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막에서 / 문현미

 

 

시간의 무덤인 거대한 사막을 바라보며

손가락 사이로 흐르는 모래의 전언을 듣는다

 

유랑의 발자국들이 모래로 덮이고

피라미드 모래탑이 쌓였다가 사라지는 사이

수많은 나를 번제물로 바치게 한다

작열하는 태양 아래 내일이 없는 길을 가고

 

끝이 보이지 않는 모래 벌판에서

누군가는 모래알 같은 나를 안고 돌아가고

누군가는 바람보다 더 바람 같은 나를 만나리라

 

기둥 하나 없는 이방의 신전 너머

꿈꾸듯 청라 한 필이 주욱 펼쳐진다

 

아무 곳에도 다다르지 못한 채

사막의 열기가 아득하게 번지고 있다

 

바람의 뼈로 현을 켜는 광야의 시간이 돌아오고

 

 

 

 

바람의 뼈로 현을 켜다

 

nefing.com

 

 

시 전문지 포엠포엠이 주최하고 한유성문학상운영위원회가 주관하는 한유성문학상이 시선집 바람의 뼈로 현을 켜다의 문현미 시인을 제3회 수상자로 선정했다. 심사위원으로는 이건청(시인, 한양대 명예교수, 전 한국시인협회 회장), 박형준(시인, 동국대 교수), 유성호(문학평론가, 한양대 교수)가 참여했다.

 

한유성문학상은 송파산대놀이송파다리밟기를 무형문화재 등록에 기여한 인간문화재 한유성을 기리기 위해 제정됐다. 이번 한유성문학상은 2017년 김신용 시인과 2018년 정채원 시인을 잇는 세 번째 수상자로 문현미 시인을 선정했다.

 

문현미 시인은 1957년 부산에서 태어나 1998년에 계간 시와시학으로 등단하여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는 기다림은 얼굴이 없다”, “칼 또는 꽃”, “수직으로 내리는 비는 둥글다”, “가산리 희망발전소로 오세요”, “아버지의 만물상 트럭”, “그날이 멀지 않다”, “깊고 푸른 섬”, “바람의 뼈로 현을 켜다가 있다. 박인환문학상, 한국크리스천문학상, 시와시학작품상, 난설헌시문학상을 수상한 바 있는 문현미 시인은 현재 백석대학교 도서관장, 산사현대시100년관장. 보리생명미술관장을 맡고 있다.

 

심사위원이었던 유성호 문학평론가는 문현미 시인은 그동안 냈던 시집을 통해 사랑의 시학을 집중적으로 노래해 왔다고 평했다. 이어 지나온 시간에 대해 커다란 인식적, 방법적 열정을 쏟으면서, 대상에 대한 사랑의 마음에 매우 깊은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고 덧붙였다. 문현미 시인의 시 세계는 섬세한 서정성과 사랑의 시학으로 집중되어있는 것이다.

 

이어 유성호 문학평론가는 바람의 뼈로 현을 켜다를 두고 사랑과 믿음의 형식을 섬세한 언어 미학으로 승화시켜온 시인이 우리에게 보여준 살아있는 미학적 축도(縮圖)가 아닐 수 없다고 밝혔다. 바람의 뼈로 현을 켜다에서 엿볼 수 있는 시인의 자기 탐구의 과정을 통해 독자들은 문현미 시학의 진화 과정을 명료하게 바라보게 될 것이라 기대했다.

 

문현미 시인은 한유성문학상 수상에 대해 산타클로스로부터 받는 뜻밖의 선물과 목마른 나그네에게 나타난 오아시스처럼 이루 말할 수 없는 기쁨과 감사를 느끼게 한다고 밝혔다. 이윽고 한국 추상미술의 거장 박서보 화백의 묘비명 변하지 않으면 추락한다. 그러나 변하면 그 또한 추락한다.”를 언급하며 시인이 걸어야 할 길에 대해 늘 고민하겠다고 다짐했다. 수상소감은 감사 인사와 함께 그동안 쌓였던 온갖 껍데기들, 수많은 나의 군상들을 부수고 깨트려서 새로운 날개를 펼치고 날아오르겠다는 포부로 끝났다.

