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작] 가마리 포구 / 박병란
[가작] 모슬포에선 못 쓸 것은 없다 / 김성배
[심사평]
제5회 서귀포 문학작품 공모 시부문에 응모한 작품 편수는 359편이었다. 응모 편수만 놓고 보더라도 서귀포 문학작품 전국공모가 전국의 수많은 문인들로부터 관심 받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시부문 심사는 심사위원들이 블라인드 처리된 응모작들을 돌려 읽은 뒤, 각자 간추린 작품을 다시 논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심사평에 먼저 알려드려야 할 사항은 무엇보다 ‘서귀포 문학상’의 심사 방향이다. 이것은 문학상 공고란에 명시된 공모 주제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명시된 공모 주제는 “서귀포시의 삶, 역사, 자연, 문화, 사람, 전설, 신화”이다. 엄격히 말하자면 이 내용들은 소재로 분류될만한 성격의 것들이라 여겨지기도 하지만, 이렇게 공지된 주제 내용이 심사의 방향일 수밖에 없음을 전제해야 한다. 이로써 서귀포 문학상의 취지가 선명히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응모 작품들은 대부분 서귀포 관련 소재를 다루고 있었다. 그런데 소재를 취하고 형상화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것들에 육화되지 못한 채 나열과 이미지 설명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소재로써 체화된 단어들은 지나치게 작위적이거나, 잘 알려진 서귀포의 이미지 포장에 활용된 아쉬움이 컸다.
반면, 일상의 육화가 이루어진 작품들은 그 내용이 서귀포로 이어지는 연계고리가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굳이 서귀포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납득되는 삶과 사람이 작품에 드러났다. 실제 작품 속에서 타지역의 지명이 혼용되는 사례도 있었다. 무난한 작품성의 성취를 보여주지만 심사 방향과는 다소 거리 있는 작품들도 아쉽지만 최종심에서 제외되었다.
논의를 거쳐 압축된 두 작품은 ‘가마리 포구’, ‘모슬포에선 못 쓸 것은 없다’였다. 두 작품 모두 서귀포라는 소재의 형상화를 무리 없이 잘 거쳤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그것이 서귀포라는 상징성을 잘 대변한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후자의 경우에는 작위적인 연결이 못내 부담스러웠다. 누가 봐도 “맨도롱 호게” 따위의 수사는 억지로 채집한 소재라는 게 자명하게 드러났기 때문이다. 논의된 장단점을 고려하여 심사위원들은 두 작품을 각각 가작으로 선하자는 데 의견의 일치를 이뤘다.
가작 당선자들께 축하를 보낸다. 비록 당선되지는 못했지만 당선자들과 그리 다르지 않은 성취도를 보여준 여러 응모자분들께도 심심한 위로와 박수를 보낸다.
심사위원 나기철, 김지연
'국내 문학상 > 서귀포문학작품전국공모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회 서귀포문학작품 전국공모전 (0) | 2022.06.25 |
---|---|
제3회 서귀포 문학작품 전국공모전 (0) | 2020.10.01 |
제2회 서귀포 문학작품 전국공모전 (0) | 2020.10.01 |
제1회 서귀포 문학작품 전국공모전 (0) | 2020.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