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바위1 / 문효치

 

 

저 가슴
얼마나 날카로운 정으로
쪼아대기에

얼마나 센 칼로
썰어내기에

달그늘 짙어지는
밤이면 밤마다

어흐흥 어흐흥
울어대는가

어루만지던 산도
돌아서서 눈물 훔친다

 

 

바위 가라사대

 

nefing.com

 

 

한국문인협회는 지난 22일 제9회 이설주문학상 수상자로 문효치 시인을 결정 및 발표했다고 밝혔다. 수상작은 시집 “바위 가라사대”이다.

올해로 9회째를 맞는 이설주문학상은 이설주 시인의 문학정신을 기리고 한국 시와 시조 문학의 발전을 도모하여 시인들의 창작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설주 시인은 대구 출생으로 1932년 도쿄에서 시 “고소”를 발표하면서 활동을 시작했다. 해방과 더불어 귀국한 이후에는 1957년 전집형식으로 된 문고판형 “설주문학”을 발표하기도 했다.

올해 수상자인 문효치 시인은 1966년 서울신문 및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하여 데뷔했으며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국제펜한국본부 이사장을 역임하였고 정지용문학상과 한국시협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그간 시집 “무령왕의 나무새”, “왕인의 수염”, “별박이자나방” 등을 펴냈으며 “나도 바람꽃”과 같은 시조집, 그리고 두 권의 산문집을 발표하였다. 지금은 계간 “미네르바”의 대표를 맡고 있다.

문효치 시인의 “바위 가라사대”는 지난 1월 발간된 시집으로, “바위”라는 제목을 가진 70편의 시를 실었다. 문효치 시인은 시집에 수록된 시인의 말을 통해 “무언가 하고 싶은 말이 속에 쟁여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저리도 무거울까. 함묵은 그의 말이다. 무표정 또한 그의 언어다. 함묵과 무표정의 발언을 채록하고자 한다.”며 시집을 펴낸 이유를 밝혔다.

한국문인협회 심사위원 일동은 뉴스페이퍼의 취재에서 “우리 심사위원들은 장시간 심도있는 토론을 거쳐 만장일치 의견을 모아 문효치 시인의 시집 ”바위 가라사대“를 수상작으로 결정했다”며 “이 시집에는 간결하고 처연한 서정성과 한의 빛이 담담하게 깔려 있다. 그러나 그 슬픔은 따뜻하게 사람과 시대를 안고 사는 시인의 일상적인 자화상을 그리고 있다. 이 때문에 함묵과 무표정의 ”바위“연작시 70편은 소통과 사랑으로 다가온다.”는 심사평을 전했다.

최근 각종 협회와 출판사에서 직접 주관하는 문학상을 자사 직원이나 협회 내 이사에게 시상하여 논란이 되는 가운데 한국문인협회 전 이사장인 문효치 시인의 수상은 다소 아쉬움을 남긴다.

한국문인협회가 주관하고 취암장학재단이 후원하는 이설주문학상은 수상자에게 2천만 원의 상금을 수여 한다. 제9회 문학상 시상식은 오는 4월 19일 오후 3시 문학의 집.서울에서 이루어질 예정이다. 

 

728x90

 

 

백제시 / 문효치

酒君*

 

 

가슴 속에

매 한 마리 키우네

 

서늘한 기류 밖

푸른 별 하나 낚아챌

 

매 한 마리

숫돌에 부리를 갈아 날을 세우고

옹이를 찍어 발톱에 힘을 기르네

 

날마다 하늘을 우러러보며

별 하나 표적을 찾아

 

눈을 닦고 있는

매 한 마리 자라고 있네

 

* 일본 황실에 매사냥법을 가르쳐 준 백제인.

 

 

 

왕인의 수염

 

nefing.com

 

 

'향수'의 시인 정지용(鄭芝溶.1902-1950)을 기리는 문학인 모임인 지용회(회장 유자효)는 제23회 정지용문학상의 수상자로 문효치(68) 시인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수상작은 시 '백제시-酒君'이다.

 

심사위원인 김남조 시인은 심사평에서 "깊이 탐색한 역사인식과 통찰력, 언어선택의 묘미와 간결성 등이 잘 드러나 있다"라고 평가했다.

 

1966년 한국일보와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문효치 시인은 '무령왕의 나무새', '남내리 엽서', '계맥의 칼' 10여 권의 시집을 냈으며, 현재 계간 문예지인 '미네르바' 발행인 겸 주간을 맡고 있다.

 

시상식은 514일 제24회 지용제가 열리는 충북 옥천에서 있을 예정이고, 상금은 1천만원이다.

 
728x90

 

 

계백의 칼 / 문효치

 

 

그가 벤 것은

적의 목이 아니다

 

햇빛 속에도 피가 있어

해 속의 피를 잘라내어

하늘과 땅 사이

황산벌 위에 물들이고

 

스러져가는

하루의 목숨을

꽃수 놓듯 그려놓았으니

 

일몰 하였으되

그 하늘 언제나

꽃수의 꽃물로 가득하여 밝은데

이를 어찌 칼이라 하랴

 

 

 

계백의 칼

 

nefing.com

 

 

한국시사랑문인협회(회장 권재효)가 주관하고 경남 산청군이 후원하는 천상병 시문학상 제6회 수상자로 문효치 시인이 11일 선정됐다. 수상작은 시집 '계백의 칼'.

심사위원회는 "'계백의 칼'은 시적 상상과 불교적 체험이 긴밀하게 만나 보기 드문 시적 성취를 이뤘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시상식은 10월 지리산 중산관광단지 천상병 시비광장에서 개최되는 천상병문학제 기간에 열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