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다음과 같은 기본입장을 가진 사회사상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 개인의 자유로운 인격표현 중시

 • 인간은 자신과 사회를 위해 인격을 표현할 능력이 있다는 믿음

 • 표현과 신념을 보호하는 제도와 정책을 지지


①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개인주의를 핵심가치로 여긴다.

② 14-16세기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의 영향을 받고 있다.

③ 영국의 명예혁명, 미국 독립선언, 프랑스 인권 선언을 통해 확립되었다.

④ 국가와 사회제도는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고 개성을 꽃피우기 위해 존재한다.

⑤ 자유와 평등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민주주의와 같은 입장에 있다.

 

 

 

 

(가), (나)는 ‘자유’와 관련한 주장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자연 상태에서는 모두를 구속하고 지배하는 법이 존재한다. 이 법에 따르면 모든 인간은 평등하고 독립적인 존재이며 누구도 타인의 생명, 건강, 자유 또는 재산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

(나) 모든 사람은 식량, 의복, 주택, 의료 시술, 그리고 필수적인 사회 용역을 비롯하여 자신과 가족의 건강과 복지를 위해 일정한 생활수준을 유지할 권리를 갖는다. 모든 사람은 교육받을 권리를 가지며, 국가는 최소한의 기본적 교육을 무상으로 제공해야 한다.


① (가)는 시장에 대한 국가 개입을 강조한다.

② (가)에는 적극적 자유의 이념이 드러나 있다.

③ (나)는 국가를 필요악으로 간주한다.

④ (나)는 복지 자본주의의 이념적 토대가 될 수 있다.

⑤ (나)는 ‘국가로부터의 자유’를  강조한다.


 

 

국가의 역할에 관한 다음 (가)와 (나)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가) 국가 권력의 행사는 개인의 생명과 재산, 자유만을 보호하는 데 그쳐야 한다. 국가 권력의 영향력이 커지면 그만큼 개인의 자유는 위축되기 때문이다.

(나) 국가는 모든 국민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① (가)는 ‘국가로부터의 자유’를 강조한다.

② (가)는 최소한의 정부를 최선의 정부라고 본다.

③ (나)는 자유방임주의 경제 이념과 상통한다.

④ (나)는 경제적 효율성과 함께 형평성을 중시한다.

⑤ (가)는 (나)에 비해 경제적 활동의 자유를 중시한다.




출처 : 경남대학교 철학인들의 모임
글쓴이 : 권수진 원글보기
메모 :

'도덕윤리 임용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회주의, 공산주의  (0) 2009.09.19
[스크랩] 민주주의  (0) 2009.09.19
[스크랩] 자본주의  (0) 2009.09.19
[스크랩] 리코나  (0) 2009.08.25
[스크랩] 행동주의  (0) 2009.08.23
728x90

 

 

다음 <보기>와 같은 사상의 기본적 입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 플라톤의 이상사회

 • 초기 그리스도 교도들의 생활

 • 모어의 유토피아(utopia)


① 인간은 물질적 결핍으로부터 해방되어야 한다.

② 물질적 재화의 분배보다는 생산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③ 생산수단의 공유는 불평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④ 인간은 독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상호 의존적인 존재이다.

⑤ 개인의 능력과 인간성 자체는 사회적 토대를 지니고 있다.


 

 

다음 <보기>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을 바르게 묶은 것은?

 

  19세기 이전까지의 사회주의는 비교적 소수의 사상가들에 의해 주도되어 왔다. 그 후 19세기 초부터 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하나의 학파를 형성하게 되었고, 사회주의 운동 역시 점차 확고하게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초기 사회주의자들은 평등과 합리성의 이름으로 기존체제를 비판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양심적인 인도주의자였으며, 전통적인 권위를 불신하고 이성의 힘을 통해 인간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었다.

 

<보 기>

 

 

 

  ㉠ 마르크스(Mark, K.)

  ㉡ 생시몽(Saint-Simon)

  ㉢ 엥겔스(Engels, F.)

