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 송찬호

 

 

입안의 비린내를 헹궈내고
달이 솟아오르는 창가
그의 옆에 앉는다
이미 궁기는 감춰두었건만
손을 핥고
연신 등을 부벼대는
이 마음의 비린내를 어쩐다?
나는 처마 끝 달의 찬잔을 열고
맑게 씻은
접시 하나 꺼낸다
오늘 저녁엔 내어줄 게
아무것도 없구나
여기 이 희고 둥근 것이나 핥아보렴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nefing.com

 

 

시인 송찬호, 소설가 박범신, 평론가 이광호 씨가 3일 대산문화재단(이사장 신창재)이 주관하는 제17회 대산문학상 부문별 수상자로 뽑혔다. 브루스 풀턴·주찬 풀턴 부부와 김기창씨는 최윤의 소설집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There a Petal Silently Falls)로 번역 부문 상을 받았다. 희곡 부문은 수상자를 내지 못했다.

 

<내가 가장 예뻤을 때>(공선옥), <도가니>(공지영), <엄마를 부탁해>(신경숙) 등과 각축을 벌인 박씨의 소설 <고산자>역사적 인물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새로운 소재와 형식에 도전하는 작가적 태도를 엿볼 수 있었다는 점과 그 시대가 만들어낸 문제적 개인으로서의 고산자를 정밀하게 그려낸 점이 높은 점수를 얻었다.

 

송씨의 시집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뛰어난 묘사력과 동화적 상상력을 기반으로 개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따뜻한 인간미를 담고 있으면서도 참신함과 새로움을 주고 있는 점, 이씨의 평론집 <익명의 사랑>현장성과 비평적 에스프리를 지니고, 우리 문학의 현재 모습을 보다 생생하게 보여준다는 점이 각각 평가받았다. 번역 수상작에 대해서는 원문의 섬세함과 아이러니를 잘 살린 매우 우수한 번역이고 유수한 출판사에서 출판되어 한국문학의 국외 선양에 기여도가 크다는 점이 선정 사유로 꼽혔다.

 

고향인 충북 보은에서 시를 쓰고 있는 송찬호씨는 유년기의 농촌 환경과 정서가 내 시 쓰기에는 큰 축복이었다면서 내가 있는 자리에서, 시선을 멀리 두지 않고, 보이는 삶의 풍경을 그려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광호씨는 시와 소설에 대한 질투가 내 평론의 동력이었다고 토로하면서 그런 질투와 평론의 자율성 사이에서 고민하던 내게 이번 수상이 다시한번 평론을 밀고 나갈 수 있게 힘을 주었다고 말했다.

 

소설 부문은 5천만원, 시와 평론·번역 부문은 각 3천만원의 상금을 준다. 시상식은 27일 오후 6시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