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자와 사랑 / 박성민

 

 

심심하면 자전거를 타고 소양강 돌다리까지 달렸다

강변에 먼저 와 있던 문자는 조용히 앉아

막 피어난 안개로 손을 씻고 있었다

나는 물풀처럼 흔들리며

흐르는 물살이 입은 햇살이 부러웠다

강 건너 우두동의 저녁을 향해

문자는 어른처럼 익숙한 휘파람을 불었다 나는

그녀가 알아듣지 못하게 잠긴 목소리로

처음 `그대'라고 불러 보았다

 

저녁 강이 비치는 하늘은 깊은 분지를 향해 흘러갔다

나는 역 광장에서 서성이며 미군부대 헬기가 뜨기를 기다렸다

담 밖 꽃 진 나무들이 어떻게 바람소리를 내는지 궁금했지만

서울로 가는 길이어서인지, 기적소리 길게 레일을 벗어날 때

검은 안개 본 적 있니? 미군부대 녹슨 철조망에 기대어

헝클어진 머리 문자는 짓궂게 웃기만 했다

 

 

 

 

[당선소감] “가슴속 녹슨 이정표 안고 시인의 길 걸어갈 것

 

추수가 끝난 논 위로 덤불이 삶처럼 얽혀 굴러간다. 아카시아나무 질긴 뿌리 끝에 바람의 생장점을 가지고 있는 곳. 남대천 옆 소금창고에는 나이 든 제설공들이 담배를 피우고 있다. 덜그럭거리는 창을 고치며 몇 번째 안간힘인가 셈해본다. 해풍은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인제 쯤에서 눈이 내리기 시작할 것이다. 창밖 빈 가지들이 어떻게 겨울을 버티는지 바라보며 나는 시를 쓴다.

 

당선 소식을 듣고 어린 내가 봤던, 오랫동안 의심했던 녹슨 이정표가 맞았음을 알게 됐다. 해는 지고 갈 길은 멀지만 멈추지 않으리라 다짐해 본다. 오규원, 김혜순 교수님, 가족들, 친구 연호와 주현, 그리고 같이 겨울을 보내는 동료들이 떠오른다. 말 없는 내게 말 걸어 준 그분들에게 감사드린다.

 

 

 

SSG

 

deg.kr

- 애드픽 제휴 광고이며, 소정의 수수료를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심사평] “오늘 날 생활양식 서정적으로 반영 인상 깊어

 

80여편이 예선을 거쳐 올라왔다. 대체적으로 해석되고 존재하는 세계를 전달하고자 하는 분위기가 느껴졌다. 특이할 만한 것은 응모자 연령대가 상당히 낮아졌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것이다' 할 만큼 눈에 띄는 작품은 없었다.

 

박여원의 `등대와 함께한 밤', 김겸의 `귀로', 권소영의 `물기', 박성민의 `문자와의 사랑'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등대와 함께한 밤'은 산문시로 시상 전개의 역량이 돋보였으나 시적 장치가 단조로웠다. `귀로'는 전개 방식은 특이했으나 특정 언어 체험의 일반화에 무리가 있었다. 최종적으로 `물기' `문자와의 사랑'이 당선을 겨뤘다. `물기'는 시적 전개와 상상력의 완성도가 높았으나 볼륨이 약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최종으로 오늘날 생활양식을 잘 반영한 `문자와의 사랑'을 당선작으로 뽑는 데 의견을 모았다. 모든 분의 정진을 빈다.

 

심사위원 이영춘, 이상국 시인

 

728x90

 

 

어느 시인의 죽음 / 박성민

 

1
변두리 허름한 헌책방
먼지를 푹 뒤집어 쓴
시집 한권 툭툭 털며 읽는다
여성지와 중학교 문제집 사이에 꽂혀있는
시인 박정만
〈그대에게 가는 길〉 유고시집
기필코 한 주먹만 더 살아야겠다던
시인의 시집
靈肉을 짜내 쓴 시인의 피울음이
곰팡이로 앉아 있는 시집 속
시인의 눈은 눈물겹게도
하늘을 응시하고 있었다
헌책방 나와 낮술 마시며
시인이 응시하던 하늘을 보았다
타다 남은 연탄 같은 여름 해 아래
질식할 것 같은
어떤 삶의 원형을