  ㉣ 모어(More, T)

  ㉤ 푸리에(Fourier, J. B.)

  ㉥ 오웬(Owen, R.)


① ㉠,㉡,㉢       ② ㉡,㉢,㉤       ③ ㉡,㉣,㉤         ,㉤,㉥      ⑤ ㉣,㉤,㉥




다음 <보기>와 같은 생각과 가장 관계가 깊은 사람은?

 

 • 평화적 방법으로 이상사회를 건설 할 수 있다.

 • 인간본성은 선하며 이성의 힘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 사회적 불평등은 이기심을 억제하고 공동체에 기여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

① 프루동(Proudhon, P. J.)

② 바쿠닌(Bakunin, M.)

③ 생시몽(Saint-Simon)

④ 엥겔스(Engels, F.)

⑤ 모어(More, T)



 

다음 <보기>에 해당하는 주장을 한 사람들을 바르게 묶은 것은?

 

 • 인간의 의식은 그의 물질적 존재조건, 사회관계, 사회생활이 변화함에 따라 발전한다.

 • 지금까지 존재한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이다.

 • 프롤레타리아는 사슬 외에는 잃을 것이 없다.

 • 만국의 노동자들이여 단결하라!

 

<보 기>

 

 

 

  ㉠ 마르크스(Mark, K.)

  ㉡ 생시몽(Saint-Simon)

  ㉢ 엥겔스(Engels, F.)

  ㉣ 모어(More, T)

  ㉤ 푸리에(Fourier, J. B.)

  ㉥ 오웬(Owen, R.)


① ㉠,㉢       ② ㉡,㉢,㉤       ③ ㉠,㉡         ㉠,㉢,㉣        ⑤ ㉣,㉤,㉥


출처 : 경남대학교 철학인들의 모임
글쓴이 : 권수진 원글보기
메모 :

'도덕윤리 임용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유주의  (0) 2009.09.19
[스크랩] 민주주의  (0) 2009.09.19
[스크랩] 자본주의  (0) 2009.09.19
[스크랩] 리코나  (0) 2009.08.25
[스크랩] 행동주의  (0) 2009.08.23
728x90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이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피치자가 통치자요, 통치자가 피치자’라고 하는 원칙은 자칫하면 다수의 이름으로 인     간의 자유를 제약할 수 있다.

 • 자유방임은 사회적 불평등, 부익부빈익빈 현상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 기>

 

 

 

  ㉠ 사회복지와 완전 고용 실현에 기초한 개혁을 시도한다.

  ㉡ 인간존중, 자유와 평등의 추구를 기본가치로 여긴다.

  ㉢ 자민족 중심주의에 빠져 세계화의 흐름에 역행할 수 있다.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① ㉠,㉡       ② ㉠,㉢       ③ ㉡,㉢         ㉡,㉣      ⑤ ㉢,

출처 : 경남대학교 철학인들의 모임
글쓴이 : 권수진 원글보기
메모 :

'도덕윤리 임용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유주의  (0) 2009.09.19
[스크랩] 사회주의, 공산주의  (0) 2009.09.19
[스크랩] 자본주의  (0) 2009.09.19
[스크랩] 리코나  (0) 2009.08.25
[스크랩] 행동주의  (0) 2009.08.23
728x90

 

 

 

다음 도표에 나타난 시대적 배경에 따라 등장한 자본주의의 전개양상을 <보기>에서 골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5C-16C

중상주의

18C-19C

산업혁명

1930년대

경제대공황

1973년

제1차 석유파동

      (가)                                   (나)                              (다)                                  (라)

 

 

<보 기>

 

 

 

  ㉠ 시장실패를 시정하고자 하였다.

  ㉡ 식민지 개척과 해외무역의 확대에 주력하였다.

  ㉢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어 노사갈등이 빈번하였다.

  ㉣ 정부의 시장 개입을 비판하고 복지제도의 감축을 요구하였다.


