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草堂)두부가 오는 밤 / 문성해
옛날에는 생각도 못한 초당을 알아
서늘한 초당두부를 알아
동짓날 밤
선연한 선지를 썰 듯 썩둑썩둑 그것을 썰면
어느새 등 뒤로는
그 옛날 초당(草堂) 선생*이 난을 칠 때면
뒷목을 서늘케 하며 일어서던 대숲이 서고
대숲을 흉흉히 돌아나가던 된바람이 서고
그럴 때면 나는 초당 선생이 밀지(密旨)를 들려 보낸
이제 갓 생리 시작한 삼베속곳 일자무식의 여복(女卜)이 된다
때마침 개기월식하는 하늘 분위기로
가슴에 꼬깃꼬깃 품은 종잇장과
비린 열여섯 해를 바꿀 수도 있을 것 같고
저잣거리의 육두문자도 오늘 밤만큼은 들리지 않는다 하고
밤 종일 붙어 다니는 개새끼들에게도 한눈팔지 않고
다만 초당 선생 정지 간에서 저고리 가슴께가 노랗게 번진 유모가
밤마다 쑹덩쑹덩 썰어 먹던 그것 한 점만 우물거려봤으면
이 심부름 끝나면 내 그것 한 판만 얻어
뱃구레 홀쭉한 동생들과 실컷 먹으리라던
허리춤에 하늬바람 품은 듯 훨훨 재를 넘던 그 여복이
초당 선생 묵은 뒤란으로 죽어 돌아온 밤
그 앞에 서면 그 여복 생각에 선생도 목이 메였다는 그것을 나는
슬리퍼 찍찍 끌고 동네 마트에서 너무도 쉽게 공수 받아
이빨 빠진 할멈처럼 호물 호물 이리도 쉽게 먹는다는 생각에
그것이 오는 밤은
개짐**에 사타구니 쓸리는 줄 모르고 바삐 재를 넘던 그 여복처럼
목숨을 내놓지는 못할지언정
슴슴하고 먹먹한 시 한 편은 내놓아야 하지 않겠느냐며
우라질 초당두부가 오는 밤이다
* 허엽(許?)1517-1580, 조선 중기의 문신, 호는 초당(草堂)이며 허균, 허난설헌의 아버지, 청백리이며 문장가, 조광조 윤근수 구수담 허자 등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파직 당함, 허엽은 강릉의 바닷물로 간을 한 두부를 만들게 했는데 그의 호를 따서 초당두부라고 하였다.
** 삼베를 기저귀처럼 잘라서 사용하던 옛날의 여성 생리대
[수상소감]
참 많은 길을 돌아서 왔습니다. 긴가민가하면서도 저의 아둔함은 꼭 그 길의 막다른 끝을 보고 나서야 돌아오곤 했습니다. 물극필반(物極必反)이라고 했던가요? 극에 달해야만 반드시 돌아온다는 말을 사랑했습니다. 한번 발을 올린 이상은 그 길을 끝까지 맛봐야만 하는 직성으로 저의 발은 수시로 부어올랐습니다. 그러나 가면 안 되는 줄 알았던 그 길 위에서 저는 때때로 의외의 인연들을 만나 희희덕거리는 행운을 얻을 수가 있었습니다. 그들이 나와는 하등 상관없는 인연들이라고 굳게 믿었기에 저는 가면을 쓰고 그들 속으로 걸어 들어갈 수가 있었습니다. 무엇을 어찌해보겠다는 욕심이 없었기에 그들은 제게 들켰지만 저는 그들에게 들키지 않을 수가 있었습니다. 제가 가야 할 길이 그들 때문에 점점 멀어진다는 것을 알면서도 저는 그 짓을 좀처럼 끊어버릴 수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요즘은 제가 가리라 굳게 믿고 있었던 그 길이 원래부터 없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됩니다. 그 길은 대체 이 세상 어디에 있는 것인지요? 정말 있기나 한 건지요? 그것은 제가 어렸을 때 미루고 또 미루던 끝내는 밤새워도 하지 못하는 방학 숙제 같은 것인지도 모릅니다. 손안에 가장 비싸고 좋은 보석을 들고 있으면서도 남의 손에 든 돌덩이를 탐하고 있었던 게지요.
