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숲의 책을 읽다 / 이문정

- 계림(鷄林)에서


천년을 지나온 길은 이곳에서 처음 열렸으리


나무의 몸 빌려 빛을 세운 숲

한걸음 내 딛자 침묵하던 나무들이 책장을 넘긴다

빛은 나무와 호흡하며 숲을 지켜왔으리

나무들은 힘찬 맥박 뻗어 하늘로 넓혀갔고

뿌리는 몸 낮추어 사방으로 길을 만들어 갔으리


어둠 걷어내며 하늘 열리던 날

나무와 바람은 광명을 천지에 퍼다 날랐고

그리하여 새들 날아들고 노랫소리 끊이지 않는

숲은 날로 번성해 갔으리라


입술에 닿는 책의 숨결이 깊어진다


발이 움직일 때마다 천년도 더 된 노래들이 일어선다

빛의 소용돌이를 잠재우며 그 자리에 서 있는 숲

집중할수록 또렷해지는 페이지를 넘기면

까마득한 날과 소통되는 언어들의 포옹

계절을 잉태한 태실에서 날갯짓 하고 있다


숲을 읽으면 눈빛 스친 자리에서 날아오르는 문장들

오랜 시간 이름 없이 살아도

제 풍경 거두지 않고 푸른 잎으로 돋는다

지금 우리가 체류했던 시점도 숲의 페이지에 기록될 것이리

숲의 중심에 빛이 내려앉는다

물푸레나무가 빛을 따라 뿌리를 하늘로 뻗는다

빛을 끌어당긴 숲이 일어서고

다시 천년을 향한 길이 열리고 있다



'국내 문학상 > 신라문학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4회 신라문학대상   (0) 2012.12.16
제23회 신라문학대상 / 봉윤숙  (0) 2011.12.28
제21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20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9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728x90


만파식적 / 김인숙

 

 

검은 허공을 마디마디 안고 있는 나는

당신의 더운 입김을 기다리는 피리여요


만 가지 근심이 출렁이고 있어요

속 깊이

바람을 불어넣어 내 몸을 덮어 주어요

내려앉은 어둠을 밀어내 주어요

 

당신의 촉촉한 입술이 닿으면

깜깜한 어둠에 파르르 균열이 이어나지요


가지런한 내 숨구멍을 따라

당신의 손가락 끝이 움직일 때마다

끊어질듯 이어지는 비명이 흘러나와요

내가 깨어나는 소리여요

 

당신이 자아낸

푸른 음률은 북명 바다를 찾아 떠나고

따뜻한 음색은 흐르는 강으로 녹아들며

하늘아래 외로운 대나무들

무성한 숲으로 서게 하여요

 

내 몸속으로 들어와

깊디깊은 잠을 깨우는 당신은

어둠을 베는 섬광 같은 칼날인가요

강바닥 쿡쿡 내려 찧는 상앗대인가요


소리로서 천하는 다스려지는데

당신 없는 나는 침묵이어서

슬퍼요, 서러워요


 

 

 

728x90


별빛소리 / 주재규


어둠이 줄지어 설 때 알리라

갈 곳을 몰라 거리에서 붙들린 시간을

따라 잡는 별빛으로 걸음을 늦춘다는 것을.

잠자는 갈대의 숨결이 긴 한숨으로 나뒹굴고

달에 비치는 밤새 소리는 새벽과 같이

꿈을 줄다리기한다는 것을.

내가 별빛이 지키고 있는 들녘에 서서

흐린 눈으로 밤의 향기에 취할 때

기나긴 꿈이 끝나는 샛길로 걸어온 아침은

마침내 둥그런 해를 내 뱉지만

자유로운 새벽 들판에는 밤새 꿈꾸었던 풀 이슬이

이파리마다 동그랗게 구슬을 꿰고 몸을 굴려서

저마다 햇살의 입술에 달콤한 빛을 뿌려도

해는 알몸으로 희생된 이슬의 사랑을 알지 못한다.

나는 어지러운 바람을 호주머니에 구겨 넣고는

낮은 포복으로 기다린다.

별빛이 풀잎을 타고 구르는 소리를.

흐트러진 머리카락을 가진

우리의 꿈에 날카로운 촉각을 만들어라.

예지가 시퍼런 불꽃을 촘촘히 밝혀둔 밤하늘은

고통의 수렁에서 건져 낸

내 빛나는 보색에 난 상처를 헹군다.

