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희생 / 류인서

 

 

어떤 아침은, 아침임을, 속죄하고 싶어 한다.

그런 날은 마음 울에 가둬 기르던 양 한 마리 거친 들판으로 내몬다.

닦을수록 커지는 얼룩들의 창에는

산문적으로 두꺼워지는 안개와 안개가 만드는 묽은 풍경,

시든 예언처럼 쉽게 풀어져 창문마다 입술을 주는 배고픈 고백들,

불탄 나무 우듬지에서 새소리가 태어날 때

쫓겨난 숫양이 빈 들을 위로할까.

뾰족 파도를 닮은 초록 뿔이 그 양을 키워낼까.

종소리를 찾아 종탑으로 올라간 마을 아이들

돌아오지 않는데

 

 

 

놀이터

 

nefing.com

 

 

10회 지리산문학제가 103일 함양관내 상림공원의 함양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다.

 

이날 시상식을 가질 제10회 지리산문학상에는 류인서 시인이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수상작으로 류인서 시인의 희생4편이 최종 확정되었다.

 

지리산문학상은 지난 한 해 발표된 기성 시인들의 작품 및 시집을 대상으로 하는 심사제로 명실상부 문학상으로서 품격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금년에도 지리산문학제는 계간시산맥과 지리산문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게 되었고 전국적인 규모의 대표적인 문학상으로 도약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리산문학상의 새로운 도약에 걸 맞는 수상자 선정을 위해 문인수 시인 등 심사위원들의 고심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오랜 격론 끝에 류인서 시인이 제10회 지리산문학상 수상 시인으로 선정됐다.

 

심사위원들은 세계에 대한 새로운 감각과 익숙한 세계를 전복하여 펼쳐 보여주는 그의 장기는 경이로웠다. 얼핏 스쳐 지나갈 수 있는 소소한 일상의 이면을 섬세한 감각의 깊이로 재구성하는 능력이 매 시편마다 잘 발휘되고 있었다.”라고 류인서 시인의 작품을 평했다.

 

심사는 문인수 시인 외에 황인숙 시인 홍일표 시인이 맡았으며 각 시인의 수상작품과 수상소감, 심사평 등은 계간 시산맥가을호에 소개될 예정이다.

 

지리산문학상은 함양군과 지리산문학회에서 제정해 첫해 정병근 시인이 수상한 것을 비롯해 유종인, 김왕노, 정호승, 최승자, 이경림, 고영민, 홍일표, 김륭 시인이 각각 수상했다.

 

한편 이번 지리산문학상 수상자인 류인서 시인은 1960년 경북 영천 출생으로 2000시와사람, 2001시와시학신인상으로 등단하였다. 육사시문학상, 젊은시인상, 청마문학상 신인상, 대구시인협회상을 수상하였으며 2007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기금 수혜 받았다.

 

 
728x90

 

 

희생 / 하병연


몸 낮추고 벼를 보아라
벼는 혼자 살려고 하지 않는다
스무사나흘 정도 살 맞대어 살다가
큰 논으로 분가하면
그때부터 다시 한달 보름 동안
자기 몸을 쪼개고 쪼개다 여름을 들인다
몸 낮추고 벼를 자세히 바라보면
이 여름 푸른 이유를 알 수 있다
눅눅한 장마철,
축축한 욕심 씻어낸 자리에
벼는 하늘과
시퍼런 사랑을 뜨겁게 해댄다
벼꽃이 피고 이삭이 영글고
몸 낮추고 벼를 보아라
벼 이삭이 혼자 익는 게 아니다
어미 없는 자식이 어디 있으랴
비우고 비워
탱탱한 사랑을 세상 밖으로 내놓는 가을
미련없이 털어버리는 벼는
또다시 제 몸 썩혀 반년의 생을 접는다



 

매화에서 매실로

 

nefing.com

 

 

 

[당선소감]


젊은 부부가 거기에 있었다. 남자는 구레나룻이 있는 용모가 수려한 젊은 청년이었다. 여자는 양털을 깎는 남편을 바라보고 있었다. 남자가 양 한마리를 나에게 선물이라면서 주었다. 그리고는 조명이 좋은 레스토랑에서 고기로 만든 음식으로 식사 대접을 받았다.


당선 소식이 들려왔다. 기자한테 말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이제 막 시(詩)의 종자가 발아하여 언어와 서정의 질서가 조금씩 엮이는 중이어서 당선 소식은 나를 어리둥절케 했다. 이제는 모판에서 본 논으로 이앙하라 한다.


지금까지 뿌리내린 상토도 털어내고 넓은 땅으로 가서 자신만의 서정을 이삭으로 영글라 한다. 막막하다. 그렇지만 본 논에 이앙한 벼들도 분얼을 하여 여름쯤에는 논 고랑이 보이지 않듯이 가장 낮은 자세로 시의 힘을 조금씩 키워나가려 한다.


이번 꿈은 오백만 농민들이 주는 선물이라 생각한다. 이 모든 영광을 호박 넝쿨이 무장무장 뻗어가는 이 땅과 벼에게 돌리고 싶다. 또한 시심을 이끌어주신 신병은 선생님을 비롯하여 갈무리 및 월요문학 회원들, 사랑하는 가족들, 특히 부족한 글을 뽑아주신 심사위원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린다.

 

 

 

길 위의 핏줄들

 

nefing.com

 

 

 

[심사평]


본선에서는 〈희생〉(하병연), 〈소〉(도석생), 〈물거울〉(권미자), 〈들녘〉(하미애), 〈시집가는 날〉(김경철), 〈옻나무숲으로 들어가는〉(이주렴), 〈시어머니가 물고 온 이야기 하나〉(이선임), 〈모과〉(고영서), 〈내닫힌 문〉(진정희), 〈겨울바람〉(조일규), 〈자전거의 꿈〉(장용숙), 〈일기〉(조온현), 〈진짜 새는〉(신기용), 〈농심〉(유혜진)이 논의되었다. 이들 중에는 다른 곳에도 같은 작품을 ‘2중 응모’한 것이 있어 제외시켰다.


올해는 전반적으로 평년작은 되었다고 한다. 심사위원들은 하병연의 〈희생〉을 당선작으로 뽑는 데 쉽게 합의했다. 그 다음 논의된 작품은 〈소〉〈물거울〉〈들녘〉〈시집가는 날〉이었으나 아깝게 탈락하고 말았다. 개성과 구성·언어·미학·심상의 집중에서 허점이 노출되었기 때문이다.


당선작 〈희생〉은 사람(농부)이 자연과 농작물에 경외감을 가지게 하는 농사 교감의 시로, 화자의 농사에 대한 경건함과 ‘벼’의 모성적 신비감을 잘 나타내고 있다. 당선작 외의 다른 작품들의 수준은 비슷비슷해 심사위원들은 이 작품을 뽑는 데 크게 주저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