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헤어진 이름이 태양을 낳았다 / 박라연

 

 

누군가의

따뜻함은 흘러가 꽃이 붉어지게 하고

상처는 흘러가 바다를 더 깊고 푸르게 할까

 

티끌,이라는 이름부터 피라미 여치 패랭이

세상엔 얼마나 많은 이름들이 제 이름을 부르며

어디까지 나아갈까 태평양

 

혹은 장미라는 이름으로 계급으로

붐비고 여물어가지만

 

제 이름의 화력만큼 이글거리는

애간장들에게

 

가만히

저를 열어 뿌려주는 엔도르핀을 만날 때

어떻게 인사하면 좋을까

 

사방이

그저 붉게 두근거리며 울어버릴 때

 

헤어진 이름이

깊고 푸른 바다로 걸어 들어가버렸을까

 

내 떨림의 물결 한가운데서 붉은

해가 떠올랐다

 

 

 

헤어진 이름이 태양을 낳았다

 

nefing.com

 

 

강진군과 동아일보가 공동 주최하는 제17회 영랑시문학상 수상자로 박라연 시인이 선정됐다.

 

영랑시문학상 운영위원회(위원장 신달자)는 강진군청 회의실에서 가진 제3차 회의에서 예·본심을 거쳐 최종 수상 후보에 오른 박라연 시인의 시집 헤어진 이름이 태양을 낳았다를 제17회 영랑시문학상 수상작으로 결정했다.

 

수상작헤어진 이름이 태양을 낳았다는 괴로움이나 슬픔이 개인 차원을 넘어 만물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 심사위원들의 관심을 끌었다.

 

영랑시문학상 본심 심사위원에는 운영위원단의 추천에 의해 오탁번·김기택 시인과 문학평론가 김주연씨가 참여했다.

 

심사위원들은 박라연의 시는 자아에 갇히지 않고 바깥을 향해 열려 있는 무한한 상상력을 보여주고 있다면서“‘오만 가지 밥 생각오만 가지 꽃으로피어나황하 코스모스 천지와 호랑나비 천지의 아름다운 농사가 되는 상상력은 일상의 걱정거리나 괴로움이 사물로 변화하며 자연적·우주적 에너지를 품어 아름다워지는 과정을 보여줬다고 평했다.

 

보성에서 태어난 박 시인은 원광대 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0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한 중진이다.

2008년 윤동주 문학상과 2010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박두진 문학상 등을 수상한 그는 시집으로서울에 사는 평강공주’,‘너에게 세 들어 사는 동안’,‘생밤 까주는 사람’,‘공중 속의 내 정원’,‘우주 돌아가셨다등이 있다.

 

이승옥 강진군수는 "우리 군과 동아일보가 올 봄 업무교류 협약식을 갖고 영랑시문상을 함께 운영키로 했는데, 첫 결실을 맺게 돼 기쁘다면서 "특히 영랑 시인의 시정신과 맞닿아 있다는 평을 받은 박라연 시인의 수상은 인문도시 강진의 도시브랜드 가치를 한층 높여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상식은 다음 달 16일 오후 2시 강진군 시문학파기념관에서 열리며, 수상자에게 상패와 상금 3000만원이 지급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