별빛이야, 그대는 알리라.

언젠가 반짝거리며 차가운 창문 틈으로

내 눈이 환하게 밝아진다는 것을.

 

 

 

728x90


月池에서 / 김문양

 

 

바람이 길을 내는 곳은 언제나 만삭의 보름밤이어야 하리

달빛으로 이파리들 사루어

한 자락마저 끌어 덮으면 남색 물무늬를 풀어 놓습니다

풀어낸 물길 속으로 나른한 잎새와 문무백관의 표정을 장금하고

비로소 생성되는 불굴의 달, 제 몸 가두고서

저토록 환한 얼굴 뜬눈인 체 잠겨 있습니다


발목 묶어 뜨겁게 걸어 온 저 만월

소문같이 차디찬 물 속을 흔들리는 달

저 달은 누구의 분신일까요

나는 어이 어이 하고 달을 깨워 불러 봅니다


하아, 사람들아 세상의 맛은 달빛으로 무르익는가

오호라, 저 달빛이 온전한 이사금으로 태어나기 위해

잠시 깊숙한 물 속 부처님처럼 앉았다가

죽비 기다리는 승려의 어깨 넘어 들썩이다가

먼 불국사 법열의 독경소리 이끄는 나릇배 한 척

노 저어라 어화둥둥 노를 저어라,

가슴까지 차오른 물살 휘젓고 팔백 계단 맨발로 걸어 와

이제는 안압정에 닿아 툭툭 꽃잎 벙그는 자리

저기 환한 연등 속 마애불 걸어오고 있습니다


*月池: 안압지의 원래 명칭. 신라시대는 월지로 불리어졌으나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안압지로 명칭이 바뀌어 졌음.

 

 

 

'국내 문학상 > 신라문학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1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20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8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7회 신라문학대상 / 김준  (0) 2011.07.24
제16회 신라문학대상 / 유행두  (0) 2011.07.24
728x90

 


아버지 金堂에 들어계시다 / 권재은


 

산마루도 가쁜 숨 몰아쉬는지

바위구절초꽃무리 누웠다 일었다 하는 *금당산

구들장 뜨던 곳 구들장 지는 게 젤 편하단 말 속엔

등짐 지던 사람의 땀방울이,

구들돌을 떠메고 버겁게 비탈을 내려온 사람의

벗겨진 등이 누워 있다


식솔들 거느릴 집 한 채 일으키려

오뉴월 염천을 오르내린 아버지

고래로 들이치는 불기 온 몸으로 견뎌

흙바람에 터 언 손 다독여 주던 구들

구부정 세상을 진 그 어깨에 기대어

묵은 체증 같은 내 마음의 그을음에 불붙길 기다린다

구재가 타면 몇날며칠 온 방이 뜨뜻했던 것처럼

나도 꽤 쓸 만한 온돌이 될지도 몰라


군불을 지피는지 향을 사르는지

푸른 연무자락에 둘러싸인 산

수많은 목어와 풍경을 거느린 웅장한 사찰이다

떠낸 구들돌 대신 지금 금당에 들어계신 아버지

아무도 뜨러오지 않는 구들장

그 미완의 經板 혼자 다 지시고

아직 불에 닿지 않은 경구들 읊조리시나

불 땐 아랫목에 몸져눕던 나

쓰러져 그 산에 기댄다


*금당산: 안동시 월곡면 소재의 산 지금 월곡면은 안동댐 수몰로 없어졌다


 

 

'국내 문학상 > 신라문학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0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9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7회 신라문학대상 / 김준  (0) 2011.07.24
제16회 신라문학대상 / 유행두  (0) 2011.07.24
제15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728x90

 

 

書出池 / 김준

 

 

연못은 거울이다.

두 눈과 두 귀 다 환한 거울이다.

이 세상에 가장 먼저 비가 온다는 걸

온몸으로 느끼는 서출지에

쿡쿡 손가락으로 눌러 쓴 ‘三國遺事’

날으는 새가 읽고 가서

쥐구멍에서 볕들길 기다리는

쥐에게 알린 말 못할 사연.

물고기들 흐린 눈알을 닦고닦아

經을 읽는 일연 선사의 기가 막힌 설화를 들어보라.

사람이 사람을 어렵게 만들 말은

물고기의 아가미를 통해서 내뱉는다.

