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양이의 마술 / 최종천

 

 

우리 공장 고양이는 마술을 잘한다

어떻게 암컷을 만났는지 그리고 역시나

도대체 어떻게 새끼를 여덟 마리나 낳았는지

네 마리는 엄마를, 다른 네 마리는 아빠를,

정확하게 닮았다. 밥집에서 밥도 오지 않았는데

일하는 나를 올려다보며 큰소리로 외친다

그 소리를 들어야 비로소 우리들 배가 고파온다

녀석들은 어느 날 갑자기 찾아왔다

점심을 먹고 있는데 니야옹! 하는 소리로 온 것이다

땅바닥에 엎질러준 생선 대가리와 밥을 말끔히도 치웠다

얼마 후엔 암컷도 같이 왔다

공장장만 빼고는 일하는 사람 모두 장가를 못 간

노총각들이어서 그런지 고양이 사랑이 엄청 크다

자본주의가 결혼하라고 할 때까지

부지런히 돈을 모으는 상중이가 밥 당번이다

밥을 주면 수컷이 양보한다

공장장은 한때 사업을 하다 안 되어

이혼을 했다고 하지만

내가 보기엔 자본주의가 헤어지라고 하여

헤어진 것이 틀림없다

사람의 새끼를 보면 한숨만 터지는데

고양이의 새끼를 보면 은근히 후회되는 것이다

사람인 나는 못 하는 시집가고 장가가고

돈 없이도 살 수 있는 고양이의 마술이다

 

 

 

고양이의 마술

 

nefing.com

 

 

 

실천문학사와 보은문화원이 주관하는 제5회 오장환문학상 수상자로 시인 최종천(58·사진)씨가 선정됐다. 수상작은 시집 고양이의 마술’(실천문학, 2011)이다.

 

심사위원들은 최씨의 시는 이 땅의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이 통렬하게 근본적으로 행해지고 있다면서 그 주제를 너끈하게 감당하는 발상 또한 독특하고 재미있다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노동자 시인으로 유명한 최씨는 1986세계의 문학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눈물은 푸르다’ ‘나의 밥그릇이 빛난다등이 있다.

 

오장환문학상은 모더니스트와 리얼리스트의 면모를 동시에 갖춰 한국 시사에서 특별한 주목을 받는 시인 오장환(191851)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시상식은 오장환문학제가 열리는 921일 보은문화예술회관에서 진행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