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새벽 세 시의 사자 한 마리 / 남진우

 

 

지금

목마른 사자 한 마리 내 방 문 앞에 와 있다

 

어둠에 잠긴 사방

시계 똑딱거리는 소리

잠자리에 누운 내 심장에 와 부딪치고

참 가득히 밀려온 밤하늘엔 별 하나 없다

 

아득히 먼 사막의 길을 걸어 사자 한 마리

내 방 문 앞까지 왔다

내 가슴의 샘에 머리를 처박고

긴 밤 물을 마시기 위해서

 

짧은 잠에서 깨어나 문득 눈을 뜬 깊은 방

돌아보면 아무도 없는 허허벌판의 텅 빈 방

불어오는 바람에 흩날리는 사자의 갈기가

내 얼굴을 간지럽힌다

 

타오르는 사자의 커다란 눈이 내 눈에 가득 차고

사나운 사자의 앞발이 내 목줄기를 짓누를 때

천둥처럼 전신에 와 부딪치는

시계 똑딱거리는 소리 

 

문을 열고 나가보면 어두운 복도 저 편

막 사라지는 사자의 꼬리가 보인다

 

 

 

새벽 세 시의 사자 한 마리

 

nefing.com

 

 

대산문화재단(이사장 신창재) 주관 제15회 대산문학상 수상자로 소설가 김훈(59), 시인 남진우(47)씨가 선정됐다.


수상작은 장편 ‘남한산성’, 시집 ‘새벽 세 시의 사자 한 마리’다. 소설 심사위원단(김인환·박완서·임철우·최윤·황광수)은 “문자화된 역사를 살아있는 생생한 살과 피의 형상으로 복원해 내는 능력과 단순 명쾌한 문체가 돋보였다”는 점에서, 시 심사위원단(김우창·김종해·정과리·천양희·황지우)은 “신비에 대한 탐구가 경험적 진실 속에 뿌리내렸고, 시적 전통의 혁신이 탁월하다”는 면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희곡 부문은 ‘열하일기 만보’의 배삼식, 평론은 ‘비평극장의 유령들’의 김영찬, 번역 부분은 황석영의 ‘한씨연대기’를 독일어로 번역한 강승희·오동식·토르스텐 차이악에게 돌아갔다.


상금은 소설 5000만원, 시·희곡·평론·번역 각 3000만원이며 시상식은 29일 오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다.

 

 

 

사랑의 어두운 저편

 

nefing.com

 

 

최근 제15회 대산문학상 시부문 수상자로 선정된 남진우(47) 명지대 문예창작과 교수는 그동안 시인보다는 문학평론가로 더욱 널리 알려져 왔다.

 

198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평론가로 등단한 그는 1990년 첫 평론집 '바벨탑의 언어'로 '대한민국문학상' 신인상을 수상한 이래 동서문학상(1995), 현대문학상(2000), 팔봉비평문학상(2002) 등 다수의 평론상을 수상했다.

 

반면 지금까지 모두 4권의 시집을 낸 시인이 받은 시문학상은 '김달진문학상' 정도가 유일하다.

 

그러나 어떤 면에서 남씨의 문학적 연원은 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평론가로 등단하기에 앞서 그는 1981년 동아일보 신문춘예를 통해 시인으로 먼저 등단했다. 또 첫 시집 '깊은 곳에 그물을'도 첫 평론집과 비슷한 시기에 펴냈다.

 

아마도 그의 시집이 평론만큼 주목받지 못했던 것은 그다지 쉽게 읽히지 않았기 때문이었는지 모른다.

 

이번 대산문학상 수상시집인 '새벽 세 시의 사자 한 마리'의 경우도 쉽게 다가오는 시는 아니다. 시인은 특유의 상상력으로 시들고 메마르고 어두운 죽음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시, 세속적 삶을 표현하거나 폐허가 된 장소에서 사유한 듯한 시들을 수록했다.

 

심사위원단은 그러나 "그의 낯선 환상세계는 이미 우리 생활문화의 심부에서 전개되고 있는 실존적 체험의 세계인데도 낡은 고정관념이 그걸 못 보게 할 뿐"이라며 "신비에 대한 오랜 탐구를 통한 시적 전통의 혁신이 돋보였다"며 시인의 '고집'을 높이 샀다.

 

시인은 14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문학동네' 계간지 편집에 오랫동안 관여하다 보니 시를 쓰는 사람보다는 평론하는 사람이라는 인상을 사람들에게 심어준 것 같다"면서 "(평론가로서의 활발한 활동이) 시인으로서의 이미지를 깎아먹은 셈"이라며 웃었다.

