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상] 얼룩말 나비와 아버지 / 최경심
봄볕 환한 길 위에 나비가 엎드려 누워 있다
꽃향기에 취해서도 비틀거리지 않고
잠을 자면서도 날개를 부리지 않았던 나비
곁으로 바짝 다가가도 꼼작하지 않는다
느릿하게 흔들리는 긴 더듬이에 실린
가냘픈 숨결에서
힘겹게 건너는 시간의 끝자락이 보인다
등 위에 짊어진 인연 파마 버리지 못해
바로 눕지도 못하고 죽어간다
맥 놓은 날개 위에 망연히 앉아 있는
흑백 물결무늬 선명한 얼룩말
내리뜬 순한 눈에 고여있는 석별 적요하다
아버지의 임종을 지키던 저 너머의 시간이
애잔하게 다가온다
자식들 편하라고 요양병원으로 자리를 옮긴 후
무너져 내리던 아버지의 날들은
불효의 긴 그림자로 남겨져
나는 지금도 가슴이 캄캄하다
나비 같은 호흡으로 밤을 세우고
동틀 무렵 기척도 없이 야윈 어깨를 내리시던
아버지도
등에 업힌 자식들 내려놓지 못하고 가셨으리라
아버지의 운구차가 지나가던 길에
활짝 핀 벚꽃은 세월이 흘러도 이울지 않는데
그 꽃잎 흩어져 밟히는 한길에서
죽어가는 나비가 눈에 밟히지만
그냥 돌아서고 만다
[은상] 젠가 / 김응혜
가슴에 품은 별 하나식 꺼내어 집을 지어요
우주에 걸쳐둔 한 가닥 줄이 구심력을 키우면
우린 맴맴 돌며 소실점을 찾아 가죠
긴장의 날 세우느라 하루가 무거워지면
눈물 발라가며 삭은 틈새 메우고
약 한 줌 툭, 털어 넣고 기우뚱한 생각을 불러들여요
세파의 경계에 가려움증 파고들어 출렁이면
뿍뿍 긁어 초토화된 울 엄니 초라한 집이 보여요
고인 힘 쥐어짜느라 굽은 등 위로
텅 비어가는 늑골 하나 빼서 계단을 만들면
버팀의 내공 한 겹 두터워지고
팽팽한 우주처럼 붉게 번져가는 눈자위 가늘게 떨려요
빈 가슴 졸이며 가둔 날숨
우주의 기울기 가늠하며
지나온 세월의 고팽이 풀어 구석구석 살피는데
잠시 수평을 놓친 허술함에
우당탕탕 탕탕탕
감마선 폭발같이 요란하게 허공을 찌르는 소리
들려요 짧은 조문과 함께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는 정형화 의식 시작되면
계단은 슬며시 날개를 펴고
* 짓다라는 의미의 스와힐리어로 같은 크기의 직육면체 조각을 쌓아 만든
탑에서 무너지지 않도록 한 조각식 빼어 맨 위로 다시 쌓아 올리는 게임
은상 시 조미선 하늘로 빛을 쏘아 올린 연어
동상 시 강지원 두 섬
동상 시 박성숙 걷지 않는 나무들
동상 시 손은주 물의 그림자를 지우며 간다
가작 시 문정은 남반구의 이방인
가작 시 오명옥 아틀란티스표범나비
가작 시 손은정 태광 미용실 30주년 기념 타월
가작 시 홍세영 꽃반지
가작 시 김하윤 사과즙
입선 시 황현숙 냉장고에서 시어 버린 김치를 꺼내면서
입선 시 김소나 수문을 잠그다
입선 시 박천숙 행복한 책의 나라
입선 시 김정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입선 시 김성아 셔틀콕
입선 시 임정수 할미가 살아가는 법
입선 시 손영미 사랑을 위한 비유법
입선 시 이정임 당신의 온도는요?
입선 시 김영숙 터미널 의자
입선 시 정옥자 노래로 지어진 나무
맥심상
시 고보경 1호선의 외국인
시 고은비 벚꽃 비 내린다면
시 권명희 엄마의 꽃밭
시 금동현 白?
