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시흥문학상’ 수상자
* 대상 한상식(벽화사진을 보며, 양산)
* 금상 심윤선(십자수, 안산)
* 은상 서은진(관망하기, 시흥)
* 동상 강명자(어미낙타의 눈물, 창원)
벽화사진을 보며 / 한상식(대상)
신문 하단에 난 고구려 고분 벽화사진을 본다
수레에 탄 채 손에 부채를 든 관리를
축(軸)으로 기마병과 사수와 손도끼를 든
무사들이 있고, 수레 뒤엔 머리에 흰 띠를 두르고
흰 옷을 입은 하인이 봇짐을 지고 수레 뒤를 따른다
용문신처럼 화려한 옷에 온갖 장신구를 몸에 단
관리는 왕의 부름에 평양성으로 왕을 알현(謁見)하러 가는 것일까
고향 집 노모의 병이 깊어 병문안을 가는 것일까
수레가 엉덩이를 들썩일 때마다 뿌연 흙먼지가 갈기를 세우는 길을 가며
그는 왕의 용안(龍顔)과 노모의 얼굴을 번갈아 떠올렸을 것이다
수레바퀴에 툭, 툭, 튕겨나가는 토시 같은 그리움들을 헐어
그날 밤 등불 아래서 긴긴 편지를 썼을 것이다
한줄 쓰다 멈추고 또 한 줄 쓰다 멈추며 본
그 글 속에 그려진 한 여인의 화안한 얼굴에 가슴이 벅차 눈을 지그시 감았으리라
감은, 두 눈에는 차마 글로 쓰지 못한 곤지 같은 사랑이 살풋 어려 있었으리라
딛는 걸음걸음마다 닿는 눈길마다 제 맘 주며 길을 가는 벽화 속 사람들
그 사람들의 곱게 다문 입속엔 내 설익은 사랑이 여물어 가고 있었다
십자수 / 심윤선 (금상)
악다구니를 퍼내어 사랑고백하던 시절이
가을밤에 걸리었습니다
어깨 위로 소슬바람 앉아 위로해 주었으나
남은 것은 겨운 쓸쓸함입니다.
지난 밤, 엄마는 십자수 놓던 손을 내려놓았습니다.
부득부득 이 갈며 엄마가 지나온 흔적
빗질을 해댔으나
이번에 남는 것은 그리움입니다
뼛속까지 엄마의 노래가 차오릅니다
물에 담가 불려 주고 싶던 그 손으로
어여쁜 천사를 불러냈습니다
기억 언저리에 묻혀 있던 한 소녀를 만났지요
내게 손 내밀어 바늘을 쥐어주어
날개를 마저 달아주고
엄마를 만나고 오렵니다
바늘로 기워 넣은 슬픔이 한 자락에 모여들어
축축하게 젖은 날개마저 슬퍼집니다
다시 한 소녀를 만나
옹알이로 대화하고 싶어집니다
문득 가로등이 등을 돌려 나를 끌어 안아줍니다
관망하기 / 서은진 (은상)
아버지는 날마다
푸른 병 속에 들어 있는 기포를 마신다
기포는 아버지를 까맣게 야위게 하고
윗목에 드러눕게 했다
아버지는 점점 가벼워져서
텔레비전 화면 앞으로 붕 떠올랐다
우리는 기포만 가득한 아버지를 걷어치우고
드라마를 보았다
드라마에는 숙제가 없고 오늘도 없고
심지어는 내일에 닿지도 않았다
함께 어깨를 맞대고 텔레비전을 보고 있으면 어느
날은 남자가 누워 있고
텔레비전을 바라보고 있는 그의 자식들이 나왔다
우리는 또 드라마를 보듯이 집중해서 바라보았다
텔레비전에 나오는 한 남자와 그의 자식들은
아무도 울지도 웃지도 않아
불행해 보이지도 행복해 보이지도 않았다
그래서 우리는 각자 다행이라고 생각했다
텔레비전은 단 1분도 꺼지지 않았다
* 프로필
- 1974년 서울 출생 명지대학교 문예창작과 석사 과정
-1997년 계간 포스트모던 시부분 신인상 수상
어미낙타의 눈물 / 강명자(동상)
마두금*이여
우울을 노래하라
제 품에 받아들이지 않는 낙타를 위하여
모래바람 구슬픈 가락에 사막이 운다
돌아서는 마음도 어루만지는 성자처럼
오므린 마음 펴는 소리로 늙은 악사여
살아있는 사막
덩치 큰 그 심중에 기꺼이 꽂아라
흐르는 시간 뒤로
끔벅이는 눈동자에 뚝뚝 떨어지는
눈물을 받들면
몸 돌려 나를 쓰다듬고
조용히 젖 물리는, 고분고분
몸 바치는 어미의 눈물을 보네
굶주린 시간 힘차게
그대 젖줄이 나를 키우네.
* 마두금 : 악기의 끝을 말머리 모양으로 만든 두 개의 현을 가진
몽골의 전통 현악기
'국내 문학상 > 시흥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0회 시흥문학상 (0) | 2011.06.22 |
---|---|
제9회 시흥문학상 당선작 (0) | 2011.06.22 |
제7회 시흥문학상 (0) | 2011.06.22 |
제6회 시흥문학상 (0) | 2011.06.22 |
제5회 시흥문학상 (0) | 2011.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