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만약이라는 약 / 오은

 

 

오늘 아침에 일찍 일어났더라면

지하철을 놓치지 않았더라면

바지에 커피를 쏟지 않았더라면

승강기 문을 급하게 닫지 않았더라면

 

내가

시인이 되지 않았다면

채우기보다 비우기를 좋아했다면

대화보다 침묵을 좋아했다면

국어사전보다 그림책을 좋아했다면

새벽보다 아침을 좋아했다면

 

무작정 외출하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았다면

그날 그 시각 거기에 있지 않았다면

너를 마주치지 않았다면

그 말을 끝끝내 꺼내지 않았더라면

 

눈물을 흘리는 것보다 닦아주는 데 익숙했다면

뒤를 돌아보는 것보다 앞을 내다보는 데 능숙했다면

만약으로 시작되는 문장으로

하루하루를 열고 닫지 않았다면

 

내가 더 나은 사람이었다면

 

일어나니 아침이었다

햇빛이 들고

바람이 불고

읽다 만 책이 내 옆에 가만히 엎드려 있었다

 

만약 내가

어젯밤에 이 책을 읽지 않았더라면

 

 

 

 

유에서 유

 

nefing.com

본 공모전에 당선된 작가께서 출간한 시집을 소개합니다.

 

 

 

[심사평] 평범한 일상 시인의 감각으로 재구성해 실증적 담론 구현

 

올해 처음으로 구상 시인의 문학세계를 기리기 위해 제정한 구상詩문학상의 본심에 오른 다섯 분 시인의 시집을 다시 촘촘하게 읽어보는 시간은 지금 우리 시단의 허리쯤 되는 현재를 살펴보는 일이기도 했다. 등단 10년에서 20년 사이에 있는 비교적 젊은 시인들의 시를 본상 후보로 추천하고 선정한다는 의미 있는 기준에 걸맞은 시인들이 본심에 올랐다.

본심에 오른 다섯 분 시인의 시집은 김미령의 ‘파도의 새로운 양상’, 김이듬의 ‘표류하는 흑발’, 박성우의 ‘웃는 연습’, 오은의 ‘유에서 유’, 이근화의 ‘내가 무엇을 쓴다 해도’이다. 모두 다양한 상상력과 함께 자기만의 확고한 시세계와 시적 화법을 가지고 있는 시인들로 한두 시인으로 쉽게 압축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오랜 논의 끝에 오은의 시집 ‘유에서 유’를 수상작으로 결정했다.

이근화의 시를 이제는 더 이상 낯선 화법이라고 말할 수 없게 되었다. 담백하고 절제되어 있는 듯 보이지만 뜨거운 감정들이 내재되어 있다. 일상적이되 일상을 넘어서는 시적 세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언어 감각이 한층 심화되었다. 김이듬의 시는 여전히 거침없고 도발적이고 약간은 위악적이지만 다정하고 따뜻한 출렁임이 생겨났다. 어떤 시적인 제스처도 없으며 단호하지만 보다 유연해졌고 이 세계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사람의 꿈은 한층 더 사람으로 살다 죽는 것”이어서 자신과의 싸움을, 언어와의 싸움을 멈추지 않고 더 치열하게 밀고 나가리라 기대된다.

오은은 무엇보다 언어에 대한 자의식이 확고한 시인이다. 역동적 상상력과 재기발랄한 말놀이라고도 볼 수 있는 언어감각은 평범한 일상을 시적 사건으로 미끈하게 재구성해 내며 언어에 대한 실증적인 담론을 시로서 구현해내는 부단한 작업을 실행해 왔다. 하지만 이제는 지적인 언어의 사유를 넘어서는 자기점검이 필요한 시기가 오지 않았나 싶다.

대중적 언어가 아님에도 독자들의 호응이 적지 않고 독특한 시법으로 주목 받고 있는 패기 있는 시인 오은을 첫 회 수상자로 선정한 이유 중 하나는 앞으로 구상詩문학상의 개성과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수상을 축하드린다.

 

심사위원 송찬호, 조용미, 홍정선

 

 

 

 

호텔 타셀의 돼지들

 

nefing.com

 

 

제1회 구상詩문학상 시상식과 2018년 영남일보 문학상 시상식이 12일 오후 5시 영남일보 대강당에서 열렸다.