 

그러면서 "나의 시는 특별히 실험적인 시는 아니지만 내가 지향하는 세계에 극단적인 부분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며 "편안하게 읽히고 소비되는 언어가 아니어서 다소 불편하게 다가갈 수 있는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평론을 쓰면서도 시 쓰기를 게을리하지 않았다는 시인은 "시란 억지로 써서 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순간 찾아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것은 작가가 수상소감문에서 밝힌 "그가 시에게 가기 전에 시가 그를 향해 오는 것"이라는 말과 맞닿아있다.

 

"어느 순간 어떤 부름이 그를 찾아와 그에게 입을 벌리라고, 속삭이고 외치고 노래 부르라고 명령하는 것입니다. 시인의 감수성이란 외부의 소음을 뚫고 우주 저편에서 전해지는 한 소식을 알아듣고 옮겨 적는 능력에 지나지 않는 것입니다."('수감소감문' 중)

 

시인은 이른바 '미래파' 등 극히 실험적인 작품들을 쓰고 있는 젊은 시인들의 작품에 대해서는 "옥석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들을 한꺼번에 싸잡아 어떻다고 말하는 것보다는 좋은 시를 쓰는 시인들과 단지 그런 분위기에 편승한 시인들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정작 '미래파'로 불리는 시인들 중에는 진정한 '미래파'라고 보기 힘든 시인들도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점차 옥석이 가려지겠죠."

 

728x90

 

 

나는 어둡고 적막한 집에 홀로 있었다 / 남진우

 

 

나는 어둡고 적막한 집에 홀로 있었다. 아이는 방바닥에 엎드린 채 산수 문제를 풀고 있었다. 복잡한 수식이 적힌 노트를 들여다보며 아이는 중력 암흑물질 벌레구멍 따위를 떠올리고 있었다.

 

나는 어둡고 적막한 집에 홀로 있었다. 소년은 침대에 누워 천장의 사방연속무늬를 헤아리고 있었다. 소년의 머릿속 은하계 저편에서 죽어가는 별이 다른 우주로 건너가기 위해 마지막 빛을 내뿜고 있었다.

 

나는 어둡고 적막한 집에 홀로 있었다. 천년은 욕실의 차가운 벽에 등을 기대고 앉아 세면대에 한 방울씩 수돗물이 떨어지는 소리를 듣고 있었다. 넥타이를 풀어 헤치며 그는 언젠가 교수대 위에서 자기 목을 죄어들어오던 밧줄의 섬뜩한 촉감을 기억해냈다.

 

나는 어둡고 적막한 집에 홀로 있었다. 그는 책상 앞에 앉아 주름진 손으로 백지에 뭔가를 끄적이고 있었다.

 

사막을 가로질러온 바람이 허공에 모래먼지를 뿌리고 지나갔다. 이내 그가 적은 말들이 바람에 불려 쓸려나갔다.

 

나는 어둡고 적막한 집에 홀로 있었다. 그는 붙박이장을 열고 두터운 옷들을 헤치고 들어가 구석에 웅크리고 앉았다. 멀리서 비상 사이렌 소리가 울려 퍼졌고 비행기 편대가 날아와 공습을 시작했다. 개가 짖어댔고 고양이가 담벼락 너머로 사라졌고 전선 위의 새들이 깃을 치며 날아올랐고

 

나는 어둡고 적막한 집에 홀로 있었다. 그는 밤샘 작업을 마치고 잠을 자기 위해 힘겹게 침대를 향해 가다가 거실 벽에 걸린 전신거울에 비친 흐릿한 모습을 보았다. 중력 암흑물질 벌레 구멍 같은 말들이 빠르게 그의 머리를 스쳐 지나갔다. 어둑한 방 한가운데 먼 혹성에서 온 노인이 불길한 미소를 띤 채 아득히 그를 쳐다보고 있었다. 그것은 내가 풀어야 할 마지막 문제였다.

 

 

 

나는 어둡고 적막한 집에 홀로 있었다

 

nefing.com

 

 

김종삼 시문학상 운영위원회(회장 이숭원)4회 김종삼 시문학상에 시집 <나는 어둡고 적막한 집에 홀로 있었다>(문학동네)의 남진우 시인을 선정했다.

 

김종삼 시문학상은 김종삼(1921~1984) 시인의 뜻을 기리기 위해 대진대학교와 김종삼 시인 기념사업회에서 2017년에 제정했다. 등단한 지 10년이 넘은 시인이 전년도에 발간한 시집 중 김종삼 시 정신에 부합하는 작품을 선정한다.

