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1701223/ 성윤석

 

 

흐린 겨울 저녁인데 죽은 자의 글을 따라가는 앳된 소녀가 롤러스케이트 같은 기계를 타고 공중으로 솟구쳤다 거기에 나는 없었다 땅은 좁아졌고 사람들도 줄었다 거기에 나는 없었다 문장도 하늘로 떠올랐다 All’s Well That Ends Well* 결과가 좋으면 다 좋아요 공중에서 눈이 내렸다 검은 구름에서 흰 눈은 여전했다 거기에 나는 없었다 구름 위를 한 사내가 바바리코트를 입은 채 걷고 있었다 검은 마스크를 쓰고 있었다 신인류였다 속도 중력 감정들이 비틀어졌다 우리가 본 것이 아니었다 거기에 나는 없었다 여성과 사내 들은 주로 공중에 떠 있거나 지하로 내려갔다 지상은 오염되었고 신인류는 이제 불행을 매수하지 않았고 내버려둔 채 세상 최후의 고독을 살았다 거기에 나는 없었지만 이에 대한 어떤 증거도 거기엔 없었다 고스란히 새와 식물 들은 보였지만 불법이긴 했지만 수명 단축 기계가 여기저기 도시의 쓰레기통에 버려져 있었다 결과가 좋으면 다 좋아요그 도시의 재해대책본부에서 쏘아올린 저녁의 문장이 다시 공중으로 솟구쳤다 신이 아니라, 내가 보기에 그것은 마치 돛대 같았다

 

* 셰익스피어 희곡 제목.

 

 

 

 

2170년 12월 23일

 

nefing.com

 

 

 

[심사평]

 

이번 제11회 김만중문학상 심사는 다양한 성취를 보인 한국 시단의 쟁쟁한 중견 및 시인들의 최근 시집이 추천되어 올라와 있었다. 이분들은 모두 우리 시단에서 남다른 위상을 점하고 있는 시인들이기 때문에, 그 성취의 높고 낮음에 차이를 두기란 여간 어려운 게 아니었다. 결과적으로 수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심사위원들은 매우 깊이 있고 탄탄한 시적 성취를 보여주는 시인들을 만나보게 되었다. 오랜 논의 끝에 심사위원들은 성윤석 시인의 최근 시적 성취가 괄목할 만한 것이라고 합의를 이루었다. 곧 그의 시편들이 강한 실험정신과 함께 보편적 인간 본질에 관한 사유를 두루 결합하였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리고 신인 가운데서는 박세미 시인의 개성적 시집이 수상의 영예를 얻었다.

 

성윤석 시인은 불안하고 유동적인 영혼의 순간을 통해 최종적인 삶의 차원으로서의 또 다른 미래를 상상하는 기록을 남겨주었다. 삶의 복합성을 승인하면서 시인은 단선적인 흑백논리나 계몽적 의지를 지우고 어떤 중간자적이고 미완의 형식으로 끊임없이 출렁일 수밖에 없는 삶의 심연을 응시하고 있다. 단단하고 또 꽉 찬 시적 형상과 존재론이 미덥게 다가왔다. 이 시집에 얹힌 이번 수상이 그의 짧지 않은 시력(詩歷)에 상응하는 크나큰 격려가 되기를 희망해본다. 그런가 하면 박세미 시인은 부서지고 작아진 자아를 되비추고 또 일으키면서 자아의 익숙한 틀을 오히려 벗어나는 기막힌 균형을 보여주었다. 우리는 이러한 방법을 통해 한 시대를 건너가고 있는 이행기의 한 젊은 시인을 만나보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녀의 시에 의해 우리 시의 또 다른 미래가 열릴 것이라는 기대를 해보게 된다. 시인으로서의 이력에 주어지는 첫 수상을 축하드린다.

 

거듭 두 분 시인의 수상을 축하하면서, 두 분 수상자의 고유한 시적 연금술이 지속적인 진경으로 나타나게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심사위원 김언희(시인), 유성호(평론가, 한양대 교수, )

 

 

 

 

멍게

 

nefing.com

 

 

남해군이 주관하는 '11회 김만중문학상'에서 조해진 소설가가 <단순한 진심>으로 소설부문 대상을, 성윤석 시인이 시집 <21701223>로 시·시조부문 대상을 받는다.

 

남해군은 지난 23일 남해유배문학관에서 '11회 김만중문학상 심사위원회'27'11회 김만중문학상 운영위원회'를 열고 당선작을 선정했다고 1일 밝혔다.

 

소설 및 시·시조부문 대상 외에도 신인상 부문에는 시집 <내가 나일 확률>의 박세미 시인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또한 시집 <심상>을 발간한 강달수 시인이 남해군 홍보와 남해문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유배문학특별상에 선정됐다.

 

·시조 부문 대상을 차지한 성윤석 시인은 창녕 출신으로 1990<한국문학> 신인상에 '아프리카, 아프리카' 2편의 시가 당선돼 등단했다.

 

묘지 관리 일을 하기도 했고, 1999년부터 서울에서 벤처기업 운영을 하다가 실패했다. 20135월부터 한 해 동안 마산어시장에서 명태 상자를 나르기도 했던 특이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시집으로 <극장이 너무 많은 우리 동네>, <공중 묘지>, <멍게>, <밤의 화학식>이 있으며, 2017년 박영근작품상, 2019년 제4회 사이펀문학상 등을 받았다.

 

남해군은 서포 김만중 선생의 작품 세계와 문학 정신을 기리고 유배문학을 계승해 한국문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지난 2010년부터 매년 김만중문학상을 운영하고 있다.

