원 내 박재삼문학관에서 열린다.
박재삼 문학상 2012 제1회 수상작품집
nefing.com
지난 1월 사천시와 지역문인들이 중심이 돼 제정한 '제1회 박재삼문학상' 수상작품들을 모았다. 영예의 수상자는 〈경찰은 그들을 사람으로 보지 않았다〉의 이시영 시인이 차지했으며, 강은교·이홍섭·조용미 시인 등이 우수 후보작에 이름을 올렸다. 함께 제정된 '박재삼사천문학상'은 〈삐뽀삐뽀 눈물이 달려온다〉 등을 펴낸 진주 출신의 김륭 시인이 수상했다.
사천에서 태어난 박재삼(1933~1997) 시인은 삶의 체험과 감정의 절제를 자연과 깊이 있는 교감을 통해 표현해 한국 문단에 큰 획을 그은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작품집에는 이시영 시인의 수상 시집 대표작 8편 등이 담겼다. 문학평론가 류신은 이시영 작품론을 통해 "그의 시세계는 여덟 모로 엷게 각이 지면서 맵시 있게 마무리된 북악산 팔각정의 단아한 지붕을 연상시킨다"며 위트, 인간미, 멜랑콜리 등을 그 여덟 개의 꼭짓점으로 들었다. 200쪽, 실천문학, 1만 원.
'국내 문학상 > 박재삼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회 박재삼문학상 / 이홍섭 (0) | 2021.07.18 |
---|---|
제5회 박재삼문학상 / 이정록 (0) | 2021.07.18 |
제4회 박재삼문학상 / 고영민 (0) | 2021.07.18 |
제3회 박재삼문학상 / 이문재 (0) | 2021.07.18 |
제2회 박재삼문학상 / 이상국 (0) | 2021.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