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러티브적 사고 (narrative thinking)
구체적인 인간 및 인간들 사이의 상황을 표현하고 동시에 그것들의 구체적 타당성을 입증하는 것을 목표로 함
현실에 대한 묘사이며, 진실에 가까움을 목표로 하는 하나의 보는 방식
상상력 그리고 인간의 의도에 대한 인식과 시간과 공간 속의 특수한 것들에 대한 평가를 요구함.
④ 내러티브는 내재적인 계열성의 속성을 갖는다.
내러티브는 주인공이나 행위자로서의 인간을 포함하고 있는 독특한 사건·
정신적 상태·일의 연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내러티브는 인간의 행동이 행위자에 의해 통제되는 목표를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수단, 계열적 순서의 설정 및 유지, 인간의
의사 소통에 있어서 규범적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한 민감성, 이야기하는
사람의 입장으로 근접하게 해 주는 모종의 것을 필요로 함.
⑤ 아동은 자연적으로 이야기를 말할 수 있는 능력과 경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문화는
그들에게 그러한 기능을 완벽하게 해 주는 모델과 절차적 도구들을 풍부하게
제공해 주는 수단이 됨
⑥ 부르너의 견해가 도덕 교육에서 갖는 의미
교훈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내러티브는 아동들의 도덕 발달을 돕기위한 모델과
절차적 도구들을 풍부하게 제공해주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내러티브적 사고는 콜버그의 도덕 교육 방식의 문제점을 지적해 준다.
# 콜버그 - 도덕적인 추론에 있어서 명제적 사고만을 중시
상황 독립적이고 논리적인 추론에 근거해서만 아동의 도덕 판단을 평가하여
제시된 이야기 형태로서의 딜레마에 대한 아동의 대인관계적·정서적·상상적인
성격을 무시
자아의 본질에 대한 현실적인 관점을 제시해 준다.
우리 주변의 사회 세계에서 우리 자신의 자아감과 타자 간의 주요한 결합을
제공하는 역할
2) 사빈(Sarvin)
① 인간의 행위를 이해하기 위한 일반적 은유로서의 내러티브의 적절성을 강조함.
내러티브 모형은 이야기, 드라마, 문학, 역사 속에서 발견되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들에 대한 통찰력을 가질 수 있게 해줌.
② 다양한 방향과 다양한 속도로 움직이는 기하학적 그림의 동화상 영화의 예시 기하학적 형태들의 움직임=인간의 행동
움직이는 기하학적 형태=서사적 형태(내러티브)
③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를 작성함. 또한 자신의 삶을 내러티브로 해석한다고 봄.
계획, 추억, 사랑, 미움까지 내러티브적 구성방식에 의해 안내되어 Self-narrative(자기-내러티브)를 형성 자기-구성적 이야기, 내러티브적 모형과 일치되려는 삶으로 나뉨
④ 사빈의 견해가 도덕교육에서 갖는 의미
실천적 선택과 행동이 고려되는 곳에서 이야기들은 규칙이나 격언보다 우리에게
보다 나은 안내와 지침을 제공해 줌.
규칙·격언은 일반화된 개념이나 우화나 일화는 의도하는 바를 상세하게 해명하고 설명해 줌.
이야기들은 격언이나 규칙의 타당성을 검사하는 도구로서도 활용됨.
3) 툴빙(Tulving)
〈인간의 기억은 의미론적 기억과 삽화적 기억으로 구성됨〉
① 의미론적 기억 : 세계에 대한 지식과 함께 하며, 개인의 정체성과 과거로부터 독립적임.
(명제적 사고) 개념적으로 조직되고, 사회적 합의에 의해 입증
기억 단위는 사실과 개념으로 구성됨
② 삽화적 기억 : 개인의 사건들과 행위들에 대한 기억의 기록이며 순차적인 반복임.
(내러티브적 사고) 공간적으로 조직되고, 개인적 신념에 의해 검증
기억 단위는 사건과 에피소드들로 구성됨
도덕적인 문제 역시 논리 과학적인 방식으로만 환원될 수는 없다.
