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푸른 꽃 / 윤제림

 

 

붉은 꽃 지고 푸른 꽃 핀다

 

손차양을 하고 해를 향해 마주 서면

,뜨거운 이파리들의 눈부신 개선

열흘 싸움에 지친 꽃들이

피 흘리며 떨어져 눕고

상처만큼 푸른 꽃들이

함성을 지르며

일어선다

 

이제 보니,

꽃들의 싸움도 참으로

격하구나

장하구나

 

 

 

편지에는 그냥 잘 지낸다고 쓴다

 

nefing.com

 

 

동아일보와 전남 강진군이 공동 주최하는 제18회 영랑시문학상 수상작으로 윤제림 시인(61)의 시집 편지에는 그냥 잘 지낸다고 쓴다가 선정됐다. 본심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이근배, 최문자, 곽효환 시인은 최종 후보 5개 작품 중 윤제림 시인의 시집을 수상작으로 결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수상작은 인간다움과 상생(相生)에 대해 노래한 시집. 심사위원들은 윤 시인은 무심히 스쳐 지나갔을 법한 일상과 기억, 농담, 작은 기사, 광고 전단지, 소소한 사물 등 주변의 다양한 것들을 무겁지 않고 천연덕스럽게 시로 만들어낸다고전적 미감과 세련된 페이소스로 미학적 개성을 발휘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그의 시에서 독서와 체험을 통한 독특한 미적 감각과 미사여구가 눈길을 끈다는 평가가 적지 않았다. 푸른 꽃의 일부 문구인 열흘 싸움에 지친 꽃들이 피 흘리며 떨어져 눕고/상처만큼 푸른 꽃들이/함성을 지르며 일어선다/이제보니/꽃들의 싸움도 참으로/격하구나/장하구나가 대표적. 한 심사위원은 아름답고 쓸쓸한 미감과 서정성 그리고 윤 시인만의 시적 개성에 영랑시문학상이 값진 격려와 동행이 돼줄 것으로 믿는다고 했다.

 

윤 시인은 29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서너 해 전 꼭 이맘때 집이 화재로 전소되고 가족이 암 선고를 받고 어머니께서 돌아가시는 등 내게 잔혹했던 때가 있었다눈물 나는 상황에 바깥에 환히 핀 꽃을 보며 곧바로 생각난 건 영랑의 표현 찬란한 슬픔의 봄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많은 문학상 중에서도 한 번쯤 타고 싶다고 생각한 상을 받게 돼 대단한 축복이라고 생각한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728x90

 

 

새의 얼굴 / 윤제림

 

 

어떻게 생긴

새가

저렇게

슬피 울까

 

딱하고 안타깝고

궁금해서

밤새 잠을 못 이룬 편집자가

자기가 만드는 시집에는

시인의

얼굴을

넣어야겠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 뒤로부터, 시집에는 으레

새의

얼굴이

실렸다.

 

 

 

 

새의 얼굴

 

nefing.com

 

 

윤제림 시인과 정병욱 교수가 각각 제14회 지훈문학상과 지훈학술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지훈상 운영위원회와 나남문화재단 측은 지훈문학상에 윤제림 시인의 시집 새의 얼굴’, 지훈학술상에 논문 식민지 불온열전을 쓴 정병욱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인문한국(HK) 교수가 받는다8일 밝혔다.

 

윤 시인은 지난 1987문예중앙신인문학상을 통해 등단, ‘삼천리호자전거’ ‘미미의 집’ ‘황천반점’ ‘사랑을 놓치다’ ‘그는 걸어서 온다등의 시집을 냈다. 윤 시인은 동국문학상과 불교문예 작품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현재 서울예술대학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 교수는 19992월 고려대 사학과 박사학위를 받은 뒤 그해 11월부터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로 근무하다가 20109월부터 민족문화연구원 인문학국(HK) 교수로 일하고 있다.

 

시상식은 오는 22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다.

 

 

 

 

편지에는 그냥 잘 지낸다고 쓴다

 

nefing.com

 

 

나남문화재단(이사장 조상호 나남출판사 대표)이 경북 영양 출신의 문인 지훈 조동탁(1920~1968)을 기려 제정한 지훈상의 열네 번째 시상식이 이달 22일 오후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열렸다.

 

이날 시상식에서 지훈문학상은 시집 새의 얼굴을 낸 윤제림 서울예술대 교수가, 지훈국학상은 역사서인 식민지불온열전을 펴낸 정병욱 고려대 교수가 각각 수상했다.

 

이배용 지훈상 운영위원장은 윤제림 교수의 시집 새의 얼굴의 시적 성취가 지훈 선생의 문학 정신을 계승하고 한국 현대시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고, 정병욱 교수의 연구서 식민지불온열전은 지훈 선생의 국학정신을 계승하고 우리의 국학 연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고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문학상을 받은 윤 교수는 시인으로 살아가는 시간들이 지상의 모든 맨손, 맨발, 맨몸으로 이 부박(浮薄)하고 포악한 세월과 맞서는 동업자들의 나날처럼 뜨거운 순간들의 연속이었으면 좋겠다면서 간절한 소망은 제 시의 값이 제 밥값에 부족하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또 국학상을 수상한 정 교수는 일제 말기의 사회상을 잘 보여주는 보통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세상에 알려야겠다는 심정으로 책을 냈다면서 이름 없고 역사 없는 사람들에게 제 이름과 역사를 찾아주는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시상식에는 조지훈의 두 아들인 조학열, 조태열 씨와 수상자 가족, 문인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