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다음 도덕 교육론자가 학교에서 가르쳐야 할 중요한 가치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리코나는 도덕 심리학 측면에서는 인지적 도덕 발달론과 행동주의 도덕 심리학 및 정신분석학적 도덕 심리학의 종합을 추구하며, 도덕교육 측면에서는 인지적 도덕 발달론에 입각한 도덕 교육론과 전통적인 인격교육론의 장점들을 살려 상호 보완하려는 통합적 · 절충적 입장에서 자신의 인격교육론을 전개하였다.


① 따뜻한 배려, 책임감

② 수용성, 개방성

③ 존중, 책임

④ 규율정신, 자율성

⑤ 양심, 자기존중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 학자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오늘날 사회의 도덕성 타락은 바로 개인의 인격 결함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도덕적 문제의 원인은 개인들의 인격적 결함 또는 윤리적 문맹현상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도덕적 재건은 구성원들이 훌륭한 인격을 구비하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학교는 윤리적 방관자가 되어서는 안 된다.


①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격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자신의 이론을 전개시키고 있다.

② 인격 개념은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차원을 모두 통합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③ 훌륭한 인격은 선을 아는 것, 선을 열망하는 것, 선을 행하는 것이다.

④ 훌륭한 인격을 정신의 습관, 마음의 습관, 행동의 습관으로 표현한다.

⑤ 인지발달 이론, 가치명료화 접근법을 비판하면서 전통적 인격교육의 복고를 주장하였다.

 

 

다음 제시문에 해당하는 ‘이것’의 용어로 알맞은 것은?

 

  ‘이것’은 하나의 단계를 보다 광범위한 삶의 경험들 속으로 확장시켜 나가는 것이다. 즉 자신이 속해 있는 추론 단계를 점증하는 일관성(consistency)을 가지고 자신이 접하게 되는 모든 다른 종류의 상황들에 적용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① 활동적 가치(operative values)

② 건설적인 죄책감(constructive guilt)

③ 파괴적 죄책감(destructive guilt)

④ 수평적 발달(horizontal development)

⑤ 수직적 발달(vertical development)

 

 

다음 중 인격의 하위 구성요소의 범위가 다른 것은?

 

  인격을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은 도덕적으로 아는 것, 느끼는 것 또는 도덕적 태도, 그리고 도덕적 행동과 같은 인간 인성(人性)의 세 가지 양상들을 교육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므로 훌륭한 인격은 선을 아는 것(정신의 습관), 선을 열망하는 것(마음의 습관), 선을 행하는 것(행동의 습관)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 세 가지 요소들이 도덕적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며, 성숙한 도덕성을 구성한다. 즉, 그의 인격의 개념은 세 가지 특징인 인지적 · 정의적 · 행동적 차원을 모두 통합하고 있는 하나의 포괄적인 개념이다.


① 도덕적 인식(moral awareness)

② 도덕적 추론(moral reasoning)

③ 의사결정(decision-making)

④ 입장채택(perspective taking)

⑤ 자기통제(self-control)

 

 

 

다음은 인격의 하위 구성요소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이것은 다른 사람의 관점을 취해보는 능력, 즉 다른 사람들의 입장에 서서 자기가 처한 상황을 바라보고, 그들이 생각하고 느끼고 반응하는 것을 상상해 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도덕적 판단을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① 감정이입(empathy)

② 자기존중(self-respect)

③ 의사결정(decision-making)

④ 입장채택(perspective taking)

⑤ 자기통제(self-control)

 

 

 

다음 제시문에 해당하는 하위 요소는 정의적 하위 요소의 어디에 해당하는가?

 

  도덕적 가치들에 대한 지식(knowledge of moral value) 즉 타인들에 대한 책임감, 정직, 공정함과 같은 도덕적 가치들은 훌륭한 사람을 정의하는 기준들이 될 수 있다. 그러한 도덕적 가치들은 세대를 통해서 계승되어 온 도덕적 유산이다. 하나의 가치를 알고 있다는 것은 다양한 상황에 그러한 가치를 적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① 양심(conscience)

② 자기존중(self-respect)

③ 감정이입(empathy)

④ 선을 사랑하는 것(loving the good)

⑤ 겸양(humility) 

 

 


다음 중 리코나가 제시한 인격의 행동적 하위 요소를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도덕과 평가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덕과는 인지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대체로 도덕적 가치 규범의 의미, 근거에 대한 이해 정도, 도덕적 사고력과 추론 능력 정도, 가치 판단의 합리성 정도 등을, 정의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도덕적 민감성과 열정성, 도덕적 가치 규범에 대한 내면화 정도 등을, 그리고 행동적 영역의 평가에서는 도덕적 가치 규범을 실천하고 습관화한 정도를 평가의 준거로 할 수 있다.

 

<보 기>

 

 

 

  ㉠ 겸양(humility)

  ㉡ 능력(competence)

  ㉢ 의지(will)

  ㉣ 습관(habit)

  ㉤ 양심(conscience)


① ㉠,㉡,㉢      ② ㉡,㉢,       ③ ㉠,㉢,         ④ ㉢,㉣,         ⑤ ㉠,㉡,㉢,㉣


 

 


 

출처 : 경남대학교 철학인들의 모임
글쓴이 : 권수진 원글보기
메모 :

'도덕윤리 임용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회주의, 공산주의  (0) 2009.09.19
[스크랩] 민주주의  (0) 2009.09.19
[스크랩] 자본주의  (0) 2009.09.19
[스크랩] 행동주의  (0) 2009.08.23
네러티브  (0) 2009.08.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