2
죽음이란 결국 무엇인가
밀려 떨어지는 톱밥처럼 우울하게
이 땅에서 시인의 죽음은
이래도 되는 것일까
정육점 쇠꼬챙이에 걸린
고기 덩어리 같은
아아, 시의 살과 피

3
짙은, 먹빛으로, 빠르게, 번지는, 구름떼
불현듯, 쏟아지는
장대비 (아아, 저 쇠창살, 쇠창살)

 

 

 

 

어쩌자고 그대는 먼 곳에 떠 있는가

 

nefing.com

 

 

당선소감

 
20대의 시기에 시는 저의 전부였고 삶의 버팀목이었습니다. 한 줄의 시구로 고민하고 날을 지새우며 쓰고 또 쓰고, 신춘문예에 응모하여 그 때마다 쓰라린 잔을 마셨습니다. 납으로 만든 날개를 달고 태양근처까지 간 이카루스가 녹아버린 납덩이 때문에 추락하듯이, 항상 부풀었던 꿈은 이내 녹아 내렸고 추락은 저의 몫이었습니다. 한동안은 시와 전혀 관련 없는 일에 6년여를 매달리기도 했고 시 쓰는 일을 잊고자 노력하기도 했지만, 어느 날 문득 눈 떠보니 거울 속에 아무런 의미도 갖지 못한 얼굴 하나가 저를 보고 있었습니다.

20대 때의 열정과 패기가 다 사라진, 살아가는 것이 아니고 살아져 가고 있는, 거울 속 사내가 저라는 사실을 문득 깨달았습니다. 다시 펜을 잡고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인간은 돼지가 아니어서 불행하다는 李箱의 말처럼…. 먼 길을 돌아 왔지만 다시 돌아온 이 길을 이젠 곁눈질하지 않고 똑바로 갈렵니다. 저로 인하여 상처 받았을 분들께 죄송스러운 마음입니다.

창 밖을 보니 불 밝힌 가로등 주변으로 모여드는 눈이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더 많은 눈들은 쓸쓸히 어둠 속에서 흩날리고 있음을 잘 압니다. 가로등 바깥, 어둠 속에서 쓸쓸히 내리는 눈 같은 저의 부끄러운 시를 읽어주신 전남일보사와 심사위원님께 고개 숙여 감사 드립니다. 이제부터라는 생각으로 더욱 열심히 쓰겠습니다.

저의 정신적 지주이신 아버님과 대학시절 제 시의 토양을 내려 주신 허형만 시인님께 감사드립니다. 광기에 가까운 열정으로 시를 썼던 풀잎문학 식구들과 작가회의의 고마운 분들 이름이 떠오릅니다. 제 몸 태우지 않고는 익지 못하는 군고구마처럼 좋은 시를 쓰기 위해 뜨겁게 익어가렵니다.

 

 

 

숲을 금으로 읽다

 

nefing.com

 


심사평 

본심에 올라온 14편 중 최종까지 관심을 끌었던 작품은 `황야에서 정거' `어느 시인의 죽음', `햇살, 종합병원 62병동' 등 3편이었다. 심사 관점은 시는 첫째 무엇보다 정서 반응의 언어고, 지극히 사적이고 고백적인 언어란 점, 둘째는 이에 따른 언어 미학의 성취도, 셋째는 한 시대를 관통하고 있는 시인의 정체성(정신)이 어디에 있는가 하는 점, 넷째는 따뜻한 구원의식을 지니고 있는가 하는 관점이었다.


`황야에서 정거'는 시적 상황과 응축, 묘사 기법에 개성이 돋보였으며, `햇살, 종합병원 62병동'은 비록 서툴고 산만한 언어의 조탁 능력에도 불구하고 자기 구원의식이 충만한 따뜻한 작품이었다.

 

`어느 시인의 죽음'은 `황야에서 정거'가 놓치고 있는 자기 정체성의 확인, 그리고 `햇살, 종합병원 62병동'이 놓치고 있는 언어의 조탁 능력 등이 동시에 극복되었다는 점에서 당선작으로 밀었다.


`죽음이란 결국 무엇인가'라는 유통 언어의 상투적 시행이 거슬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적 긴장미가 시종일관 팽팽하게 유지되고 있어 감동적 체험이 뒷받침 되었다는 점도 밝혀둔다. 더욱 정진하기 바라며 당선을 축하한다.


송수권 시인, 순천대 객원교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