 

(가)

(나)

(다)

(라)



 

 

다음 A와 B는 자본주의와 관련된 사상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자유방임주의적 자본주의의 진전에 따른 빈부격차

 • 1930년대 경제 대공황으로 인한 대량실업 발생

A

 • 1970년대 석유 파동 이후 세계 경제의 불황

 • 사회주의 체제 쇠퇴 이후 국가 간의 경쟁 심화

B


① A는 소극적 자유의 실현을 강조한다.

② A는 시장 실패를 초래할 위험성이 크다.

③ B는 정부의 기능과 권한의 강화를 주장한다.

④ B는 복지 정책의 축소를 주장한다.

⑤ A와 B는 국가의 시장 개입을 부정적으로 본다.


출처 : 경남대학교 철학인들의 모임
글쓴이 : 권수진 원글보기
메모 :

'도덕윤리 임용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회주의, 공산주의  (0) 2009.09.19
[스크랩] 민주주의  (0) 2009.09.19
[스크랩] 리코나  (0) 2009.08.25
[스크랩] 행동주의  (0) 2009.08.23
네러티브  (0) 2009.08.01
728x90

 

 

다음 도덕 교육론자가 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중요한 가치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리코나는 도덕 심리학 측면에서는 인지적 도덕 발달론과 행동주의 도덕 심리학 및 정신분석학적 도덕 심리학의 종합을 추구하며, 도덕교육 측면에서는 인지적 도덕 발달론에 입각한 도덕 교육론과 전통적인 인격교육론의 장점들을 살려 상호 보완하려는 통합적 · 절충적 입장에서 자신의 인격교육론을 전개하였다.


① 따뜻한 배려, 책임감

② 수용성, 개방성

③ 존중, 책임

④ 규율정신, 자율성

⑤ 양심, 자기존중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 학자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오늘날 사회의 도덕성 타락은 바로 개인의 인격 결함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도덕적 문제의 원인은 개인들의 인격적 결함 또는 윤리적 문맹현상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도덕적 재건은 구성원들이 훌륭한 인격을 구비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학교는 윤리적 방관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①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격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자신의 이론을 전개시키고 있다.

② 인격 개념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차원을 모두 통합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③ 훌륭한 인격은 선을 아는 것, 선을 열망하는 것, 선을 행하는 것이다.

④ 훌륭한 인격을 정신의 습관, 마음의 습관, 행동의 습관으로 표현한다.

⑤ 인지발달 이론, 가치명료화 접근법을 비판하면서 전통적 인격교육의 복고를 주장하였다.

 

 

다음 제시문에 해당하는 ‘이것’의 용어로 알맞은 것은?

 

  ‘이것’은 하나의 단계를 보다 광범위한 삶의 경험들 속으로 확장시켜 나가는 것이다. 즉 자신이 속해 있는 추론 단계를 점증하는 일관성(consistency)을 가지고 자신이 접하게 되는 모든 다른 종류의 상황들에 적용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① 활동적 가치(operative values)

② 건설적인 죄책감(constructive guilt)

③ 파괴적 죄책감(destructive guilt)

④ 수평적 발달(horizontal development)

⑤ 수직적 발달(vertical development)

 

 

다음 중 인격의 하위 구성요소의 범위가 다른 것은?

 

  인격을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은 도덕적으로 아는 것, 느끼는 것 또는 도덕적 태도, 그리고 도덕적 행동과 같은 인간 인성(人性)의 세 가지 양상들을 교육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훌륭한 인격은 선을 아는 것(정신의 습관), 선을 열망하는 것(마음의 습관), 선을 행하는 것(행동의 습관)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 세 가지 요소들이 도덕적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며, 성숙한 도덕성을 구성한다. 즉, 그의 인격의 개념은 세 가지 특징인 인지적 · 정의적 · 행동적 차원을 모두 통합하고 있는 하나의 포괄적인 개념이다.


