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도 딜레마 / 최명란

 

 

오늘이 아주 가까이 아주 멀리 있다

고민하는 것은 고민하는 것만큼 중요치 않나

죽어라 태어났고

죽어라 먹었고

죽어라 사랑했고

죽어라 싸웠고

죽어라 아팠고

죽어라 죽었다

인생을 꽃이라 믿어야 하나

믿어지지도 않는 내일을 수많은 대중이 따라가고

오늘의 목소리는 호방하다

어정쩡한 예절을 배워

먹은 거 또 먹는 것이 필요하고

한 얘기 또 하는 것도 필요하나

가재도구는 있던 자리 이십 년 그대로 있고

고장 난 관악기에서 비명이 들린다

소리는 자리를 차지하지 않아

시계가 잠들어도 시간은 간다

어쩌나 오감을 흔들어놓는 오늘의 손을

놓아버려야 하나 말아야 하나

 

 

 

 

명랑생각

 

nefing.com

 

 

제16회 천상명 시·문학상 수상자가 선정됐다.


천상병시인기념사업회 천상병시상운영위원회는 제 16회 천상병 시·문학상 수상자로 최명란 시인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수상작은 시집 ‘명랑생각’이다.

이번 수상자 선정은 지난 2013년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출간된 시집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최종 후보로는 이병률과 복효근, 최명란이 올랐다.

정호승 시인 등 심사위원단은 “시집 전체를 관류하고 있는 비애의 정신을 역설과 반어를 통해 명랑의 정신으로 무애하게 승화시킨 데에 큰 장점이 있다”고 평했다.

한편, 시상식은 ‘제 11회 천상병 예술제’ 기간인 오는 4월 26일 의정부예술의전당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728x90

 

 

세월이 무엇입니까 / 정완영

 

 

세월이 무엇입니까

젖은 모래성입니까

 

아니면 손사래로

빠져나간 꿈입니까

 

이 달도

마지막 하루가

촛불처럼 다 탑니다.

 

하루가면 하루만큼의

이승은 멀어지고

 

어제 죽어 묻힌 벗이나

구름결을 생각하며

 

뻐꾸기

울음소리가

산빛 엮어 내립니다.

 

시름이 가슴에 고이면

소(沼)가 된다 하옵기에

 

산다는 이치 하나로

한 세월을 흘러놓고

 

망초꽃

흩어진 사연을

강기슭에 줍습니다.

 

 

 

 

세월이 무엇입니까

 

nefing.com

 

 

한국문인협회(이사장. 정종명)는 제2회 이설주문학상 수상자로 정완영 시조시인(시조집 '세월이 무엇입니까'와'시암의 봄')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 상은 이설주 시인의 문학정신을 기리고 한국 현대 시문학과 시조문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문인들의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제정됐다.

정완영 시조시인은 1919년 경북 김천에서 태어나 1960년 국제신보 신춘문예로 등단했다. 정 시인은 한국문인협회 시조분과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고향인 김천에서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중앙일보 시조대상’ ‘가람시조문학상’ ‘대상문학상’ ’만해시문학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저서로는 시조집 <구름산방> <내 손녀 연정에게> <세월이 무엇입니까> 등과 수필집 <나비야 청산가자> 등 다수가 있다.

이번 상은 이근배(시조시인), 허영자(시인), 권영민(문학평론가)이 심사위원을 맡아 심사했다. 한국문인협회가 주관하고 취암장학재단과 사조산업주식회사가 후원한다. 상금은 2천만 원이다.

시상식은 오는 4월 19일 오후 6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다.

 

 

728x90

 

 

투명에 대하여 / 허영자

 

 

유리창을 닦으니

세상이 환하다

안경을 닦아 쓰니

세상이 환하다

마음을 고쳐먹으니

세상이 환하다

너와 나

선 자리를 바꿔보니

세상이 환하다.

 

 

 

 

마리아 막달라

 

nefing.com

 

 

한국이 낳은 시인 혜산 박두진문학제 및 국내 최대 문학관건립 개관식이 지난 16일 문향인 안성맟춤랜드 내 남사당공연장에서 성황리 열렸다.

 

이날 행사는 혜산기념사업실무추진위원회와 안성문협 안성예총 안성문화원이 주관하고 문화체육부의 후원으로 청록파 혜산 박두진 시인의 문학적 업적과 고결한 시 정신을기리어 제13회 혜산 박두진 문학상으로 시인 허영자씨가 수상 됐다.

또한 제1회안성문학상에는 시인 하종성 문학공로상에는 시인이며 기업인 문영환씨가 선정 됐다.

 

제2부에는 혜산 박두진 시인의 시비 제막식에 이어 지난 해 안성맟춤랜드 내 총 공비 29억여 원을 투입해 대지 1만 여㎡에 연면적 999.4㎡ 지상3층으로 건립해 오늘 개관식을 가졌다.

 

우석제 시장은 축사에서 “한국이 낳은 청록파 시인 박두진을 기리며 오늘 전국 최대의 문학관을 개관해 문학과 문화예술의도시 안성의 긍지를 돋보이게 했다”며 “시에서 더 많은 문인이탄생 될수있도록 적극 나설것”이라고 말했다.

