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구대를 바라보며 / 이건청

 

 

저기 반구대가 보이네

여기 살던 힘센 사람들이

한곳에 모여

천지신명을 만나던 곳

이 땅의 혼령을 모시어서

숲을 일구고

바다를 일구어

사슴과 양과 호랑이와

소와 멧돼지와 족제비와 새를 거느리고

고래와 거북이와 물고기를 부르던 곳,

저기 반구대가 보이네,

장수를 기원하는 사람들이

상서로운 짐승 거북을 닮은

저 산등성이 아래 벼랑에

돌로 돌을 갈아

암각화를 새겼으니,

6천 년 전 저기 저 벼랑에

꿈을 새기고

바다로 나아간 사람들 있었네,

저기 반구대가 보이네,

그때 그 모습대로

엎드린 거북 한 마리 보이네

선연히 보이네.

 

 

 

 

반구대 암각화 앞에서

 

nefing.com

 

 

 

전남 해남군이 주최하고 고산문학 축전운영위원회와 계간 열린시학이 주관하는 제10회 고산문학 대상 수상자가 선정됐다.

 

시 부문에 이건청 한국시인협회 회장, 시조 부문에 시인 김제현 씨.

 

수상작은 이 회장의 시집 '반구대 암각화 앞에서'(동학사)와 김 씨의 시집 '우물 안 개구리'(고요아침).

 

상금은 각 1천만 원이며, 시상식은 1016일 해남에서 열린다.

 

고산문학 대상은 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1587-1671)의 문학 정신을 기리고자 2001년 제정됐다.

 

728x90

 

 

 

 

그늘의 무늬

 

nefing.com

 

 

9회 김달진창원문학상 수상자에 서일옥 시인이 올해 펴낸 그늘의 무늬’(동학사)란 시집으로 수상자로 선정됐다

 

()시사랑문화인협의회 창원시김달진문학관이 주관하고 창원시가 후원하는 김달진창원문학상 심사위원회 측은 "서일옥 시인의 작품은 평범한 듯 보이는 언어들 속에 예사롭지 않은 성찰의 깊이를 확보하고 있었고 일상과 현실을 향한 긍정적이고 따뜻한 시선이 돋보인다"고 선정 배경을 설명했다.

 

마산 출신인 서 시인은 1990년 경남신문 신춘문예 당선으로 데뷔해 한국시조시인협회상, 경남아동문학상을 받은 바 있으며 시집 <영화스케치> <그늘의 무늬> 등을 펴냈다.

 

시인은 "높은 정신적인 시 세계를 열었던 시인이자 승려였으며 한학자이자 교사로 일생을 살아오신 월하 김달진 선생의 시적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이 상을 받게 되어 영광스럽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함께 발표된 제4회 창원KC국제시문학상과 제7회 김달진문학상젊은시인상은 중국의 왕지시엔과 이현승 시인이 각각 차지했다. 시인이자 시사평론가, 번역가인 왕지시엔은 권력으로부터 독립적이면서도 양식있고 가치 추구적인 정신을 지닌 글쓰기를 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남 광양 출신인 이현승 시인은 "삶을 긍정과 선의의 눈으로 바라보는 진지한 탐구 능력과 은은한 해석적 개입 능력"이 심사위원들로부터 주목받았다.

 

김달진창원문학상 수상자인 서일옥 시인은 상금 1000만 원을 받게 되며, 왕지시엔과 이현승 시인에겐 각각 5000달러, 300만 원이 수여된다.

 

시상식은 오는 26일과 27일 진해구 소사동 김달진문학관과 생가, 진해구민회관 등에서 펼쳐지는 제18회 김달진문학제 때 김달진문학상 시상과 함께 진행된다.

 

26일 오후 415분 진해구민회관 대공연장에서다.

 

지난 5월 확정된 제24회 김달진문학상의 영예는 정일근 시인(시 부문)과 오형엽 평론가(평론 부문)에게 돌아간 바 있다.

 

올해 김달진문학제도 예년처럼 기념식과 축하 공연, 동화구연대회, 문학심포지엄 등 다양한 문화행사와 함께 꾸며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