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開 / 김지하
부연이 알매 보고
어서 오십시오 하거라
천지가 건곤더러
너는 가라 말아라
아침에 해 돋고
저녁에 달 돋는다
내 몸 안에 캄캄한 허공
새파란 별 뜨듯
붉은 꽃봉오리 살풋 열리듯
아아
'花開!'
독재 권력에 맞서 자유의 증언을 계속해온 양심적인 행동인 김지하는 1941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김영일(金英一)이다. 아호로 노겸, 노헌(勞軒), 우형(又形), 묘연(妙衍)이 있다. 필명 ‘지하(地下)’가 굳어져 이름처럼 사용되자 ‘지하(芝河)’라 하게 됐다. 1953년 산정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목포중학교에 입학했으나, 1954년 강원도 원주로 이사하면서 원주중학교에 편입했다. 1956년 원주중학교를 졸업하고 1969년 중동고등학교를 나와 1966년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했다. 1969년 <시인>지에 「황톳길」 등 5편의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964년 대일 굴욕 외교 반대투쟁에 가담해 첫 옥고를 치른 이래 ‘오적 필화 사건’, ‘비어(蜚語) 필화 사건’, ‘민청학련 사건’ 등으로 8년간의 투옥, 사형 구형 등의 고초를 겪었다. 1980년대에는 생명운동 환경운동을 펼쳐왔다. 1991년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학생들의 분신자살이 잇따를 때 「죽음의 굿판을 당장 걷어 치워라」라는 제목의 글을 조선일보에 기고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김지하는 생명에 대한 존중에서 비롯된 비판이었다고 해명했지만, 결과적으로 노태우 정부를 돕게 된 결과를 낳아 많은 이들의 비난과 원성을 샀다. 이 일을 계기로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직과 회원자격 정지 결정을 당하기도 했다.
아시아 아프리카 작가회의로부터 ‘로터스 특별상’(1975)을, 국제시인회의로부터 ‘위대한 시인상’(1981)을 받았다. ‘크라이스키인권상’(1981), ‘이산문학상’(1993), ‘정지용문학상’(2002), ‘만해문학상’(2002), ‘대산문학상’(2002), ‘공초문학상’(2003), ‘영랑시문학상’(2010) 등을 수상했다.
대산문화재단(이사장 신창재)이 시상하는 제10회 대산문학상 시부문 수상작으로 김지하(61)씨의 ‘화개’(실천문학사刊)가 7일 선정됐다.
대산문학상은 부문별로 3천만원씩 모두 1억5천만원의 상금을 주는 국내 최대 종합문학상이다. 올해는 소설부문에 김원우(55)씨의 「객수산록」(문학동네刊), 희곡부문에 김명화(36)씨의 「돐날」, 평론부문에 김윤식(66)씨의 「우리 소설과의 대화」(문학동네刊), 번역부문에 이인화 원작소설 「영원한 제국」을 영역한 유영난(48)씨의 「Everlasting Empire」(미국 이스트브리지刊)가 각각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심사위는 "「화개」는 민주화운동 후유의 시대의 울적과 긍정을 직설적이고 열정적으로 그러나 단순화하지 않고 역설적으로 표현해 시와 삶의 내력에 또 하나의 표적을 이뤘다"고 말했다.
「객수산록」은 "문학마저 한없이 가벼운 소비재로 인식되는 ‘문학의 위기’ 시대에 반속정신을 통해 본질의 회복을 지향하는 작가의 외롭고 지난한 투쟁은 우리 문학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몫을 담당한다"고 평가됐다.
이어 「돐날」은 "드라이한 언어와 반어적 유머로 386세대의 도덕적 추락과 인간적 파괴를 적나라하게 도해했다"는 평을, 「우리 소설과의 대화」는 "우리 소설계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종횡무진 점검하며 문학사적 맥락과 개인사적 문맥을 함께 열어보이는 대화의 기술이 뛰어나다"는 평을 각각 들었다.
심사위는 「Everlasting Empire」에 대해 "18세기 조선조의 직제와 문물 등을 뛰어난 영문으로 번역했다"며 후한 점수를 주었다.
시상식은 오는 29일 오후 6시 세종문화회관 대연회장에서 재단 창립 10주년 기념식을 겸해 열린다.
'국내 문학상 > 대산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회 대산문학상 / 이성복 (0) | 2021.07.22 |
---|---|
제11회 대산문학상 / 김광규 (0) | 2021.07.22 |
제9회 대산문학상 / 이성부 (0) | 2021.07.22 |
제8회 대산문학상 / 최승호 (0) | 2021.07.22 |
제7회 대산문학상 / 황지우 (0) | 2021.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