 

제막식과 개관식에는 우 시장과 김학용의원을 대신 한상수 사무처장이 참석하고 양운석 백승기도의원과 신원주 안성시의장을 비롯해 시의원 전국문인등 500여 명이 참여해 성대한 축제분위였다.

 

박두진 문학상 수상자 심사위원은 조남철 (전)한국방송통신대학총장을 비롯해 박라영 전수상자 오문석 문학평론가 조선대학교수 이갑세 안성문인회지부장 유성호 한양대학교수가 심사를 맡았다. 

 

728x90

 

 

기적 수업 / 신승철

 

못 배운 사람

혹은 잘난 사람

억울한 사람, 가난한 사람

분별을 잃고 헤매는 사람

돈 많다고, 힘 있다고

잘난 척하는 사람

평평해질 때까지

그대들이

내 마음속에서

나무처럼, 풀처럼

의자처럼

편안해질 때까지

이윽고 그대들이

이 의식 속에 모두 들어와

함께 하나의 삶이 되고

산과 들, 강물과 더불어

하늘 아래

그대들이 나와 함께

하나의 대지가 될 때까지

하나의 꿈으로 완성될 때까지

우리 모두는 함께 기다려야 한다네

왜냐하면 그대들이 바로 나인 까닭에

내가 바로 그대들인 까닭에

 

 

 

기적 수업

 

nefing.com

 

 

"홀로 가는 이 길이 결코 헛된 길은 아니다. 하지만 지구의 중력에 꼭 붙들려 매어 사는 인간으로서, 일상의 사사로움에 ‘사사로움이 없음’을 알면서도, 그 사사로움 속에 몸과 마음을 맡기는 일로 가끔은 잠을 이룰 수가 없으니, 아직은 미완未完의 인생임을 알아서인 것이다." 신승철 시인의 시집 중 '기적수업'의 한 구절이다.

정신과 전문의인 신승철 시인이 시집 '기적수업'을 펴냈다.

 

이 시집엔 '기적수업' 외에 '병' '어둠 속에서' '오케이' '설산雪山에 올라' 등  불교의 감성과 기독교적 영성이 녹아 있는 총 5편이 실려 있다.

신승철 시인은 1953년 경기 강화에서 출생했으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했다. 연세의대 정신과 교수, 1987년 미국 텍사스 의대 정신보건과정 연구교수, 전 서울 가정법원 가사조정 위원(1997~2001)을 역임했다. 정신과 전문의, 신경과 전문의이며 1978년 혜산 박두진 선생님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에 등단하여 시인으로 맹활약하고 있다. ‘장영실 문화대상’을 수상했으며 ‘조선일보 신승철의 부부진단(1997. 3~1998. 4)’을 연재했다.

저서로는 학술서적 '연변 조선족 사회정신의학 연구', 에세이집 '한 정신과 의사의 노트' '남편인가 타인인가' '있는 그대로 사랑하라' '나를 감상하다', 역서 '비폭력의 기원-간디의 정신분석' '아직도 가야할 길' '사랑은 모든 것의 해답' 'TMS 통증치료 혁명'이 있다. 이밖에 시집으로 '너무 조용하다' '개미들을 위하여' '그대 아직 창가에 서서 오래도록 떠나지 못하고있네' '더 없이 평화로운 한때'가 있다.

 

 

 

더없이 평화로운 한때

 

nefing.com

 

 

혜산 박두진문학제운영위원회와 한국문인협회 경기 안성지부는 올해 박두진문학상 수상자로 신승철 시인을 선정했다고 지난달 22일 밝혔다.

 

혜산 박두진 문학상은 혜산의 시 정신을 기리기 위해 고향인 안성시 후원으로 2006년 제정됐다. 해마다 수상자는 발간된 시집 중에서 우수한 시적 성취와 활동을 보여준 시인 중 혜산의 시 정신과 시 세계를 반영해 예심에서 추천된 본상 후보 여섯 명 가운데 엄선한다.

 

수상작으로 선정된 신승철 시인의 기적수업은 박두진 선생이 근대사의 역사에 착근한 바 있는 장시(長詩) 전통을 확장적으로 계승하면서, 인간과 우주와 신성(神聖)에 대한 창의적인 해석으로 매우 중요한 형이상학적 탐구의 결실을 보여줬다는 평을 받았다.

 

신승철 시인은 무위(無爲)의 세상을 노래하면서, 갈수록 생각과 말과 행동이 더욱 단순해지는 삶을 살게 되는 것 같다고 고백한다. 시인의 말마따나 등단 40년을 맞고 있는 중진 시인은 수행자인 듯 영적 관조와 침잠 과정을 통해 시 세계의 완결성과 가능성을 모두 바라보게 한다.

 

심사위원단은 혜산 선생의 지향과 유산이 창의적으로 섭렵되고 계승된 이 시집은 그의 오랜 시력(詩歷)에 상응하는 크나 격려가 되기를 희망한다며 선정 이유를 밝혔다.

 

728x90

 

 

이승의 등불 / 정완영

 

 

내가 죽어 저승에 가면

 

이승이 고향 아닐까

 

너랑 나눈 한잔 차 이야기

 

오소소 추운 낙엽

 

가을밤 잘 익은 등불이 모두 꿈길에 밟히겠네

 

 

 

 

 

구름 산방

 

nefing.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