이날 시상식에는 이하석 구상詩문학상 운영위원장을 비롯해 류형우 대구예총 회장과 박방희 대구문인협회 회장, 김용락 한국작가회의 대구경북지회장, 고(故) 구상 선생님의 딸인 구자명 소설가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시상식은 축사·경과보고·심사평·수상작 시낭송과 수상자 소감·시상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손인락 영남일보 사장은 인사말에서 “구상詩문학상 본상 수상자와 두 분 신인 작가가 앞으로 한국 문단에서 어떤 길을 걸어가게 될지 설레는 마음을 감출 수 없다”며 “오늘을 시작으로 더욱 묵묵히 문학의 길로 정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하석 구상詩문학상 운영위원장은 “구상 시인과 관계가 깊은 대구에서 이런 시상식을 열게 된 점은 매우 뜻깊다”며 “앞으로 해가 거듭될수록 구상詩문학상이 한국 문학계에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제1회 구상詩문학상 본상은 오은 시인이 수상했다. 오은 시인은 “시는 혼자 쓰는 것이지만, 함께라는 감각이 없었다면 여기까지 올 수 없었다”며 “1회 수상자라는 무게가 제 문학의 다음을 열어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영남일보 문학상은 이서연씨(시)·임채묵씨(소설)가 각각 수상했다. 시 부문 수상자인 이씨는 “뜻밖의 수상 소식에 함께 기뻐해 주고 오랜 시간 함께 소리 내어 책을 읽어 준 친구들과 늘 곁에서 사랑과 격려를 건네는 가족들께 감사하다”고 했다. 소설 부문 수상자인 임씨는 “첫걸음을 뗄 수 있게 도와준 모든 분께 감사하고, 조금씩이라도 나아지는 글을 보여드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국내 문학상 > 구상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회 구상문학상 / 신영배  (0) 2021.08.08
제3회 구상문학상 / 하재연  (0) 2021.08.08
제2회 구상문학상 / 정한아  (0) 2021.08.08
728x90

 

 

무인공장 / 오은

 

 

무인공장에서 기술을 배웠다. 사람이 없어도 사람을 견디는 기술을. 사람이 없어도 사람인 채 버티는 기술을. 일은 기술과 상관 없었다. 아침을 먹고 스위치를 켜는 것. 저녁을 먹고 스위치가 켜져 있는지 확인하는 것, 아침을 먹고 저녁을 먹는 것이 차라리 더 고된 일이었다. 무인공장에서 일어나 무인공장으로 출근했다. 사람이 없는 곳에서 사람이 없어도 되는 곳으로 아침을 먹고 스위치를 켰다. 보지 않은 사이에 스위치가 꺼질까 걱정되어 점심은 걸렀다. 사람을 맞이할 필요도, 사람을 배웅할 필요도 없었다. 출근시간이 왔다가 노동시간이 왔다가 밥시간이 왔다가 다시 노동시간이 왔다. 정확한 간격으로 밥시간과 퇴근시간이 왔다. 기술적이었다. 퇴근이라고 쾌재를 부르면 메아리가 되어 공장에 울려 퍼졌다. 예술적이었다. 무인공장에 출근했다가 무인공장으로 퇴근했다. 무인공장에서 잠들 시간이 다가오고 있었다. 제시간이 갱신될수록 시간개념은 점점 희미해졌다. 시간은 가지 않고 늘 오기만 했다. 이상했다. 그렇게 오래 근무해도 기술은 늘지 않았다. 수상했다. 무인공장에 내가 있었다. 무인공장인데 내가 있었다. 무인공장인데 내가 있는 것이 유일하게 습득한 기술이었다. 어느 날에는 스위치를 켜는 심정으로 불쑥 내 이름을 발음해보았다. 무인공장과 달리 나는 이름이 있었다. 무인공장과는 달리, 나는 사람이었다. 저녁을 먹고 스위치를 껐다. 공장 내에 경보음이 요란하게 울렸다. 그제야 일이 기술가 상관있다는 걸 알았다. 해고를 당할 때에야 무인공장에도 사람이 있다는 걸 알았다. 해고를 당했는데 정작 공장에서 빠져나갈 기술이 없었다. 무인공장에서는 유입만 있고 유츌은 없었다. 제시간은 항상 찾아오기만 했었다. 곤욕은 곤혹 전에 찾아와 곤경에 처한 것은 뒤늦게 깨달았다. 사람이 없어도 되는 곳에 사람이 있었다. 사람이 없어야 하는 곳에 사람이 있었다. 한번 꺼진 스위치는 다시 켜지지 않았다. 사람 구실을 하는 게 곤란해졌다. 비로소 무인공장이 무인공장다워졌다. 뭔가를 원해서 뭔가를 원하지 않아서 입은 늘 벌린 채였다. 아침을 먹어도, 점심을 걸러도, 저녁을 먹어도 입은 늘 벌어진 채였다. 무인공장에서 기술을 배웠다. 사람 없이도 사람을 견디는 기술을. 사람 없이도 사람인 채 버티는 기술을.