 

3회 한유성문학상 시상식은 오는 921일 오후 230분에 서울시 송파구청 4층 대강당에서 있을 예정이다. 이날 시상식과 함께 제8콘서트포엠포엠도 있을 예정이다.

 

728x90

 

 

사랑이 돌아오는 시간 / 문현미

 

 

어떤 붓으로 담아낼 수 있을까

저리 눈부신 참회의 시간을

 

얼마나 숱한 눈물의 항아리가

얼마나 간절한 기도의 메아리가

 

쪽물이 쪽쪽 떨어질 듯

맑은 가닥이 파란 무음으로 흐른다

 

멀리 있는 것은 다만 그리울 뿐

 

이런 높푸른 날에는

누구라도 용서하고 싶다

 

다시 사랑하는 법을 배우고 싶다.

 

 

 

 

사랑이 돌아오는 시간

 

nefing.com

 

 

 

문현미 시인이 풀꽃문학상 7회 수상자로 선정됐다.

 

공주시 지원으로 운영되는 풀꽃문학상(운영위원장 이준관)7회째 수상작은 풀꽃상에 문현미 시인의 시집 사랑이 돌아오는 시간(서정시학, 2020), 대숲상에 박형준 시인의 시집 줄무늬를 슬퍼하는 기린처럼(창비, 2020)이 선정됐다. 심사위원은 오탁번 위원장, 김왕노 시인, 유성호 한양대 교수가 맡았다.

 

심사평을 쓴 유성호 교수는 수상자들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선정 이유를 밝혔다.

 

풀꽃문학상이 지향하는 깨끗한 서정의 기품을 자신의 시적 정체성으로 삼아온 시인의 균질성과 지속성을 심사 기준으로 삼았다. 이런 기준에 의해 풀꽃상으로 문현미 시인의 <사랑이 돌아오는 시간>, 대숲상으로 박형준 시인의 <줄무늬를 슬퍼하는 기린처럼>을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문현미 시인은 <사랑이 돌아오는 시간>에서 감각의 절제를 통해 서정의 원리를 극점으로 끌어올리는 성과를 보여주었다. 지나온 시간에 대한 강렬한 그리움에서 발원하면서도 보편적 삶의 이치나 속성에 가닿는 상상력으로 견고하고 은은한 내면의 파동을 우리에게 들려준 것이다. 그리고 서정시의 존재 이유가 삶에 대한 끝없는 질문과 발견, 대상을 향한 성찰과 긍정에 이르는 과정에서 성취되는 것임을 선명하게 보여주었다.

 

박형준 시인의 <줄무늬를 슬퍼하는 기린처럼>은 사물과 내면, 시간과 공간, 동일성과 타자성이 벌려놓은 필연적 간극을 담아냈다. 서정의 구심적 속성을 오롯이 지켜가면서도 새로운 감각과 사유의 지형을 구축해가는 기율을 보여준 것이다. 시인 특유의 점착력 있는 언어와 미립자 감각의 탄성’(이원)이 돋보이는 이번 시집이 맑고 고요한 세계를 추구하는 서정의 원리를 한 차원 높여주었다.

 

두 시인의 '풀꽃문학상' 수상을 거듭 축하드리면서 자신들만의 개성적 연금술이 지속적 진경으로 나아가게 되기를 바란다.”

 

풀꽃상 수상자 문현미 시인은 수상소감에서 저는 하루를 기도로 시작하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받은 사랑을 나누어야겠다는 마음을 지니고 있습니다. 제게 시를 쓸 수 있는 능력을 주신 오직 한 분의 힘으로 여기까지 왔습니다. 풀꽃문학상이 낮고, 소박하고, 어여쁘고, 여린 것들에 대하여 겸손하게 다가가라는 뜻으로 주시는 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더욱 섬기는 자세로 치열하게 시의 손을 붙들겠습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문현미 시인은 부산 출생으로, 1998<시와 시학>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가산리 희망발전소로 오세요, 바람의 뼈로 현을 켜다, 사랑이 돌아오는 시간이 있다. 박인환 문학상, 시와 시학 작품상, 한국크리스천문학상, 난설헌 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백석대학교 백석문화예술관장,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수상자들에 대한 시상식은 오는 1017일 오후 1시 제3회 풀꽃문학제에서 실시된다. 풀꽃상과 대숲상 수상자들에게는 각각 1000만 원씩 총 2000만 원의 상금이 지급된다

