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멀고 먼 길 / 김초혜

 


오 하느님
나이는 먹었어도
늙은 아이에 불과합니다

햇살은 발끝에 기울었는데
내 몸이나 구하고

굽은 마음 어쩌지 못해
얼굴을 숨기기도 합니다

몸안에 가득 들여놓은 꽃은
붉은 조화 나부랭이였습니다

어찌
고요를 보았다 하겠습니까

 

 

 

멀고 먼 길

 

nefing.com

 

 

 

[심사평] 늙은 아이가 바라본 신비한 세상

 

김초혜 시인은 한때 사랑 굿이라는 시편으로 세상을 풍미했던 베스트셀러 작가다. 1980년대나 1990년대 젊은 시절을 보낸 사람치고 시인의 시편을 한 번도 읽어보지 않은 사람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시인에게도 청춘은 흘러 이제 노년이다.

 

노년에 이르게 되면 시도 따라서 노년에 이르게 마련. 그래서 시가 늙는가. 아니다. 시가 변한다. 변하더라도 좋은 쪽으로 변하는 데에 시인의 성취가 있고 독자의 기쁨이 있다. 가능하다면 시의 길이가 짧아져야 하고 그 내용이 깊어져야 하고 시선이 맑고 그윽해져야 한다.

 

딱 여기에 해당되는 시인이 바로 김초혜 시인이다. 그러기에 심사위원 세 사람은 쉽게 호흡을 같이 했고 이견 없이 김초혜 시인의 시집 멀고 먼 길을 수상작으로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시집 표제작이기도 한 시 멀고 먼 길은 최근 시인의 시적인 노력과 근황을 한눈에 보여 주는 아름다운 작품이다.

 

무엇보다도 노년에 이른 시인의 해맑은 눈이 돋보인다. 그러면서도 겸허가 가득하다. 차라리 한 편의 기도문이다. 무릇 기도는 절대자에게 드리는 인간의 하소연과 소망의 표현. 여기서 시인은 즐겨 어린이가 되고자 한다. ‘늙은 아이가 그것이다.

 

정말로 좋은 시인은 젊어서는 젊은 노인이지만 늙어서는 늙은 아이가 될 수 있는 시인이다. 이야말로 시인에게 이른 신의 축복이요 선물이다. 늙은 아이가 되어서 보는 세상은 당연히 아름답고 신비하고 또다시 사랑스럽기 마련이다.

 

김초혜 시인이 바라본 세계, 김초혜 시인이 내놓는 시편들이 그러하다. ‘멀고 먼 길세상을 한 바퀴 돌아왔지만 시인의 숨결은 지쳐 있지 않고 시인의 마음결은 여전히 싱싱하고 촉촉하다. 뿐더러 고요하기까지 하다. 거기에다가 지혜에 가득 차 있다.

 

고요한 지혜의 바다, 그 바다에 꽃으로 피어난 겸허한 고요. 상이란 들쑥날쑥이다. 먼저 받을 수도 있고 나중에 받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좋으신 시인의 이름으로 받으시는 상에 마음의 꽃다발을 미리 전한다.

 

- 심사위원 이근배·신달자·나태주 시인

 

728x90

 

 

마음 화상(火傷) / 김초혜

 

 

그대가

그림 속의 불에

손을 데었다면

나는 금세

3도 화상을 입는다

 

마음의 마음은

몇번이고 몇번이고

화상을 입는다

 

 

 

사람이 그리워서

 

nefing.com

 

 

20회 정지용 문학상에 김초혜 시인(65)'마음 화상'이 선정됐다.

 

지용회는 이번 정지용 문학상의 경우 고은, 김남조, 김윤식, 이가림 씨 등이 심사위원으로 2007년 발표된 시() 작품 가운데 김 시인의 '마음 화상'을 당선작으로 심사·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김 시인은 "시문학에 주어지는 상의 목적은 절대가치의 창출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객관적 신임에 불과한 것이고, 더 크게는 격려의 뜻이 아닌가 싶다""활자 문화가 빈곤해지는 사회적·문화적 악조건 속에서도 시()지를 발행하는 어려움을 불구하고 시상제도를 마련한 '시와 문학사'와 심사위원들께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심사위원으로 활동한 이가림 시인(인하대 교수)"정지용 문학상의 성격과 특징에 잘 부합하는 작품이 어떤 것이어야 하느냐에 초점을 맞춰 김초혜 시인의 '마음 화상'을 수상작으로 선정하는데 즐거운 마음으로 동의했다""눈물겨운 인간적 마음 교류의 깊은 경지를 군더더기 말을 극도로 배제한 '균제의 언어 미학'을 통해 날렵하게 형상화했다는 데에 이 시의 미덕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동국대학교를 졸업한 김 시인은 1985년 제18회 한국시인협회상과 1984년 제21회 한국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수상자는 창작지원금으로 1000만원을 받는다. 시상식은 517일 오후 5시 충북 옥천군 옥천읍 관성회관 강당에서 있을 예정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