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게바라 만세 / 박정대
희미하게 그대의 얼굴이 보일 정도면 된다
천창을 통해 별빛들이 쏟아지면 된다
선반에 쌓여 있는 약간의 먼지는
음악이라고 생각하자
술을 마시는 날들을 위해
뜨거운 국물을 끓여낼 수 있으면 된다
아무리 담배를 피워도 금방 공기가 맑아지는
히말라야 근처면 된다
다락방 위에는 청색 하늘
다락방 아래엔 끝없는 대지
다락방 곁으론 날마다
그대 맑은 숨결 같은 바람이 불면 된다.
사랑하는 그대의 얼굴이 희미하게 보일 정도면 된다
당나귀, 굳이 차마고도를 지나오지 않았더라도 된다
일주일에 한 번 당나귀에 실은 물품이 당도하면 된다
당나귀, 폭설에 길이 끊겨
설령 한 달을 오지 못한다 해도
삐걱거리는 계단이 있고
계단 위엔 다락방 카페가 있고
다락방 카페엔 의자와 탁자가 있으면 된다
한 달 내내 눈이 내려
세상의 길이란 길들 모조리 막힌다 해도
뭐든지 함께 하고 싶어지는 그대만 있으면 된다
약간의 식량과 술과 담배만 있으면 된다
책을 읽고 글을 쓸 수 있으면 된다
두툼한 스웨터만 입을 수 있으면 된다
조명은 희미해도 된다
별빛이 쏟아지면 된다
히말라야 근처면 된다
체 게바라 만세
nefing.com
대산문화재단(이사장 신창재)이 주관하는 제22회 대산문학상 수상자로 시 부문에 '체 게바라 만세'의 박정대 시인이, 소설 부문에 '아들의 아버지'의 소설가 김원일 씨가 각각 선정됐다.
평론 부문에서는 '폐허에서 꿈꾸다'의 남진우 명지대 교수, 번역 부문에서 박완서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를 불어로 번역한 엘렌 르브렝 씨가 각각 뽑혔다.
박정대(49) 시인은 4일 광화문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런 제목을 가진 시집에 누가 상을 줄까' 저 자신도 기대를 안 했다"며 "지금도 전혀 실감이 안 난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심사위원들로부터 "시적 전언의 폭발력으로 최근 시단의 기계적이고 난해한 경향에 대한 의미 있는 반격"이라는 평을 받았다. 박 시인은 "시단의 시들이 옆 사람에게 속삭이듯 내면화되는 것에 대한 제 나름의 불만이라고 할까, 시집 제목만이라도 사회적인 발언을 해보자고 시집 제목을 '체 게바라 만세'로 했는데 막상 시집을 열면 내용은 전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제목을 이렇게 정하고 제 의도와 상관없이 말이 많을 것 같다는 예상을 했는데 제가 의도한 것과 다르게 읽히는 것 같았다"면서 "시인들이 우리 사회에서 힘이 없는데 시인이 유일하게 할 수 있는 일이 시로 표현하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대산문학상 상금은 부문별 5천만원이다. 시상식은 오는 26일 오후 6시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국내 문학상 > 대산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3회 대산문학상 / 마종기 (0) | 2021.07.23 |
---|---|
제22회 대산문학상 / 진은영 (0) | 2021.07.23 |
제20회 대산문학상 / 백무산 (0) | 2021.07.22 |
제19회 대산문학상 / 신달자 (0) | 2021.07.22 |
제18회 대산문학상 / 최승자 (0) | 2021.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