① 도덕적 인식(moral awareness)

② 도덕적 추론(moral reasoning)

③ 의사결정(decision-making)

④ 입장채택(perspective taking)

⑤ 자기통제(self-control)

 

 

 

다음은 인격의 하위 구성요소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이것은 다른 사람의 관점을 취해보는 능력, 즉 다른 사람들의 입장에 서서 자기가 처한 상황을 바라보고, 그들이 생각하고 느끼고 반응하는 것을 상상해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도덕적 판단을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① 감정이입(empathy)

② 자기존중(self-respect)

③ 의사결정(decision-making)

④ 입장채택(perspective taking)

⑤ 자기통제(self-control)

 

 

 

다음 제시문에 해당하는 하위 요소는 정의적 하위 요소의 어디에 해당하는가?

 

  도덕적 가치들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moral value) 즉 타인들에 대한 책임감, 정직, 공정함과 같은 도덕적 가치들은 훌륭한 사람을 정의하는 기준들이 될 수 있다. 그러한 도덕적 가치들은 세대를 통해서 계승되어 온 도덕적 유산이다. 하나의 가치를 알고 있다는 것은 다양한 상황에 그러한 가치를 적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① 양심(conscience)

② 자기존중(self-respect)

③ 감정이입(empathy)

④ 선을 사랑하는 것(loving the good)

⑤ 겸양(humility) 

 

 


다음 중 리코나가 제시한 인격의 행동적 하위 요소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도덕과 평가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덕과는 인지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대체로 도덕적 가치 규범의 의미, 근거에 대한 이해 정도, 도덕적 사고력과 추론 능력 정도, 가치 판단의 합리성 정도 등을, 정의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도덕적 민감성과 열정성, 도덕적 가치 규범에 대한 내면화 정도 등을, 그리고 행동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도덕적 가치 규범을 실천하고 습관화한 정도를 평가의 준거로 할 수 있다.

 

<보 기>

 

 

 

  ㉠ 겸양(humility)

  ㉡ 능력(competence)

  ㉢ 의지(will)

  ㉣ 습관(habit)

  ㉤ 양심(conscience)


① ㉠,㉡,㉢      ② ㉡,㉢,       ③ ㉠,㉢,         ④ ㉢,㉣,         ⑤ ㉠,㉡,㉢,㉣


 

 


 

출처 : 경남대학교 철학인들의 모임
글쓴이 : 권수진 원글보기
메모 :

'도덕윤리 임용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회주의, 공산주의  (0) 2009.09.19
[스크랩] 민주주의  (0) 2009.09.19
[스크랩] 자본주의  (0) 2009.09.19
[스크랩] 행동주의  (0) 2009.08.23
네러티브  (0) 2009.08.01
728x90

 

 

다음에 해당하는 도덕 심리학의 교육적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한 사람의 심리상태는 그 사람의 행동으로 나타나기 마련이다. 역으로 그 사람의 객관적 행동을 설명함으로써 심리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리적 현상을 행동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방법을 행동주의라고 말한다. 이 방법은 외현적인 행동만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최근에 와서는 훨씬 광범위하고 융통성 있는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다.


① 도덕적 행동을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② 도덕교육을 함에 있어 목표 성취를 위한 처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③ 직접적인 실천 행동과 체험에 의한 도덕 학습을 강조한다.

④ 도덕교육에 있어 적절한 강화를 주의 깊게 사용하는 일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⑤ 적절한 모델을 사용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출처 : 경남대학교 철학인들의 모임
글쓴이 : 권수진 원글보기
메모 :

'도덕윤리 임용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회주의, 공산주의  (0) 2009.09.19
[스크랩] 민주주의  (0) 2009.09.19
[스크랩] 자본주의  (0) 2009.09.19
[스크랩] 리코나  (0) 2009.08.25
네러티브  (0) 2009.08.01
728x90