 

728x90

 

 

가산리 희망발전소로 오세요/ 문현미

 

 

사람 사는 냄새가 맡고 싶으면 밀양군 북면 가산리로 오세요 그곳엔 60년 해묵은 이발소, 낡은 희망발전소가 하나 있지요

 

투박한 바리깡, 케케묵은 의자들, 연탄 난로에서 보글보글 세월을 끓이는 찌그러진 알루미늄 주전자, 바닥에는 갓 떨어져 나온 보풀 온기들, 복덕방 김씨 영감, 중국집 배달부 이씨, 여기저기서 몰고 온 때묻은 풍문들이 잘려나가는 머리카락보다 더 수북이 쌓입니다 와 달라는 연락을 받으면 금일 휴점팻말을 붙여 놓고 쏜살같이 달려가는 이발사, 이발소를 찾았다가 팻말을 보면 어디로 갔는지 세상 이치를 어림짐작하는 동네 사람들, 관절염으로 고생하는 친구의 오랜 쑥대머리를 깎아주고 감겨줍니다 빗질을 쓱쓱 하니까 친구가 이발사보다 훨씬 더 젊어 보이지요 이발사의 입가에 반달 미소가 걸리면머리 다 깎았다. 괜찮나?”“쪼매 못났다숫돌에 무딘 가윗날을 쓱싹쓱싹 갈고 있는데 엿장수 최씨가 들어오며 엿가위 소리 툭 던집니다 오늘 돈 마이 벌었나?”“그냥 밥 묵꼬 살면 된다 아이가, 하루에 세끼 더 묵꼬 사나?”

 

사람 냄새가 누룩처럼 부풀어 올라 동네가 구수구수 사랑으로 익어가지요 잘려 나간 머리카락만큼 온정이 더 쑥쑥 자라나는 가산리 희망발전 이발소

 

 

 

 

문현미 가산리 희망발전소로 오세요

 

nefing.com

 

 

계간 시현실과 한국문인협회 인제군지부가 주관하는 제9회 박인환 문학상 수상자로 문현미 시인이 선정됐다.

 

수상시집은 가산리 희망발전소로 오세요이며 수상작품 또한 가산리 희망발전소로 오세요이다.

 

시상식은 1011일 강원도 인제군에서 박인환 문학 축제 때 있을 예정이다.

 

 

 

 

가산리 희망발전소로 오세요

 

nefing.com

 

 

인제군민의 한마당잔치인 제26회 합강문화제가 개막됐다. 합강제는 인제지역 문화예술인들의 잔치인 하늘내린 예술제와 인제출신인 박인환시인을 기리는 박인환문학제 등이 함께 펼쳐져 평소 갈고닦은 문화·예술에 대한 기량을 발휘하고 지역주민들의 화합을 도모하는 체육 및 부대행사 등이 다채롭게 진행된다.

 

이번 합강제는 7일 오전 하늘내린 예술제 개막식과 오후6시 하늘내린 종합예술공연을 시작으로 오는 12일까지 56일동안 열린다.

 

8일은 오전11시 박인환추모 백일장, 오후130분 합강정에서 합강제례에 이어 오후3시부터 인제읍 시가지를 순회하는 거리퍼레이드가 열려 주민참여를 유도한 후 오후6시 인제군민들이 참가한 가운데 합강제 개회식을 갖고 오후 730분부터 크라운제이 등 인기가수 등이 참가하는 군민화합 희망콘서트가 열려 축제분위기를 고조시킨다.

 

이날 개회식때 2008 인제군민대상으로 선정된 박남웅 기린면주민자치위원장(지역개발부문)과 김미례씨(향토봉사부문)에 대한 시상식을 갖는다.

 

9일은 군민체육대회, 11일은 만해마을에서 박인환문학제와 박인환과 함께하는 시낭송의 밤 등 문학행사가 이어져 박인환 고향다운 문향 남설악의 가을밤을 수놓는다. 올해 박인환문학상은 문현미 백석대 교수(시인)가 선정됐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