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의 깊이 / 김사인
바람 불고
키 낮은 풀들 파르르 떠는데
눈여겨보는 이 아무도 없다
그 가녀린 것들의 생의 한순간,
의 외로운 떨림들로 해서
우주의 저녁 한때가 비로서 저물어간다.
그 떨림의 이쪽에서 저쪽 사이, 이 순간의 처음과 끝 사이에는 무한히 늙은 옛날의 고요가, 아니면 아직 오지 않은 어느 시간에 속할 어린 고요가
보일 듯 말 듯 옅게 묻어 있는 것이며,
그 나른한 고요의 봄볕 속에서 나는
백년이나 이백년쯤
아니라면 석달 열흘쯤이라도 곤히 잠들고 싶은 것이다.
그러면 석달이며 열흘이며 하는 이름만큼의 내 무한 곁으로 나비나 벌이나 별로 고울 것 없는 버러지들이 무심히 스쳐가기도 할 것인데,
그 덕에 나는 꿈결엔 듯
그 작은 목숨들의 더듬이나 날개나 앳된 다리에 실려 온 낮익은 냄새가
어느 생에선가 한결 깊어진 그대의 눈빛인 걸 알아보게 되리라 생각한다.
가만히 좋아하는
nefing.com
회남면 노인회장인 김영근(회남 거교)씨의 아들인 김사인 시인이 24일 대산문화재단(이사장 이창재)에서 시상하는 대산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19년 만에 두 번째 시집 가만히 좋아하는’으로 수상한 김사인(50, 동덕여대 문예창작과 교수)시인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 상은 제게 주는 상이 아니라, 보잘 것은 없지만 제 시에 주는 상이며 저는 소심하고 무능한 법정후견인 자격으로 이 자리에 와 있다고 생각한다”며 “오랜만에 시집이랍시고 묶어 냈고 언제 또 책을 낼 기약도 없으니 상이라도 줘서 보내자는 뜻이 아닐까 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김씨의 시집에 대해 심사위원들은 “슬픔의 힘으로 빚어진 여유롭고 친밀한 시선은 사람의 속마음과 사물의 이면을 자상하고 곡진하게 성찰한다”고 평했다.
서울대 국문학과와 고려대 대학원에서 공부한 김 교수는 1982년 동인지‘시와 경제’의 창간동인으로 참여하며 시를 쓰기 시작했고, 시집으로 ‘밤에 쓰는 편지’, ‘가만히 좋아하는’이 있다.
제6회 신동엽창작기금(1987)과 제50회 현대문학상(2005)을 받은 바있으며, 제14회 대산문학상(2006년) 수상하였으며, 현재 동덕여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현재 문화일보 매주 월요일 [AM7] 마음이 따뜻해지는 날 코너에서 살아가면서 마주치는 일상 속의 사람들, 사물들 그리고 사연들을 연재하고 있다.
한편 대산문학상은 최근 2년내에 발표한 작품 가운데 관계기관, 단체 및 문인등의 추천을 받거나 자체조사한 작품을 대상으로 가장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을 장르별로 선정, 시상하는데 장르별로 문학적 성과가 가장 뛰어난 작품을 발굴하여 시상하는 국내 최대 최고의 종합 문학상이다.
시상부문은 시(시조), 소설, 희곡, 평론, 번역이고 상금은 각 부문 3000만원씩 총 1억 5000만원이며 수상작은 번역하여 해당 언어권의 유수한 출판사를 통해 출판, 보급한다
'국내 문학상 > 대산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6회 대산문학상 / 김혜순 (0) | 2021.07.22 |
---|---|
제15회 대산문학상 / 남진우 (0) | 2021.07.22 |
제13회 대산문학상 / 김명인 (0) | 2021.07.22 |
제12회 대산문학상 / 이성복 (0) | 2021.07.22 |
제11회 대산문학상 / 김광규 (0) | 2021.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