어쩌면 주는 것 없이도 내 앞에 달려와서 넙죽 엎드리는 이 길들과 인연들에게 이제 허리 숙여야 하는 나이가 되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살아가노라면 정답이니 필연이니 하는 말은 필요 없단 것을 요즘은 알게 됩니다. 모든 길들은 언젠가는 다 한곳에서 만나진다는 것과 모든 인연들은 그럴만해서 닿아 있다는 것도 이제는 머리 숙이고 받아들이려 합니다. 제가 만난, 만나지 못한 수많은 인연들이 제가 나기 한참 전부터 촘촘한 씨실 날실로 얽혀져 있었음을 생각하는 밤입니다.
더 좋은 작품을 쓰라는 채찍을 휘둘러주신 송찬호 선생님, 박남희 선생님, 유성호 선생님, 유정이 선생님께 허리 숙여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자기 연민과 넋두리에서 벗어난 시를 쓰라는 채찍으로 알고 달게 고통을 받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심사평] 지속적으로 열어가는 시의 진경들
제6회 시산맥작품상 본심에는 모두 열일곱 작품이 부쳐졌다. 시편들을 일별하는데, 시인의 이름은 지워져 있고 작품들만 제 모습 그대로 반짝이고 있다. 시인을 안 가르쳐주느냐고 물으니 그렇다고 한다. 정말 시인이 누군지도 모르고 심사에 임하는 진풍경이 이어졌다. 어쨌든 다양하고 깊이 있는 미적 성취와 가능성으로 이분들 시편은 한결 같이 시산맥작품상의 제고된 위상을 보여주기에 족한 것이었다. 오랜 시간의 토론 끝에 심사위원들은 ?초당두부가 오는 밤?을 수상작으로 결정하게 되었다.
이 시편은 열여섯 나이의 ‘여복’이 늦은 밤 밀지를 가지고 어디론가 길을 떠났을 모습을 통해, 한 시대의 어둑하고 춥고 불온했을 순간을 서사적으로 담아낸다. 여복의 죽음과 시인이 느끼는 “서늘한 초당두부”의 감각이 아름다운 비극성의 언어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 ‘시적인 것’과 ‘서사적 흐름’의 결속을 통해 우리는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존재 전환의 순간을 목도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지상에 발을 딛고 살아가는 이들의 비극적 존재 형식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감각적 선명성과 서사적 얼개로 시적 진경을 보여준 이 시편에 적극 공감하게 된다. 일견 어둑하고 쓸쓸해 보이는 언어를 통해, 존재의 심층을 따듯하게 감싸 안는 데서 이 시편은 빛나고 있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나는 ?계단에 이르는 길?을 깊이 읽었다. 일상적으로 계단을 오르고 내려오고 바라보고 거기 머무르면서 우리는 온갖 충일한 감각의 순간으로 즐거운 상상을 하지 않는가. 반복과 점층을 통해 삶의 심연과 표층에서 일고 무너지는 우리의 존재 형식을 아름답게 형상화한 가편이었다고 생각된다.
심사가 진행되는 동안 심사위원들 사이에 적지 않은 이견이 제출되었지만, 이는 그야말로 ‘시’에 관한 여러 생각과 감각 그리고 평가의 준거들을 절실하게 느끼게 해준 시간이었다. 이처럼 자신 있게 시산맥작품상 심사 과정의 공정성과 엄정함을 피력하면서, (나중에 해당 시인을 알게 되었지만) 문성해 시인의 수상을 거듭 축하한다. 우리 시의 진경을 열어가는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여주기를 소망한다.
심사위원 송찬호 유성호 유정이 박남희
'문예지작품상 > 시산맥작품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8회 시산맥작품상 / 이재연 (0) | 2018.07.15 |
---|---|
제7회 시산맥작품상 / 최정란 (0) | 2018.07.15 |
제5회 시산맥작품상 / 차주일 (0) | 2014.10.25 |
제4회 시산맥작품상 / 최은묵 (0) | 2013.09.22 |
제3회 시산맥작품상 / 신현락 (0) | 2012.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