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시월의 산조(散調) / 조이풀

 

누구는 가을비라 했고 누구는 장마라 했다.

가끔 번개 빛줄기 없는 천둥이 오기도 했고

낙엽이 되지 못한 시월 하순의 나뭇잎들이

알몸으로 비를 맞고 있었다.

그 아침 나는 단골로 드나들던

폐업한지 꽤 오래된 술집 앞에 서 있었다.

뽀얀 입김이 금세 성에가 되는 유리문 사이로 일간지며 고지서며

명세서며 독촉장이며 광고 전단지

수북이 쌓아둔 한숨들이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었다.

세를 못내 쫓겨났다고도 하고

외상이 많아 어려웠다고도 한다.

이혼을 했다고도 하고

눈 맞은 남자와 멀리 도망갔다고도 한다.

나는 짐짓 이 주인이 로또에 당첨되어 여길 떠났을 거라고 생각했다.

간다는 인사를 듣지 못했기에

이 자리 어딘가에는 남아있을

나와 내 친구들의 체취정도는 돌려줘야 하지 않겠는가

투덜대고 있었다.

비 내린다.

오늘은 퇴직하는 친구를 위하여

마음 빈 구석에 뎁힌 정종술 한잔 정도는 채워야 할 텐데

지금은 이 비가 내게 다가와서 술이 된다.

가을비라서 좋구나.

천둥 칠 때마다 빨간 홍시 하나 던져 줄 것 같아서 좋구나.

따듬따듬 적셔오는 시월의 산조라서 가을비 네가 좋구나.

 

 

728x90

 

728x90

 

728x90

 

 

니트족(NEET)*



문득 세상의 낙오자라는 생각이 드는 순간

모든 혼란은 시작되었다

돌이켜보면 늘 주변만을 맴돌았을 뿐

중심을 거부한 것도 아니었다

허나 찌그러진 깡통처럼 자꾸만 넘어졌다

후미진 골목에 익숙하였으며

탕진할 것도 하나 없는 빈껍데기 신세였다

자존심만으로 버텨 온 세상에서

구겨진 지폐처럼 자존심을 접고 살았다

오만 원짜리 신권 지폐들로 가득 찬

인간들의 어깨는 빳빳했다

자신을 PR하는 명함 속의 직함도 당당했다

항상 바쁘게 돌아가는 세상 속에서

고장 난 시계바늘처럼 멈추어버린 삶

쳇바퀴를 열심히 돌릴 수 있는

사람들의 때 묻은 작업복이 부러웠다

영문도 모른 채 서울역 지하철에서

얼어 죽은 노숙자를 욕하지 마라

너희들이 정의롭다고 믿는 이 세상에는

시작부터가 다른 사람들이 있다

세상 어느 곳에 서 있더라도

깡통처럼 넘어지는 사람들이 있다


 

* 니트족(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학생도 아니고 직장인도 아니면서

그렇다고 직업훈련을 받지도 구직활동을 하지도 않는 무리 또는 그런 사람.

 

출처 : 경남대학교 철학인들의 모임
글쓴이 : 권수진 원글보기
메모 :

 

728x90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