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작정 / 정진규
통도사에 갔다 추녀와 추녀들이 서로 밀어 올리고 섰는 허공들 뒤뜰 깊게까지 따라갔다가 무작정 그 허공들 받들고 서 있는 무작정無作停 한 채를 보고 있다
[심사평]
제9회 박두진문학상 심사는, 예심에서 추천된 여섯 분의 시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최근 발표한 시편들을 차근차근 읽어나가면서 진행되었다. 이분들은 모두 우리 시단에서 남다른 위상을 점하고 있는 시인들이기 때문에, 그 성취의 높고 낮음에 차이를 두기란 여간 어려운 게 아니었다.
결과적으로 수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심사위원들은 매우 깊이 있고 탄탄한 시적 성취를 보여주는 중량감 있는 시인들을 만나보게 된 것이다. 오랜 논의 끝에 심사위원들은 정진규(鄭鎭圭) 시인의 최근 시적 성취가 괄목할 만한 것이며, 박두진문학상의 여러 기율들을 충족하고 있다고 합의를 이루었다. 곧 그의 시편들이 커다란 스케일과 함께 보편적인 인간 본질에 관한 사유를 두루 결합하였고, 시형에서도 박두진 산문시의 미학을 계승하고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정진규 시편이 보여주는 후기 시학적 모드는, 줄글 형식의 단형 산문시 안에 존재의 근원과 미시적 감각을 통합하는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그의 이러한 지향은, 자연 사물이 내뿜는 리듬을 그대로 옮겨 적고 있을 정도로 깊고 예민한 몸의 리듬을 담고 있다. 우주적 리듬과 자연 사물의 움직임들을 세밀하게 발견하면서 근원적 관조의 미학을 완성하려는 몸의 감각들은, 한결같이 원만구족(圓滿具足)한 모습을 한 채 모나고 날카롭고 파열된 우리들 생을 통합하고 치유하는 비유적 형상으로 활용되고 있다.
나아가 그들 스스로 계시적 이미지가 되어 활달한 자기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진규 시인 특유의 직관과 사유에 의해 마련되고 확장되어온 이러한 상징체계들은 한국 시에서 이른바 ‘메타시편’의 차원을 보여주는 전형적 사례가 되면서, 동시에 심미적 감각과 철학적 인식이 통합된 사례로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정진규 시인 고유의 미학이 이처럼 고요한 수런거림의 여운을 주고 있는 것도, 이러한 감각과 인식을 심미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시인의 역량과 밝은 눈 때문일 것이다. 거듭 수상을 축하드리면서, 정진규 시인만의 고유한 시적 연금술이 지속적 진경으로 나타나게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 본안심사위원 >
유종호(위원장, 문학평론가, 전 연세대학교 석좌교수, 대한민국예술원 원장)
김용직(문학평론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이영섭(시인, 가천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
조남철(문학평론가, 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총장, 혜산박두진문학제 운영위원장)
유성호(문학평론가,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임충빈(시인, 혜산박두진문학제 운영위원회 간사, 안성문인협회 고문)
< 예심 심사위원 >
유성호(한양대학교 교수, 문학평론가)
오문석(조선대학교 교수, 문학평론가)
신용목(고려대학교 강의교수, 시인)
임충빈(시인, 혜산박두진문학제 운영위원회 간사, 안성문인협회 고문)
제9회 혜산 박두진문학상 수상자, 정진규 시인
안성시와 혜산 박두진문학제운영위원회는 제9회 혜산 박두진 문학상 수상자로 정진규(鄭鎭圭,74세, 전 월간 현대시학 주간) 시인이 선정되었다.
혜산 박두진 시인의 시세계를 기리고 계승·발전하는 취지로 안성시에서 주최하는 이 상은 그동안 제1회 신대철, 제2회 천양희, 제3회 최문자, 제4회 최동호, 제5회 박라연, 제6회 마종기, 제7회 강은교, 제8회 김종철 시인을 시상하였고, 이번에도 공정하게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통해 정진규 시인을 선정하였다.
심사위원은 유종호(위원장, 문예비평가, 대한민국예술원 원장, 전 연세대 석좌교수), 김용직(문학평론가, 시인,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서울대 명예교수), 이영섭(시인, 가천대 명예교수), 조남철(한국방송통신대 직전 총장, 혜산박두진문학제운영위원회 위원장), 유성호(문학평론가, 한양대 교수),임충빈(시인, 안성문협 고문, 혜산박두진문학제운영위원회 간사)이다.
정진규 시인이 보여주는 시학적 모드는, 줄글 형식의 단형 산문시에 존재의 근원과 미시적 감각을 통합하는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 그의 이러한 지향은, 자연 사물이 내뿜는 리듬을 그대로 옮겨 적고 있을 정도로 깊고 예민한 몸의 리듬을 담고 있다. 우주과 자연 사물의 움직임들을 세밀하게 발견하면서 근원적 관조의 미학을 완성하려는 몸의 감각들은, 한결같이 원만구족(圓滿具足)한 모습을 한 채 모나고 날카롭고 파열된 우리들 생을 통합하고 치유하는 비유적 형상으로 활용되고 있다.
수상작으로 수상작으로 뽑힌 ⌜무작정⌟외 9편의 경우 고유의 미학이 이처럼 고요한 수런거림의 여운을 주고 있고 감각과 인식을 심미적으로 구축하는 시편들이다.
시상식은 시상식은 10월 25일(토) 오후 3시 경기도 안성시 안성문예회관에서 제14혜산박두진문학제 때 있으며 상금은 일천 만원이다.
'국내 문학상 > 박두진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1회 박두진문학상 / 노향림 (0) | 2018.07.30 |
---|---|
제10회 박두진문학상 / 김형영 (0) | 2018.07.30 |
제8회 박두진문학상 / 김종철 (0) | 2013.12.07 |
제7회 박두진문학상 / 강은교 (0) | 2012.10.19 |
제6회 박두진문학상 / 마종기 (0) | 2012.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