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그 언저리 / 김지하

 

 

,

그 언저리 무언가

내 삶이

있다

 

쓸쓸한 익살

달마(達摩) 안에

 

한매(寒梅)의 외로운 예언 앞에

 

바람의 항구

서너 촉 풍란(風蘭) 곁에도

 

있다

 

맨 끝엔 반드시

세 거룩한 빛과 일곱별

 

풍류가 살풋

숨어 있다

 

깊숙이

빛 우러러 절하며.

 

 

 

절, 그 언저리

 

nefing.com

 

 

[심사평]

 

황톳길’(1969)로 등단한 이후 김지하의 시력(詩歷) 34년은 그 어느 영혼의 항구에도 정박하지 않고 사상사의 나침반에 시혼을 내맡긴 채 표류하는 미학적 항해사였다.

 

출항 때의 저 뜨거운 열정과 불굴의 투지로 다져진 저항시들이 받았던 지지와 갈채와 성원은 세계문학사상 희귀한 혁명시의 성공사례였다. 그는 언어의 마술사로 군부독재에 단독자로 맞서, 민주주의를 타는 목마름으로 견인해냈다. 유신통치가 끝나는 지점에서 김지하 시인은 저항시인에서 사상시인으로의 변신을 시도했으며, 이후 오늘까지도 그의 지적 편력의 허기증은 지속되고 있다. 그는 변혁의 사상사적 원동력을 토착적인 민중신앙에서 탐구하면서 밥, 생명사상, 율려(律呂)사상 등등을 창출, 전개해 왔다.

 

그는 저항시를 뒤로 자리바꿈시키고도 끊임없이 변혁(개벽)에의 이상을 포기하지 않고 세계사와 민족사를 응시하면서 간헐적인 발언으로 사회적인 관심을 유도해 냈다. 그의 행동과 작품은 당대의 민중이 원하든 않든 상관없이 어떤 식으로든 파장을 일으키게 되어 있다. 설사 반역사적인 발언일지라도 그에 대한 비판 여론이 야기되어 역사적인 진보에 도움을 주는 역기능까지 가진 이 미묘한 시인의 역할은 다른 누구로도 대신할 수 없는 바로 김지하 시인의 몫이다.

 

,그 언저리는 시인 자신의 표현에 따르면 슬픔의 정치학화개에 이은 새로운 문화 정치학의 가능성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인 방향 전환의 시도이다. 절에 가서도 절의 모습을 못 찾는 이 시인의 처절한 궁극적인 시대정신의 갈구 자세가 바로 이 시집을 이루고 있다. 어쩌면 김지하의 긴 항해 앞에 곧 새 미학적 항구가 보일 듯한 예감이 든다. 아마 그것은 지극히 현실적이고 평범한 시경(詩經)’의 세계로의 귀환일지 모른다.

 

- 심사위원 임헌영(문학평론가)

 

728x90

 

 

백학봉 1 / 김지하

 

 

멀리서 보는

백학봉(白鶴峰)

 

슬프고

두렵구나

 

가까이서 보면 영락없는

한 마리 흰 학,

 

봉우리 아래 치솟은

저 팔층 사리탑

 

고통과

고통의 결정체인

저 검은 돌탑이

왜 이토록 아리따운가

왜 이토록 소롯소롯한가

 

투쟁으로 병들고

병으로 여윈 지선(知詵)스님 얼굴이

오늘

웬일로

이리 아담한가

이리 소담한가

 

산문 밖 개울가에서

합장하고 헤어질 때

검은 물위에 언뜻 비친

흰 장삼 한자락이 펄럭.

 

아 이제야 알겠구나

흰 빛의

서로 다른

두 얼굴을.

 

 

 

절, 그 언저리

 

nefing.com

 

 

14회 정지용 문학상 수상자로 시인 김지하(61) 씨가 선정됐다.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을 개척한 정지용 시인의 탄생 100주년을 맞은 올해 참여 시인인 김씨가 이 상을 수상하게 된 것은 여러모로 뜻깊은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수상작은 백학봉(白鶴峰·1)’이다.

 

김씨는 유신 독재에 항거하다 8년 동안 옥고를 치렀으며 황토’‘오적’‘타는 목마름으로등의 시집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저항 시인으로 자리 잡았다.

 

김씨는 나에게 지용상을 주겠다고 한다. 기쁘다기보다 두렵다. 고등학교 시절에 처음 접한 이래 40여 년을 내내 아직까지도 두려운 분이 지용 선생이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다음 달 6일 오후 5시 서울 예술의전당 문화사랑방에서 치러지는 서울 지용제행사와 함께 열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