시 기예은 나는 밥이 되었다
시 김명순 생(生)의 마지막
시 김문순 모반 母斑
시 김미선 오베르 쉬르 우아즈
시 김미순 일상의 베토벤
시 김미연 짱뚱어 잡이
시 김미옥 고청개 사월
시 김미향 부록을 편집하다
시 김영애 갈아 끼우는 풍경
시 김영욱 호구거리
시 김유리 오늘
시 김은순 죽간竹簡
시 김은영 갈매나무 헌책방
시 김지연 나의 활달한 경계
시 김지혜 아버지 산(산(山))
시 김향숙 시큰거리는 어머니
시 김현재 빈집
시 김효정 정류장의 표정
시 박갑순 보청기
시 박미숙 수문장
시 박선희 바람꽃
시 박선희 등
시 박세혜 무통증
시 박수영 가을 종착역
시 박용숙 풍문
시 박은선 바다바라기
시 박은순 어머니의 푸성귀
시 박혜경 네 번째 계단에 앉아
시 박화선 호박은 처음부터 갑각류가 아니었다
시 배수영 로드 킬
시 백소영 아네모네 맨션
시 백소윤 뿔꽃
시 백승미 띄워쓰기
시 서미숙 시접
시 서유경 사과꽃향기
시 석성득 분재
시 석수정 찌라시
시 설은영 아버지, 어디쯤이세요?
시 손유빈 빈티지
시 송영화 풀의 본적
시 신복순 의류수거함
시 신지원 포화
시 신현정 뭇별
시 신혜숙 마른 꽃
시 심보람 사막
시 안명자 종기
시 안사임 우리는 눈썹으로 얘기했다
시 안성은 나무와 볕과 소란들
시 유선자 슬픔은 바이러스가 오는 길
시 유원희 꽃병의 몰락
시 윤경예 소똥구리 재발견
시 윤빛나 감자꽃 어머니
시 윤석열 진리상점
시 윤주희 균열 이후
시 이가원 빛나기엔 부족한
시 이가은 앵무새
시 이미순 바다 나이테
시 이보람 오래된 구두
시 이성숙 그대, 잠자리는 편안하신가
시 이숙희 깨꽃
시 이숙희 봄을 수저로 떠먹다
시 이순영 동물원
시 이은희 스타킹을 신고
시 이장산 먼지 찬가(삶의 노래)
시 이정애 프레임
시 이혜경 빗방울
시 이혜정 엑스트라
시 임명옥 지상에서 가장 작고 가장 쓸쓸한
시 임소형 도시의 나무
시 임진순 국시
시 장미자 봄날의 鄕愁
시 장서영 어제는 문밖에서 잎맥의 숨을 읽었다
시 장예은 동백
시 전영란 냄새의 무게
시 전진순 화살나무
시 정경숙 조각난 지붕
시 정수빈 골목길
시 정유리 흰, 어떤, 방
시 정유하 오늘 바다는 마름모꼴로 접을 수 있다
시 정은진 나, 초식동물
시 정혜숙 엄마의 서랍
시 조은숙 꽃길
시 조재일 하늘에서 지상으로
시 조진희 추억의 맛
시 지주현 뿌리에서 꽃까지
시 차희영 방향
시 천현주 오늘도 몇 벌의 옷이 사람들의 머리를 싣고 걸어간다
시 최영희 돌아온 숟가락
시 최정란 소나기
시 한명희 기억의 반경
시 한혜원 카운트다운
시 허순옥 제 5의 계절
시 홍숙영 새참
시 홍은아 동해(東海)
시 홍효숙 잣나무 평상
시 황예솔 무동력선
'국내 문학상 > 동서커피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4회 동서커피문학상 (0) | 2020.10.27 |
---|---|
제13회 동서문학상 수상작 (0) | 2017.10.11 |
제12회 동서커피문학상 (0) | 2014.11.28 |
제11회 동서커피문학상 입선 (0) | 2012.11.09 |
제11회 동서커피문학상 가작 (0) | 2012.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