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지리산 / 이성부

 

 

가까이 갈수록 자꾸만 내빼는 산이어서

 

아예 서울 변두리 내 방과

 

내 마음속 깊은 고향에

 

지리산을 옮겨와 모셔놓았다

 

날마다 오르내리고 밤마다 취해서

 

꿈속에서도 눈구덩이에 묻혀 하우적거림이여

 

 

 

 

 

지리산

 

nefing.com

 

민중들의 어렵고 고통받는 삶을 작품 속에서 여러 형태로 그려낸 시인으로, 개인의 행복이나 불행이 사회와 무관하지 않다는 인식 아래 소외된 존재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는 민중시를 썼다. 1980년대 말 이후에는 산(山)과 산행(山行)을 소재로 한 시를 주로 쓰고 있다. 1960년 광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3년 경희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다.

 

1969년 〈한국일보〉 기자로 입사해 〈한국일보〉와 〈일간스포츠〉에서 홍보부, 생활부, 사회부, 문화부 부장 및 편집국 부국장을 지내고 1997년 사직했다.

 

1962년 〈현대문학〉에 〈열차〉 등으로 추천 완료되어 등단했고, 196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우리들의 양식〉이 당선되었다. 〈이성부 시집〉(1969), 〈우리들의 양식〉(1974), 〈백제행〉(1976), 〈전야〉(1981)에 이르기까지 그의 시는 민중의 강인한 생명력과 서민의 정한을 담아내는 사실주의 시로서, 민중적 차원의 보편성을 획득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겪으며 작품활동을 중단하고 산행에 나서, 사회구조의 부조리와 폭력에 대한 절망, 자기학대와 죄의식이 역사의 상처와 만나면서 어떻게 제자리를 찾는가를 성찰하였고, 이후 산에 얽힌 역사뿐만 아니라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살이를 온전히 담아내는 시를 쓰고 있다.

 

〈빈산 뒤에 두고〉(1989), 〈야간산행〉(1996), 〈지리산〉(2001), 〈작은 산이 큰 산을 가린다〉(2005), 〈도둑산길〉(2010) 등은 그 결과물이다. 현재 그에게 있어서 '산'은 한국인의 삶과 역사, 문화의 중요한 무대이자 배경이며 삶의 터전이자 의식 형성의 원형적 상징이다. 시집 이외에 산문집 〈산길〉(2002)을 냈다.

 

현대문학상(1969), 한국문학작가상(1977), 대산문학상(2001), 편운문학상(2005), 가천환경문학상(2007) 등을 수상했다.

 

 

 

도둑 산길

 

nefing.com

 

 

‘대산문학상’ 수상한 이성부 전 일간스포츠 문화부장

 

“가까이 갈수록 자꾸 내빼버리는 산이어서
아예 서울 변두리 내 방과
내 마음속 깊은 고향에
지리산을 옮겨다 모셔놓았다
날마다 오르내리고 밤마다 취해서
꿈속에서도 눈구덩이에 묻혀 허위적거림이여”

지난달 31일 대산문학상을 수상한 이성부 시인(사진)은 자신이 지리산에 대해 갖는 애틋한 사랑을 이렇게 읊었다. 97년 일간스포츠 부국장 겸 문화부장을 끝으로 언론계 생활을 마감하고 백두대간의 시적 형상화에 주목하고 있는 이씨는 “너무 기쁘다”는 말로 수상소감을 대신했다.

대학 재학시절인 1962년 현대문학에 ‘열차’ 등의 시가 추천되어 등단한 이씨는 그 뒤 60∼70년대에 활발한 작품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신문기자로서 80년 광주를 겪으며 그는 언어에 대한 절망, 가슴이 터질 것 같은 노여움과 서러움 때문에 한동안 시의 세계를 떠나 있었다.

그는 “시와 언어와 문자를 경멸하는 시를 몇 편 썼으나 가슴만 더 답답해질 뿐이었다”면서 “그 때문에 아예 시쓰기를 단념하고 신문사의 기획물에만 매달려 숨어있는 예인이나 장인들을 찾아다니며 그들의 삶을 신문에 쓰는 것으로 견디기 어려운 세월을 보냈다”고 말했다.

이런 그에게 다시 시를 쓰게 만들어준 것은 ‘산’이었다. “파충류와 같이 꿈틀거리기만 하던 내게 어느날 산이 왔다. 내가 산에 간 것이 아니라 산이 나에게 왔다.” 앞사람의 발뒤꿈치만 보고 오르던 직장 산악회의 무덤덤한 산행을 1년쯤 한 뒤 그는 비로소 산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회사 책상머리에 앉아서도 산악지도만 들여다보면 가슴이 설레였고 지도와 나침반과 관련 책들을 매만지는 시간이 많아졌다”면서 “광화문 네거리에서 바라보이는 북한산의 보현봉이 나를 손짓하는 것만 같았다”고 당시의 자신을 회상했다.

이렇게 ‘산’과 만나게 된 그는 이후 10여년간 산에만 매달려 지내다 90년을 전후해 산 체험을 바탕으로 한 시와 에세이 등을 발표했다. 그리고 지리산에서 백두산에 이르는 백두대간을 올라 감동과 느낌을 시로 담아내려는 작업을 시작했다. 그 첫번째 결실이 이번에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된 시집 <지리산>인 셈.

그는 북한의 산들을 꼭 가보고 싶지만 여러 가지 장애가 많아 마음이 편치 못하다. 그는 “이제 60이 다 된 나이에 너무 큰 목표인 것 같기도 하지만 자유와 고독과 야성을 찾아가려는 이 행위야말로 나의 시가 가야 하는 길과 닮아 있는지 모른다”면서 마음을 다잡는다.

그는 “남쪽의 백두대간은 지금 80% 정도는 오른 것 같다”면서 “그 사이 작업이 신통치 못하고 성에 차지 않지만 ‘내가 걷는 백두대간’의 작업이 완성될 때까지 더 열심히 하고 부지런해져야겠다고 다짐한다”면서 감사의 소회를 끝맺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