 

부문별 대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2000만 원, 신인상·유배문학특별상 수상자에게는 500만 원의 상금이 각각 수여된다. 군은 7일 남해유배문학관에서 시상식을 열 예정이다.

 

728x90

 

 

셋방 있음 / 성윤석

 

 

수갑도 없이 들어갔던 감옥을 내놓습니다

간혹 햇빛에 널어 말렸고

붉은 벽돌이 그려진 벽지도

발랐습니다

기껏해야 한 생의 자세를

생각해서 들어간 감옥입니다

낡은 침대며, 깨진 거울까지

미리 짐은 다 뺐습니다만,

심심해하실까 봐 버려진 화분

하나 업어와 살려놓았습니다

소철나무 화분은 거리에서 살며,

병따개며, 잘린 신용카드를

받아놓고 있습니다

혼자 살았던 감옥을 내놓습니다

사람보다 먼저

무기징역을 받은 감옥이지요

그까짓 노역형

앞으로 백 명의 설울쯤은

수면고문만으로도 진술을 받아줍니다

사랑했던 감옥을 내놓습니다

나는 모범수였고

다시 자유를 외치는 잡범들의 거리로

이송됩니다

뾰족구두를 따라가는 바람과

길을 가로막고 서는 오월의 바바리 나무들

이 감옥에서 살면,

집과 감옥이 모두 나쁘지 않습니다

여기에서 조그만 창밖을 바라보며

한 생의 자세를 생각하면 먼 곳에서

길들이 두텁게 이곳으로 흘러들어 오는

게 보입니다

갓 출소해 어두워진 두부를 씹는

별 들도 보입니다

어두컴컴한 벽을 질러야, 갈 수 있지만,

나한테 똥 사고

검사도 되고 의사도 되었다고

깨진 변기가 늘 꼬르륵 목이 잠기는,

밤하늘도 잘 보입니다

 

 

 

[수상소감]

 

소식을 듣고 한순간 마음이 무거워졌습니다. 시를 쓰면서 문학상과는 별개의 삶을 살아야겠다고 생각했고 지금까지 그걸 잘 지켜왔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상이라는 것은 쓰는 자에게 격려의 의미가 크겠지만, 때로는 사람을 오만하게 하고 게으르게 하는 측면도 있기 때문입니다.

 

저는 스무 살 무렵 공장 아르바이트와 입주 과외를 하면서 대학을 다녔습니다. 그래서 자연히 민중시로 습작을 했고 민중시를 참 많이 쓰기도 했습니다.

 

새로운 리얼리즘, 새로운 민중시를 쓰고 싶었지만 그 당시 저의 시들은 그 뜻을 투영할 만한 것이 못되었습니다. 대학을 나와 지방신문사에서 밥벌이를 하면서 자연히 모더니즘과 도시시를 쓰기 시작했고 첫 시집을 내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뒤 11년쯤 단 한 편의 시도 쓰지 않았고 문학과는 별개의 삶을 살았습니다. 이 땅에는 고 박영근 선생님처럼 치열하게 살고 쓰는 분들이 더러 있었고 저는 변변찮은 재능과 성실하지 못한 태도를 가진 자라 자신이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수년 전 저는 다시 시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스무 살 무렵 하지 못했던 새로운 리얼리즘에 다시 도전하고 싶어서였습니다. 의문이 풀리지 않는 것들의 뒷면을 낱낱이 뒤집어보고 싶어서였습니다.

 

아마도 오늘 제게 상을 주신 건 고 박영근 시인께서 이 후배를 눈치채신 게 아닌가 싶습니다. 선생님의 가시고자 했던 세계, 새로운 리얼리즘의 세계로 초대해 주신 게 아닌가 싶습니다.

 

작위적이면서도 졸작인 저의 시 셋방 있음을 선해주신 심사위원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신뢰할 수 있는 시인이 되도록 쓰고 생각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170년 12월 23일

 

nefing.com

 

 

[심사평]

 

성윤석의 셋방 있음은 시적 화자가 자신이 살던 셋방을 비워 내놓으면서 내건 광고문의 형식으로 그 방에서 살던 자신의 가난하고 남루했던, 하지만 그렇게 가장 낮아서 오히려 거리낄 것도 부끄러울 것도 없었던 삶을 담담하게 표백하는 시이다. 그 작은 셋방은 옹색하고 가난하여 자유롭지 못하므로 감옥이지만 한 생의 자세를 가다듬을 수 있었던 곳이어서 당당한 집이고 자유의 공간이기도 했던 곳이다. 이 시는 이처럼 겸허함과 오연함으로 강제되거나 자발적인 가난을 긍정하는 차분하고도 깊은 힘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시는 역시 남루하지만 견고했던 지상의 집을 버리고 저 추운 눈길로 떠나는 시인의 깊은 고독을 아프게 보여주었던 박영근의 시 이사와도 어딘가 많이 닮아 있기도 하다.

 

심사위원들은 성윤석의 셋방 있음이 풍요와 가난이 대극을 이루는 오늘의 한국사회를 아래로부터 이겨나가는 도저한 긍정의 힘을 잘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2016년의 한국 시단이 낳은 매우 소중한 성과라는 점에 합의했으며, 이는 또한 고 박영근 시인의 깊은 가난에서 길어 올린 빛나는 시세계와 결코 멀지 않다는 점에서 제3회 박영근작품상의 수상작으로 결정하는 데 흔쾌히 동의하였다.

 

-심사위원: 정희성(시인), 백무산(시인), 김명인(평론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