내러티브적 사고 (narrative thinking)
구체적인 인간 및 인간들 사이의 상황을 표현하고 동시에 그것들의 구체적 타당성을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함
현실에 대한 묘사이며, 진실에 가까움을 목표로 하는 하나의 보는 방식
상상력 그리고 인간의 의도에 대한 인식과 시간과 공간 속의 특수한 것들에 대한 평가를 요구함.
④ 내러티브는 내재적인 계열성의 속성을 갖는다.
내러티브는 주인공이나 행위자로서의 인간을 포함하고 있는 독특한 사건·
정신적 상태·일의 연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내러티브는 인간의 행동이 행위자에 의해 통제되는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수단, 계열적 순서의 설정 및 유지, 인간의
의사 소통에 있어서 규범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한 민감성, 이야기하는
사람의 입장으로 근접하게 해 주는 모종의 것을 필요로 함.
⑤ 아동은 자연적으로 이야기를 말할 수 있는 능력과 경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문화는
그들에게 그러한 기능을 완벽하게 해 주는 모델과 절차적 도구들을 풍부하게
제공해 주는 수단이 됨
⑥ 부르너의 견해가 도덕 교육에서 갖는 의미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내러티브는 아동들의 도덕 발달을 돕기위한 모델과
절차적 도구들을 풍부하게 제공해주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내러티브적 사고는 콜버그의 도덕 교육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해 준다.

# 콜버그 - 도덕적인 추론에 있어서 명제적 사고만을 중시
상황 독립적이고 논리적인 추론에 근거해서만 아동의 도덕 판단을 평가하여
제시된 이야기 형태로서의 딜레마에 대한 아동의 대인관계적·정서적·상상적인
성격을 무시
자아의 본질에 대한 현실적인 관점을 제시해 준다.
우리 주변의 사회 세계에서 우리 자신의 자아감과 타자 간의 주요한 결합을
제공하는 역할

2) 사빈(Sarvin)
① 인간의 행위를 이해하기 위한 일반적 은유로서의 내러티브의 적절성을 강조함.
내러티브 모형은 이야기, 드라마, 문학, 역사 속에서 발견되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들에 대한 통찰력을 가질 수 있게 해줌.
② 다양한 방향과 다양한 속도로 움직이는 기하학적 그림의 동화상 영화의 예시 기하학적 형태들의 움직임=인간의 행동
움직이는 기하학적 형태=서사적 형태(내러티브)
③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를 작성함. 또한 자신의 삶을 내러티브로 해석한다고 봄.
계획, 추억, 사랑, 미움까지 내러티브적 구성방식에 의해 안내되어 Self-narrative(자기-내러티브)를 형성 자기-구성적 이야기, 내러티브적 모형과 일치되려는 삶으로 나뉨
④ 사빈의 견해가 도덕교육에서 갖는 의미
실천적 선택과 행동이 고려되는 곳에서 이야기들은 규칙이나 격언보다 우리에게
보다 나은 안내와 지침을 제공해 줌.
규칙·격언은 일반화된 개념이나 우화나 일화는 의도하는 바를 상세하게 해명하고 설명해 줌.
이야기들은 격언이나 규칙의 타당성을 검사하는 도구로서도 활용됨.

3) 툴빙(Tulving)
〈인간의 기억은 의미론적 기억과 삽화적 기억으로 구성됨〉
① 의미론적 기억 : 세계에 대한 지식과 함께 하며, 개인의 정체성과 과거로부터 독립적임.
(명제적 사고) 개념적으로 조직되고, 사회적 합의에 의해 입증
기억 단위는 사실과 개념으로 구성됨
② 삽화적 기억 : 개인의 사건들과 행위들에 대한 기억의 기록이며 순차적인 반복임.
(내러티브적 사고) 공간적으로 조직되고, 개인적 신념에 의해 검증
기억 단위는 사건과 에피소드들로 구성됨
도덕적인 문제 역시 논리 과학적인 방식으로만 환원될 수는 없다.