 

시집 <나는 어둡고 적막한 집에 홀로 있었다>는 남진우 시인이 2009<사랑의 어두운 저편>을 낸 이후 11년 만에 선보인 신작으로 지난해 출간됐다. 수록된 작품은 모두 산문시로 총 68편이 4부로 나뉘어 담겼다.

 

남진우 시인은 전북 전주 출생으로 198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명지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시집 <깊은 곳에 그물을 드리우라>, <죽은 자를 위한 기도>, <타오르는 책>, 평론집 <신성한 숲>, <바벨탑의 언어>, <숲으로 된 성벽>, <그리고 신은 시인을 창조했다>, 산문집 <올페는 죽을 때 나의 작업은 시라고 하였다> 등이 있다. 대한민국 문학상, 김달진문학상, 소천비평문학상, 현대문학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김종삼 시문학상시상식은 다음 달 5일 열릴 예정이며, 상금은 1000만 원이다.

 

728x90

 

 

1. 수상자 : 남진우

 


2. 수상작품 : 「타오르는 책」외 4편

 


「타오르는 책」

그 옛날 난 타오르는 책을 읽었네
펼치는 순간 불이 붙어 읽어나가는 동안
재가 되어버리는 책을

행간을 따라 번져가는 불이 먹어치우는 글자들
내 눈길이 닿을 때마다 말들은 불길 속에서 곤두서고
갈기를 휘날리며 사라지곤 했네 검게 그을려
지워지는 문장 뒤로 다시 문장이 이어지고
다 읽고 나면 두 손엔
한 웅큼의 재만 남을 뿐

놀라움으로 가득 찬 불놀이가 끝나고 나면
나는 물로 이글거리는 머리를 이고
세상 속으로 뛰어들곤 했네

그 옛날 내가 읽은 모든 것은 불이었고
그 불 속에서 난 꿈꾸었네 불과 함께 타오르다 불과 함께
몰락하는 장엄한 일생을

이제 그 불은 어디에도 없지
단단한 표정의 책들이 반질반질한 표지를 자랑하며
내게 차가운 말만 건넨다네

아무리 눈에 불을 켜고 읽어도 내 곁엔
태울 수 없어 타오르지 않는 책만 차곡차곡 쌓여가네

식어버린 죽은 말들로 가득 찬 감옥에 갇혀
나 잃어버린 불을 꿈꾸네

 

 

타오르는 책

 

nefing.com

 


3. 심사위원 : 정현종(시인, 연세대 교수), 오세영(시인, 서울대 교수), 최동호(시인, 고려대 교수)

 


4. 심사평

「문명사적 죽음의 탁월한 형상화」

예심에 올라온 다섯 분의 작품을 놓고 토론을 한 결과 남진우 씨의 「타오르는 책」을 당선작으로 뽑는 데 만장의 일치를 보았다. 후보자들 중 한 분은 심사하는 당일 다른 문학상을 수상한다는 사실이 공표되어 제외되었고 다른 분들은 혹은 작품의 수준이 고르지 않다든가 혹은 개성이 약하든가 혹은 좀더 지켜 보자든가 하는 이유로 밀리게 되었다.
남진우 씨는 우리 시단에서 독특한 개성을 드러낸 시인 중의 하나이다. 우리는 그가 작년에 출간한 그의 시집에서 우리 시대의 황량한 삶을 죽음의 이미지로 잘 형상화시킨 것을 기억하고 있다. 이번의 심사 대상에 오른 작품들 역시 그와 같은 개성이 드러나 보인다. 특히 수상작 「타오르는 책」은 진정한 삶에 도달할 수 없는 존재의 한계성을 불과 언어의 상상력을 통해 형상화해 내는 데 성공하였다.
그에 있어서 완전한 삶이란 완전한 언어를 소유하는 데서 가능하다. 언어는 자신의 존재를 규정하고 나아가 자신과 세계를 연결시켜 주는 통로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그는 일상적 인간의 불완전한 언어를 버리고 완전한 언어를 갖기를 소망한다. 그러나 문제는 인간이 신화시대에 경험한 이 언어, 즉 이 시에서 ‘불타는 책’으로 상징된 이 완전한 언어가 인간이 물질로 타락한 우리 시대에는 그 복원이 불가능하다는 데 있다. 시인은 이와 같은 문명사적 죽음의 의미를 「타오르는 책」에서 이야기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 가지 지적할 것이 있다면 「타오르는 책」이 다소 관념적이라는 인상을 모면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시 또한 예술의 하나인 까닭에 미학성 역시 중시되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고형렬 씨의 「성에꽃 눈부처」, 나희덕 씨의 「그 때 나는」, 장옥관 씨의 「살구꽃 필 때」등의 작품들도 좋았다.(오세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