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한 체류 / 김명인
한 이틀 머물자고 한 계획이
나흘이 되고 이레를 넘긴다고 해서 조바심칠
일이 아니다 파도 위에 일정을 긋는
설계란 쉽게 털어지기도 하므로
저렇게 초원을 건너왔더라도 허옇게 거품 뒤집는
누떼의 사막에 갇히면
기린 같은 통통배로는 어김없이 며칠은 그르쳐야 한다
자진이 아니라면 종일 바람 길에나 서서
동도도 서도도 제 책임이 없다는 듯
풍랑에나 원망을 비끄러맨 채 민박집을
무료하고 무료하고 무료하게 하리라
출렁거리던 나날의 어디 움푹 꺼져버린
삶의 세목들을 허허로운 수평으로 복원하려 한다면
내 주전자인 바다는 처음부터 이 무료를
들끓이려고 작정했던 것
행락은 끊겼는데 밤만 되면 선착장 난간 위로
별들의 폭죽 떠들썩하다 밤 파도로도 한 겹씩
잠자리를 깔다 보면 하루가 푹신하게 접히지
그러니 뿌리치지 못하는 미련이라도 너의 계획은
며칠 더 어긋나면서 이 무료를
마침내 완성시켜야 한다 지상에서는 무료만큼
값싼 포만 또한 없을 것이니!
파문
nefing.com
대산문화재단(이사장 신창재)이 주최하는 제13회 대산문학상에 김명인(시·사진 가운데)·김연수(소설·사진 왼쪽)·정과리(평론·사진 오른쪽)씨가 9일 선정되었다. 수상작은 김명인씨의 시집 <파문>과 김연수씨의 소설집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정과리씨의 평론집 <문학이라는 것의 욕망>이다. 번역부문 상은 프란시스카 조(44) 미국 조지타운대 종교학과 교수가 한용운 시집 <님의 침묵>을 영어로 옮긴 <everythingyearned for>(미국 위즈덤 출판사 펴냄)에 돌아갔으며, 희곡 부문은 수상작을 내지 못했다.
9일 낮 시내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수상자 김명인(59·고려대 문창과 교수)씨는 "앞으로 긴장을 유지하며 시를 쓸 시간이 많이 남아 있지는 않다"며 "전에는 열정이 내 시를 지탱해 왔다면 이제는 내가 아득해지는 지점에서 맞이하는 넓이와 깊이가 내 시를 떠받들고 있다는 느낌"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김연수(35)씨는 "평범하게 살았다면 지금쯤 대기업 말단사원으로 편하게(?) 지낼텐데 소설가의 길로 들어서서 이 무슨 고생인지 모르겠다"면서 "이번 상을 받아 앞으로 얼마나 더 고생을 해야 할지, 심사위원들이 나를 힘든 길로 자꾸 떠미는 것 같아 걱정"이라며 능청을 떨었다.
정과리(47·연세대 국문과 교수)씨는 "수상작은 한국 문학 이론이 지닌 한계를 돌파하고자 나름대로 애를 썼지만 스스로 부족하다고 생각하던 책"이라면서 "이번 수상은 세상이 나의 한계를 한계로서 묶어 두려는 결정이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
올해 대산문학상의 부문별 수상자들에게는 오는 25일 오후 6시 서울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열리는 시상식에서 3천만원씩의 상금이 주어진다.
'국내 문학상 > 대산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5회 대산문학상 / 남진우 (0) | 2021.07.22 |
---|---|
제14회 대산문학상 / 김사인 (0) | 2021.07.22 |
제12회 대산문학상 / 이성복 (0) | 2021.07.22 |
제11회 대산문학상 / 김광규 (0) | 2021.07.22 |
제10회 대산문학상 / 김지하 (0) | 2021.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