 

 

 

나는 이름이 있었다

 

nefing.com

 

 

대산문화재단은 올해 제27회 대산문학상 수상자로 소설가 조해진, 시인 오은, 번역가 윤선영·필립 하스를 각각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수상작은 조해진 장편소설 '단순한 진심', 오은 시집 '나는 이름이 있었다', 윤선영·필립 하스의 독역서 '새벽의 나나'(박형서 원작). 희곡 부문은 수상작을 내지 않았다.

 

대산문학재단이 주관하는 제27회 대산문학상 시 부문 수상자 오은(37) 시인은 4일 서울 교보빌딩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나는 이름이 있었다'에 실린 시를 쓰던 시간은 귤의 과육이 아니라 귤락을 들여다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이같이 수상 소감을 밝혔다.

 

시집 '나는 이름이 있었다'로 상을 받게 된 그는 귤을 감싼 섬유질인 '귤락'을 자신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라 비유했다.

 

오은 시인은 "귤락이 더 멀리 뻗어 나갈수록 그물망이 더 촘촘해질수록 내 우주는 따라 성장했다"면서 "낮지만 깊고 어둡지만 진한 이야기,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고 귀 기울이지 않지만 팽팽해지는 그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고 말했다.

 

심사위원들은 그의 시집이 '삶에 대한 진정성 있는 성찰을 끌어내고 사람의 내면을 다각도로 이야기했다'고 평가했다.

 

대산문학상은 교보생명 창업주인 대산 신용호 선생이 창립한 대산문화재단이 1년여 동안 발표된 한국 문학 작품 가운데 작품성이 가장 뛰어난 작품을 부문별로 선정해 시상한다.

 

수상자에게는 각각 상금 5천만원이 수여된다. 시와 소설 수상작은 번역 지원을 받아 해외에서 출간된다.

 

728x90

 

 

미시감(未視感, jamais vu)* / 오은

 

 

그런 법이 어디 있어요?

사람이 울며불며 매달린다

 

여기 있습니다

사람이 무덤덤하게 대답한다

 

없던 법이 생기던 순간,

 

몸이 무너졌다

마음이 무너졌다

폭삭

억장이 무너졌다

 

여기를 벗어난 적이 없는데

단 한 번도 여기에 속한 적이 없는 것 같았다

 

처음처럼 한결같이 서툴렀다

 

사람이 사람을 에워싼다

둘러싸는 사람과 둘러싸이는 사람이 있다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사람이 사람을 어색해한다

사람인데 사람인 게 어색하다

여기서 울던 사람이

길에 매달려 가까스로 걷는다

집이 이 근처 어딘가에 있을 것이다

 

집에 가는 길에 사람이 사람을 만난다

익숙한 냄새가 난다

안녕

어떤 말들은 안녕하지 않아도 할 수 있다

 

속이 상한 것은

겉은 멀쩡하기 위한 거지

 

겨우내 겨우 내가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봄은 꽝꽝 얼어붙어 있었다

 

푹푹 꺼지는 땅 위에 사람이 서 있다

여기에 속하지 못한 사람이

여기에 있다

 

이런 사람이 어디 있습니까

 

여기 있습니다

여기 있을 겁니다

 

* 기시감(旣視感, deja vu)과 대조적인 개념으로 실제로 잘 알고 있으면서도 처음 경험하는 듯이 느끼는 기억 착각을 의미한다.

 

 

 

 

유에서 유

 

nefing.com

 

 

 

15회 박인환문학상 수상자로 오은 시인(32)이 선정됐다.

 

박인환문학상은 시전문 계간지 '시현실'(발행인 원탁희)에서 1999년 제정해 올해로 15회 수상자를 배출했다. 수상 작품은 '미시감(jamais vu)'이다.

 

강동우 문학평론가는 심사평에서 "오은 시인은 언어에 대한 자의식을 바탕으로 연금술적 기술과 다채로운 어조를 바탕으로 세계와 존재의 이면을 투시하는 시선과 포착된 대상의 특질을 다양한 각도에서 부각시킬 줄 아는 구성력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무겁지 않으면서도 결코 가볍지 않은, 삶과 존재에 대한 성찰의 무게를 곁들이고 있다"고 평했다.

 

오은 시인은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2'현대시'로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호텔 타셀의 돼지들' '우리는 분위기를 사랑해'를 출간했다.

 

시상식은 1114일 오후 6시 대한출판문화협회에서 열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