4) 터커(Tucker)
① 두뇌 기능 연구
우반구
좌반구
감각능력, 공간적, 상상적 재현, 정서, 표정 인식 : 언어의 정서적 의미 인식, 화자의 성별 인식 (내러티브적 사고 : 예) 손상-->인간 관계 손상, 상상관념화 일반화 손상, 은유적 의미 이해 상실
분석적 관념화, 선형적, 개열적 양식, 언어 구사력 (명제적 사고)
5) 길리건(Gilligan)
① 도덕 발달에 있어서 내러티브의 중요성 강조 - 호프먼(Hoflman), 길리건(Gilligan), 한(Haan), 콜즈(Coles), 호건(Hogan), 보스(Boss)
② 개인 = 고립되고 추상적인 자아가 아니라, 지속적인 관계의 망 속에 놓여있는 구체적이고 관계적인 자아이다.
③ 도덕 발달에 대한 관점
- 도덕적 자아는 근본적으로 어떤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며, 특수한 것이다.
(공정성)--> 피상적 관계 (배려)--> 심층적 관계
- 다른 사람들은 어떤 행위를 하게 될 도덕적 주체와 어떤 특별한 관계에 놓여져 있다. (특수한 관계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도덕적 행위에는 한계가 있다.)
- 인간이 도덕적 행위를 하는데 있어서 행위 자체와 관련되어 있는 특수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지식을 획득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도덕적 과제이며, 그것은 특별한 도덕적 능력을 필요로 한다.
- 콜버그의 자율적 자아 개념에 반대한다. --> 도덕 = 행위자가 유대와 관계들(친구, 동료, 부모, 자녀)에 의해 한정된 행위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 여기서 도덕 행위란 완전한 자율적 존재가 아니라, 관계나 유대에 의해 구속받는 존재이다.
# 콜버그의 자율적 개념-->도덕성은 개별적인 합리적 존재들이 스스로 법칙을 세우고, 그의 이성에 의해 만들어진 원리나 규칙에 스스로 따르는 것
콜버그
길리건
도덕적 추론 양식은 형식적인 합리성만을 포함
도덕성은 필연적으로 정서·인지·행위의 상호 관련을 포함한다. (무엇을 할 것인가? --> 다른 사람을 알고, 감정·인지와 연관되어 있다.)
올바른 행동의 원리는 보편적인 것이다. 모두에게 적용 가능하다.
한 개인에게 적합한 행동에 대한 일반화를 거부한다.
④ 길리건의 여성 도덕적 추론의 발달단계
수준 1
자기 이익 지향(The oriebtation toward self-interest) : 자기 중심적으로자기 이익과 생존에 집착
과도기 1
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 (From selfishness to responsibility) : 원하는 것(이기심)과 해야할 것(책임감) 사이의 차이 인식
수준 2
선과 타인에 대한 책임감의 동일시 (Identification of goodness with responsibility for others) : 타인에 대한 관심과 책임감, 자기희생의 능력 발달
과도기 2
동조에서 새로운 내적 판단으로 (From conformity to a new inner judgement) : 자기 지신의 가치에 대한 비판적 의문이 특징
수준 3
자아와 타인 사이의 역동성에 초점을 맞춤 (Focusing on the dynamics between self and others) : 개인은 하나의 보편적인 입장을 발달시키게 된다.
--> 도덕발달을 본질상 계열적이고 구조상 위계적인 것으로 파악하는데 대한 반대는 포스트 모더니스트, 페미니스트들의 지지를 얻음
⑤ 도덕교육에 대한 길리건의 주장이 갖는의미
- 심리학자의 과제는 객관적인 자료보다는 내러티브를 모으고 분석하는 것
- 연구자는 객관적이어야한다는 입장이 폐기됨
- 해석학적 방법을 중시
- 관계적이고 페미니스트적인 연구벙법
⑥ 내러티브는 모든연령, 모든장소, 모든 사회에 존재하는것이므로 내러티브(이야기 말하기)는 도덕적 지식을 견지하고 전달하는데 가장 적합하다.
⑦ 도덕교육의 구체적인 벙법으로서 역사 문학속의 내러티브를 강조하면서 학교교육은 추상적인 규칙보다는 관계성을 중시해야한다고 주장.((문학 작품속의 내러티브 사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