이 세상에 진흙탕물은 더러운 이야기들이

일연 선사  쓰다가 구겨 던진

‘삼국유사’, 거문고갑[琴匣]*에서

奏樂供養처럼 아름답게 피어난다.

세상의 어떤 연못 속에서 저렇게

쥐들이 외치는 억울한 말이

보글보글 물방울로 연꽃처럼 피겠는가.

세상의 성한 두 눈과 열린 귀가 닫혔다고

아프게 죽비를 내리치는

연못에 내리는 빗소리는

쥐죽은 고요한 밤에

쥐도 새도 모르게

귓불이 도톰한 연잎이 먼저 듣는다.

 

* 紀異扁 제1사금갑조에 나온다.

 

 

 

 


[당선소감] 신라, 내 미혹의 출발점

기쁘다. 이 기쁨의 始原은, 초등학교 수학여행에서 만난 석굴암의 석가모니를 처음 만났을 때의 희열로 치환해도 될 것이다. 석굴암의 석가모니는 김대성이 전생의 부모님을 위해 지었다고, 그때 나는 듣게 되었다. 그 어릴 적 주어 듣 은 말은 줄곧 살아오면서 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다. 이승의 부모님도 아닌 전생의 부모님을 위해 혼신의 열정의 다해 불후의 작품(?)을 남긴, 김대성의 생각은 나에게 하나의 의문이기도 했다. 어쩜 그 일은 현세의 부모님에게 불효를 하면서 지었을 김대성의 그 현존을 뛰어 넘은 생각, 그것을 깨닫는데 어쩜 20년이란 세월이 걸렸는지 모른다. 아니 아직도 나에게는 여전히 미혹이다.


신라는 나에게 그런 미혹의 출발점이고 늘 그런 도정에서 신라를 찾곤 하였다. 그때마다 수학여행이라든지 답사기행이란 타이틀이 붙어있었지만, 나는 늘 혼자였다. 따라서 나의 문학이라고 말하면 약간 건방질까 싶지만 혼자와의 세계 와의 교신이었다. 이 세계는 시간과 공간이란 것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것 같으나, 이 세계 속의 신라의 거대한 선조들의 유산처럼 늘 이승과 현존이 함께 공존한다는 생각이 든다. 따라서 윤회의 사상, 불교문화와 무관한 신라의 유적들은 흐르는 시간과 공간의 영원불멸한 재귀사상으로 귀결되는 코드라고 말하고 싶다. 사족이지만 대학에 떨어지고 재수하면서 방황할 때, 그때마다 나의 미래를 생각하면 암울하고 때론 보이지 않는 안개 같았다. 그런 나날 속에 머리에 떠나지 않았던 김대성 이란 인물은 나에게 큰 정신의 힘이었다. 나는 믿는다. 물질만능의 세계에서 결코 굴하지 않는 자신감의 出處는 석굴암에서 처음 본 동해의 해, 그리고 석가모니 이마에 박힌 해였다. 시작은 출발이다. 나는 이 기회로 새로운 출발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다. 심사위원 선생님과 나의 전생의 부모님과 현생의 부모님 께 감사한다. 어쩜 나는 전생의 기억으로 이글을 쓰는 지도 모른다. 신라문학 대상 관계자 여러분에게 감사드린다. 열심히 삶을 시처럼 살겠다.

 

 

 

 

[심사평] 본선 후보 20여 명은 등단 수준 - 당선시 '서출지'는 역사 소재 소화 능력 뛰어나

해마다 심사 위원들이 궁금해 하는 것은 응모자가 누구일까이다. 모두들 수준 높은 시를 응모했다. 그러나 응모 원고에는 이름, 주소가 없다. 한편 심사를 하면서도 떳떳함을 느껴서 좋다.


신라문학대상 수준이 높다는 것은 이미 우리 문단도 다 안다. 이 상 출신들이 문단에 등단해서 계속 수준 높은 수준의 작품을 쓰고 있다는 사실도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못지않게 경주시나 주최 측도 재정, 행정적 뒷받침을 잘 해주고 있어 이 상 제도가 흔들리지 않고 잘 운영되고 있어 다행이다.


