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등대문학상 시부문 당선작] 김정혜 김성배
■대상
그 섬이 불렀다 / 김정혜
욕지댁은 살아있을까?
욕지댁 딸이라 놀리던 언니들은 엄마 사십 구제 날
전쟁의 막바지 유복자 가슴에 묻고 뭍으로 온 오십년 전 그녀를 꺼냈다
세끼 밥과 나만 챙겨 업고 매일 용두산에 올라 수평선 바라봤다 했다
수평선 너머로 욕지댁은 가고 욕지댁 딸로 남은 나는
다리 밑에 주워온 아이보다 더 싫었던 말에 참 많이 울었다
약한 엄마 대신 가슴 열어준 그녀가 숨 쉴지 모를 그 섬이 불렀다
이틀 동안 섬 안길 걸으며 동그란 등으로 생선 말리며
아직도 삶의 지문 새기는 욕지댁들에게
부산 보수동 살은 적 있냐고 막연히 물었다
고메 밖에 심을 게 없어 뭍에 간적 있지만 금세 돌아왔다 했다
욕지 구석구석 함께한 남편이 파도에 쓸리고 쓸려
하염없이 동그래져가는 돌들의 소리 들으며
친정집 그녀들과 다른 나의 기질 이제 알았다 했다
뼈와 살을 돋우게 해준 젖줄이 덤으로 준 섬살이의 생명력을
■우수상
파도가 푸른 타자기를 치다 / 김성배
내 심연에 푸른 타자기 한 채 살고 있다
탁, 탁, 탁
사부자기 맨발의 유채꽃이 자진모리로 나서서
서성이던 파도가 굿거리장단 흥얼거리는
진지리길을 따른다
옷깃을 여미던 등대만 바다를
먹끈의 어둠으로 적어나가고 있다
참꽃 각질이 이는 하늘이 시든다
질 줄 아는 것이 피는 법도 안다고
입술 다 닳도록 파도가 바위에 쐐기문자를 새긴다
곰삭은 노을은 몸이 단 수평선에
이백여섯 개 뼈가 뒤틀리는
절정의 죽방렴을 쳐 놓는다
아직도 바람을 헤메던
나의 바다를 이렇게 엮어내기가 힘겨울까
파란 여백 위에 몸을 부려놓지만
숨찬 파도 얼룩 같은 활자판만 달그락거린다
질박한 바다를 이고 살아간다는 건
갈매기 울음에 절여진 이름 석 자에
물음표와 마침표의 투망을 던져놓는 일이다
'마침표를 찍는다고 끝은 아니다'
만년을 녹슬지 않는 질긴 파도소리가
동대만을 가득 메운다
하루해의 주름 속에서 지는 것들을 위한
맛있는 해거름을 바래하기로 한다
맛조개, 우럭조개, 불통조개, 바지락, 쏙……
무꽃 핀 갯벌의 페이지를 넘길수록
저녁은 날것으로 잘 살아있다
시/시조부문 심사평
총 861편 가운데 예심을 거쳐 결선에 오른 작품은 70편이었다.
70편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70편의 경향을 대체적으로 세 가지로 나누어 본다면 바다나 등대를 소재로 한 시인들의 사물에 대한 태도를 비유적인 기법을 통하여 형상화한 작품들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바다 체험을 바탕으로 개인의 삶이 진솔하게 표현되어 있는 경향이 다소 있었다. 그리고 바다를 글쓰기와 연결시켜 형상화하는 작품들도 다소 있었다.
입상작 8편은 그야말로 우열을 가리기 힘들었다. 그러나 시 속에 자신의 삶이나 살아온 생애가 진솔하게 녹아 있는 <그 섬이 불렀다>를 시 부문 가운데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골랐다. 동일인의 작품인 <어머니의 바다>도 수작이었으나 한 편을 고른다면 <그 섬이 불렀다>를 택하지 않을 수 없었다. 개인의 삶을 객관화시키고 그것이 다시 개연성을 획득한 솜씨가 뛰어났다. 특히 시적 인물인 ‘욕지댁’의 강인한 삶은 긍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한국의 전통적인 여인상 내지 어머니를 상징하고 있는 것 같아 심사위원 전원이 금년 등대문학상의 대상으로 결정하기에 주저하지 않았다.
우수상 <파도가 푸른 타자기를 치다>는 구체적 공간을 감각화하고, 이미지로 형상화시키는 솜씨가 탁월하였다. 그러나 삶의 진솔한 면에서 <그 섬이 불렀다>에 밀렸다. 또 다른 우수상 <등대를 노래하다>는 긴 호흡으로 다층적인 주제를 형상화하는 능력은 돋보였으나 군데군데 버렸으면 하는 시어들과 표현들이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가작 <몇 층의 바다>, <바다 일기장>, <홍어>, <날치의 비행술>, <바다의 비밀 듣는다>도 모두 수준급이었으며, 바다체험과 사물들을 이미지로 형상화시키는 솜씨는 뛰어났다. 그러나, 시인 자신의 진실한 삶을 이입시키는 데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었다.
작품들이 모두 해양문학상으로서의 바다체험이 다이나믹한 이미지들로 점철되어야 한다
는 점에서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었다. 앞으로 해양과 바다체험이 녹아 있는 대작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시/시조 본심 심사위원 양 왕 용
'국내 문학상 > 등대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회 등대문학상 당선작 (0) | 2019.04.06 |
---|---|
제5회 등대문학상 수상작 (0) | 2018.07.24 |
[스크랩] 제4회 등대문학상 수상작 (0) | 2017.08.18 |
제2회 등대문학상 당선작 (0) | 2014.11.14 |
[스크랩] [제1회 등대문학상 시부문 당선작] 이병일 (0) | 201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