4) 터커(Tucker)
① 두뇌 기능 연구
우반구
좌반구
감각능력, 공간적, 상상적 재현, 정서, 표정 인식 : 언어의 정서적 의미 인식, 화자의 성별 인식 (내러티브적 사고 : 예) 손상-->인간 관계 손상, 상상관념화 일반화 손상, 은유적 의미 이해 상실
분석적 관념화, 선형적, 개열적 양식, 언어 구사력 (명제적 사고)

5) 길리건(Gilligan)
① 도덕 발달에 있어서 내러티브의 중요성 강조 - 호프먼(Hoflman), 길리건(Gilligan), 한(Haan), 콜즈(Coles), 호건(Hogan), 보스(Boss)
② 개인 = 고립되고 추상적인 자아가 아니라, 지속적인 관계의 망 속에 놓여있는 구체적이고 관계적인 자아이다.
③ 도덕 발달에 대한 관점
- 도덕적 자아는 근본적으로 어떤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며, 특수한 것이다.
(공정성)--> 피상적 관계 (배려)--> 심층적 관계
- 다른 사람들은 어떤 행위를 하게 될 도덕적 주체와 어떤 특별한 관계에 놓여져 있다. (특수한 관계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도덕적 행위에는 한계가 있다.)
- 인간이 도덕적 행위를 하는데 있어서 행위 자체와 관련되어 있는 특수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도덕적 과제이며, 그것은 특별한 도덕적 능력을 필요로 한다.
- 콜버그의 자율적 자아 개념에 반대한다. --> 도덕 = 행위자가 유대와 관계들(친구, 동료, 부모, 자녀)에 의해 한정된 행위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 여기서 도덕 행위란 완전한 자율적 존재가 아니라, 관계나 유대에 의해 구속받는 존재이다.

# 콜버그의 자율적 개념-->도덕성은 개별적인 합리적 존재들이 스스로 법칙을 세우고, 그의 이성에 의해 만들어진 원리나 규칙에 스스로 따르는 것
콜버그
길리건
도덕적 추론 양식은 형식적인 합리성만을 포함
도덕성은 필연적으로 정서·인지·행위의 상호 관련을 포함한다. (무엇을 할 것인가? --> 다른 사람을 알고, 감정·인지와 연관되어 있다.)
올바른 행동의 원리는 보편적인 것이다. 모두에게 적용 가능하다.
한 개인에게 적합한 행동에 대한 일반화를 거부한다.
④ 길리건의 여성 도덕적 추론의 발달단계
수준 1
자기 이익 지향(The oriebtation toward self-interest) : 자기 중심적으로자기 이익과 생존에 집착
과도기 1
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 (From selfishness to responsibility) : 원하는 것(이기심)과 해야할 것(책임감) 사이의 차이 인식
수준 2
선과 타인에 대한 책임감의 동일시 (Identification of goodness with responsibility for others) : 타인에 대한 관심과 책임감, 자기희생의 능력 발달
과도기 2
동조에서 새로운 내적 판단으로 (From conformity to a new inner judgement) : 자기 지신의 가치에 대한 비판적 의문이 특징
수준 3
자아와 타인 사이의 역동성에 초점을 맞춤 (Focusing on the dynamics between self and others) : 개인은 하나의 보편적인 입장을 발달시키게 된다.
--> 도덕발달을 본질상 계열적이고 구조상 위계적인 것으로 파악하는데 대한 반대는 포스트 모더니스트, 페미니스트들의 지지를 얻음
⑤ 도덕교육에 대한 길리건의 주장이 갖는의미
- 심리학자의 과제는 객관적인 자료보다는 내러티브를 모으고 분석하는 것
- 연구자는 객관적이어야한다는 입장이 폐기됨
- 해석학적 방법을 중시
- 관계적이고 페미니스트적인 연구벙법
⑥ 내러티브는 모든연령, 모든장소, 모든 사회에 존재하는것이므로 내러티브(이야기 말하기)는 도덕적 지식을 견지하고 전달하는데 가장 적합하다.
⑦ 도덕교육의 구체적인 벙법으로서 역사 문학속의 내러티브를 강조하면서 학교교육은 추상적인 규칙보다는 관계성을 중시해야한다고 주장.((문학 작품속의 내러티브 사고
.
.

'도덕윤리 임용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회주의, 공산주의  (0) 2009.09.19
[스크랩] 민주주의  (0) 2009.09.19
[스크랩] 자본주의  (0) 2009.09.19
[스크랩] 리코나  (0) 2009.08.25
[스크랩] 행동주의  (0) 2009.08.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