올해 응모시 7백여 편에서 20여 편을 골랐다. 본선에 오른 작품은 시 ‘신라의 달밤’ ‘설총의 편지 1,2,3’ ‘어머니의 우물’ ‘미완의 사랑’ ‘벚꽃길’ ‘수막새라는 말’ ‘손안의 천수답’ ‘경주남산 1’ ‘잃어버린 채널’ ‘명파리 감나무’ (이상 허영자) ‘경주, 왕릉들의 밤마실’ ‘나비의 꿈’ ‘ 낭산에 들다’ ‘권태’ (이상 신세훈) 들. 여기서 최종 3편을 골랐다. 시 ‘신라의 달밤’ ‘설총의 편지 1,2,3’ ‘서출지’였다. 어느 작품을 골라도 ‘당선’의 실력에는 손색이 없어보인다. 그러나 한 편을 뽑아야 하므로, 장점보다는 단점을 찾기에 열중했다. 먼저 ‘신라의 달밤’은 제목에 걸려들었고, 형식이 원래 산문 구조 바탕이나 행처리로 운문처럼 꾸몄다는게 큰흠이었다. 만약 ‘당선 합의’에 이르렀다면 시제목을 ‘신라의 달빛’으로 고칠 것을 조건으로 했을 것이다. '설총의 편지'는 연작의 느슨한 허점을 보였다. 그 중 ‘3’이 시로서는 안정돼 있다. 해서 남은 시 ‘서출지’를 당선으로 올리는 데 합의하기에 이르렀다. 이 시는 ‘3국 유사’에 나오는 역사 소재를 잘 소화해 낸 시미학이 돋보인다. 그러나 보편화되지 않은 소재에 한자 시어 남용이 좀 어색하고, ‘쥐’라는 시어가 여러 번 등장해 심사 위원들을 불안하게 했지만, 가장 탄탄하게 잘 짜여져 있어 밀기로 했다.


‘……들어보라.’ 같은 어미수사법도 조심할 일이고, 기성 시인들의 ‘닮은꼴 시법’에서도 완전히 벗어나야겠다. 사실 본선 후보 20여 명은 모두 등단 수준급이었음을 밝혀둔다.

심사위원:허영자, 신세훈 시인

 

'국내 문학상 > 신라문학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9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8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6회 신라문학대상 / 유행두  (0) 2011.07.24
제15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4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728x90

 

 

솟골 / 유행두

 

 

솟골엔 재수 없이 둘이만 산다

광대뼈 골 높은 서황댁이랑

뻐드렁니도 없어 밥알 녹여먹는 모동댁이랑

앙살스런 과부 이가 서 말이라고

서황댁 흉보는 모동댁

마늘밭 고랑에서 무릎 시리다 푸념하고

모동댁 아들 없다 무시하는 서황댁

박힌 우물 차지하고 파뿌리 다듬는다

솟골에

솥단지 하나씩 걸어놓고

바람소리에 개 짖으면 서황댁

이민 간 아들 같아 삽작문 밀어보고

구름 내려앉아 도둑고양이 처마 밑 기웃거리면

모동댁

미운 척 밥 한 술 던져준다

아랫동네 염쟁이영감 새끼 꼴 힘이라도 남아 있을 때

죽어야 한다고

속없는 아랫배에 쪼글쪼글한 말 집어넣고

서황댁 모동댁

먼저 죽기 내기한다

메아리도 꼴딱 넘어가지 않는 솟골

서황댁 모동댁

징글징글 산다.

 

 

 

 

 

태양의 뒤편

 

nefing.com

 

'국내 문학상 > 신라문학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8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7회 신라문학대상 / 김준  (0) 2011.07.24
제15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4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3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728x90

 


종소리 / 이인주

 


멜로디 없는 음이

어떻게 세상 끝까지 울려 퍼질 수 있나요

아가, 그것은 바로 네가 종안에 있기 때문이란다


내가 어떻게 종안에 있을 수 있었나요

그것은 이 아비가 너를 그 안에 가두었기 때문이야


가두다니요, 갑갑해요

밤마다 포뢰*의 울음소리가 나를 잡아먹어요

아가, 그래도 견뎌야 한단다

오직 견디는 자만이 만리밖 소리를 거머쥘 수 있단다


아버지, 가슴이 아프지도 않으세요

아가, 가슴을 찢으면 무덤이 보이고

무덤을 밟고서면 종소리가 들린단다

견디고 견디거라, 소리가 키운 네가

마침내 그윽해지거든

저기 저 기다리던 구름을 타고 날아올라라


이 배흘림의 감옥이 나의 것이라면

一乘圓音을 얻게 해 주세요

아가, 내가 가둔 건 네가 아니란다, 네가

단 한 번의 울음을 소리 높여 울적에

대대로 업고 온 종의 몸

뒤통수의 공명 같은 것이란다


* 포뢰 : 바다에 살고 있는 상상의 동물로, 그 울음소리가 끝없이 멀리까지 난다고 함

 

