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무 / 김영욱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다리헤기로 밤새우는 도깨비를 닮았나,
소리기생 화초기생 수기생의 눈치 보며
수발드는 춤꾼은 사내
길거리에서 죽은 귀신 불러내라,
달 밝은 밤에 부푼 치마 속에는
한 다리 두 다리 세 다리
어기적어기적 걸음마부터 바라춤을 흉내 내는
한둘은 암놈, 서이 너이는 수놈,
버선코가 닳도록 도드리로 놀아보자,
사다리 오다리 넉장다리 외다리
신라귀신도 나오너라,
허튼 가락이 오장육부 건드려
몸짓은 몸부림 되고 호흡은 인불이 되고
가위 눌린 뼈다귀도 허옇게 떠오르는
달 밝은 밤에 신라의 밤에
반월성 무너진 다리 아래
흐르는 물소리가 후들후들 떨렸나,
역신(疫神)이 죽음을 넘보려
그림자를 달아놓았다는
이 다리도 저 다리도 헛다리라,
물밑에서 그 다리 열릴 적에
처용아, 어느 탈에 외로움을 숨겼기에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 휘영청
네온이 밝은 밤에 어기적어기적
홀로 어느 거리로 살풀이를 갈거나.
[심사평]
당선작을 선정함에 있어 심사위원들이 쉽게 의견일치에 이르렀다. 각자 심사한 후에 순위를 매기는 형식을 취하였는데 심사 위원 만장일치로 <처용무>를 당선작으로 결정하였음은 그만큼 작품이 돋보였기 때문이다.
응모된 작품들은 전반적으로 신라의 정신이 담긴 사적지와 유물들을 등가물로 가져와 시로 형상화하는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많은 작품들이 현학적이며 관념적인 것과는 대조적으로 당선작은 물상에 기대어 서사를 회화적으로 풀고 있으며, 처용무의 춤사위를 흐느적이는 언어의 리듬으로 묘사하여 오늘날의 처용으로 시각화하였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당선작을 제외한 작품들 중 검색된 지식의 나열이나 산문과 시를 구별하지 못하는 응모작들이 다수 보였고, 대상에 몰입하기에 급급하다보니 시인의 체험이 녹아들지 못하거나, 현재를 사는 시인의 현실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 등이 지적되었다. 시는 ‘과거의 기록을 들춰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현재와 미래를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대한 암묵적 제시도 독자들에게 감동을 주는 요소임을 다시 한 번 새겨보아야 할 것이다.
결심에 오른 작품들로는 <남산석불은 코가 없다>, <얼굴무늬 수막새>, <양동마을 고목나무>, <안녕은 돌고 돌고> 등이 있었다. 주제를 끌고 가는 힘이 좋고 언어를 다루는 기교의 능숙함 등이 느껴지나 시의 완성도 면에서 아쉬움이 있었다. 아무튼 많은 응모작들이 바탕에 성실한 신라정신을 탐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후년을 더욱 기대한다.
심사위원
구광렬(시인, 소설가, 실천문학 주간)
김광희(시인, 시/시조)
박윤배(시인, 형상시학회 대표이사)
이임수(시인, 필명: 이사가, 동국대 명예교수)
'국내 문학상 > 월명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5회 월명문학상 당선작 (0) | 2018.10.29 |
---|---|
제14회 월명문학상 당선작 (0) | 2017.11.18 |
제13회 월명문학상 당선작 (0) | 2017.10.16 |
제12회 월명문학상 당선작 (0) | 2015.10.27 |
제11회 월명문학상 (0) | 2015.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