 

 

'국내 문학상 > 신라문학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7회 신라문학대상 / 김준  (0) 2011.07.24
제16회 신라문학대상 / 유행두  (0) 2011.07.24
제14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3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2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728x90

 

 

상사바위, 붉은 반점의 기억 / 김미숙

사람들은 그것을 피리의 피라 부른다, 하늘로 마르지 못하고 제 집을 서성이는, 사랑을 앓는 가슴들은 이따금씩 이곳에 올라 청자빛 알몸을 드러내고 몇 소큼의 피를 토한다고 한다

1
옛날옛날 신라국,
남산골 얼굴없는 소석불같은 한 노인과
외롭던 노인을 잘 따르던 소녀 피리가
금오산 자락 국사골에 살더니만
청자빛 남산 진달래 꽃술
하늘로하늘로 눈을 뜬
서라벌 봄빛 잉태되던 어느날,
훌쩍 키 오른 피리 청보라빛 처자가 되더니만
아이아뿔사,
국사골 노인 가슴에 붉게 봄불 올랐네
백자같은 가슴 쓸어도쓸어도 붉게붉게 봄불 올랐네

2
오랜 옛날 신라국,
연잎같이 일렁이던 남산 국사골
한 생 둥글게 살아가던 늙은 사랑
얼굴없는 사랑에 둥글게 갇히더니만
피리낭자 떠나버린 숲 빈 나무그늘
아이아뿔사
그만 목을 메더니만 늙은 몸은 스러져도
그림자는 스러지지 않는 사랑이더니
빈 혼령에 봄불터지는 가여운 사랑이더니
피리의 꿈길 밤마다 찾아와 낭자를 품에 안으니
그림자는 어느새 뱀이 되었더라나
아이아뿔사
죽어서도 끊지 못한 그리움 상사뱀이 되었더라나

3
피리낭자 한닢한닢 청보라빛 너울을 벗더니만 나이없는 바위로 태어나 당신을 위로하리라, 하더니만 연잎 하늘 가둔 어느날, 두 혼령이 국사골로 들어가는 것을 보았다는 말들이 아이아뿔사 상사바위로 태어나더니만, 지금도 상사암엔 신라인 발걸음 둘 얼굴없는 소석불처럼 서성인다나,

 

 

 

신라문학대상 운영위원회(위원장 백상승∙경주시장)가 주최하고 문협 경주시지부(지부장 윤기일)가 주관한 ‘제14회 신라문학대상’의 시, 소설, 수필 등 3개부문 당선작이 27일 선정돼 발표됐다. 지난 10월 한달동안 시 469편, 소설 26편, 수필 91편을 접수받아 심사한 결과 시 부문에서 김미숙(32∙여∙포항시 용흥동)씨의 ‘상사바위’등 10편이 선정돼 500만원의 상금을 받게 됐다.
상금 600만원이 걸린 소설 부문에는 이화리(46∙여∙경주시 안강읍 산대리)씨의 ‘엄마 말, 사전’이, 3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지는 수필 부문은 김정임(38∙여∙부산시 당감3동)씨의 ‘박물관에서’ 등 4편이 각각 선정됐다.
신라문학대상은 문창후 최치원과 매월당 김시습, 동리 김시종, 목월 박영종 등 뛰어난 문필가를 배출시킨 민족예술의 본고장인 경주전통문학의 명맥을 이어가는 유일한 신인 등용문으로 권위를 자랑하고 있다.
시상식은 오는 30일 오후 5시 보문관광단지 콩코드호텔에서 열린다.
경주=송원호기자 songwh@idaegu.com

 

 

'국내 문학상 > 신라문학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6회 신라문학대상 / 유행두  (0) 2011.07.24
제15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3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2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1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728x90

 

 

강전욱

 

13

'국내 문학상 > 신라문학대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5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4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2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1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제10회 신라문학대상  (0) 2011.07.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