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동사강목도(東史綱目圖)* / 권수진

압록강과 두만강을 아름드리 품고 있는

거대한 대륙이다

붓끝이 스치고 지나간 자리마다

굽이굽이 능선을 타고 승천하는 가파른 길

날던 새도 한 번쯤 쉬어야 넘어가는

백두산 천지를 호젓하게 소요逍遙하는 자만이

장엄한 주몽의 영지와 통할 수 있다

용추계곡 흐르는 물소리에 이끌려 관문을 들어서면

최영 장군의 넋이 일장검 짚고

성벽에 걸터앉아 선정禪定에 들어간 시각

구룡九龍의 꼬리가 굽이치듯

붓선 한 획畫이 휘어진 그 자리에

사라진 용마루 점點을 찍는다

죽비竹篦로 뒷골을 내리치듯 차가운

약수 한 사발 마시고 나면

멀리서 아련히 들려오는 발해 민족의 말발굽 소리

소리꾼이 깨달은 득음이다

명창의 공명이 고수의 북채와 하나 되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다

양지바른 개마고원에 석양이 지고

만주벌판과 유라시아 대륙에 서서히 해가 뜨면

울창한 숲에 가려진 광활한 대평야가

파묵破墨기법으로 조금씩 제 모습을 드러내는

한 폭의 진경산수화가 활짝 펼쳐진다

* 안정복의 <동사강목> 부록에 실린 지도

 

철학적인 하루

 

nefing.com

 

 

수상소감

하늘은 높고, 바람은 차가웠다. 시를 쓰며 사는 세월이 길었다. 누구 하나 알아주지도 않고, 그렇다고 돈을 많이 버는 것도 아니었다. 날마다 뜬눈으로 긴 밤을 지새우며 간간이 보내오는 원고청탁 마감일에 맞춰 시를 썼다. 매번 수많은 공모전에 응모하였으나 그때마다 번번이 떨어지기 일쑤였다. 누가 시키지도 않았고, 강제적으로 글을 써야만 하는 의무조항이 있는 것도 아니었다. 세상의 수많은 일 중에서 왜 하필 창작이라 불리는 이 작업에, 나는 그토록 오랜 시간 매달리며 살아왔는가? 그렇게 심신이 점점 지쳐갈 무렵 뜻밖의 당선 소식을 접했다.

순암 안정복 선생은 조선 후기 실학을 대표하는 학자로서 특히 <동사강목>을 저술한 저자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분이셨다. 주자학이 조선 팔도를 지배하던 시절 누가 알아주지도 않고, 아무도 관심 없는 실용적인 학문 분야에 관한 책들을 100여 편씩이나 꾸준히 저술한 분이기도 하다. 물질이 세계를 지배하는 물질만능주의에 빠진 오늘날 시를 쓰는 나와 마찬가지로 당시 정주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실학에 전념한 순암 선생의 일생이 별반 다를 게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4회 순암 안정복문학상을 준비하면서 18세기 순암 선생이 걸어온 발자취를 따라가 보았다. 그곳에는 능력보다 신분을 우선하는 부조리가 있었고, 실리보다 명분을 중시하는 옹고집이 있었으며 자국의 국위선양을 폄훼하는 중화사상이 깊이 뿌리박혀 있었다. 성리학을 근간으로 실학의 유용성을 접목해서 당대의 시대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던 순암 선생의 고뇌를 느낄 수 있었다. 그의 문제의식은 5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능력이 부족한 관계로 내가 순암 선생의 행적을 얼마만큼 문학적으로 잘 승화시켰는지는 모르겠다. 아무리 공을 들여 글을 쓰고, 퇴고에 퇴고를 거듭해도 일단 내 손에서 벗어난 글들은 늘 아쉬움과 후회가 파도처럼 밀려오는 결과를 초래했다. 세상을 향해 던져진 이번 작품이 명시로 남게 되든 아니면 졸시로 웃음거리가 되든 간에 그에 대한 평가는 오직 독자들의 몫으로 남긴다.

문학을 경시하는 풍조 속에 해마다 순암 안정복문학상을 주최하는 한양문학 순암 안정복문학상 운영위원회와 순암연구소 관계자분들에게 우선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그리고 어설픈 작품을 높이 평가하여 세상에 빛을 발하게 해 주신 심사위원장 손해일 선생님을 비롯한 김성호, 이소암, 문근영, 이현수 심사위원분들에게도 큰절을 올린다. 모두 일일이 열거할 수는 없지만, 힘들 때마다 서로 힘을 북돋아 주고 나와 함께 가시밭길을 걷고 있는 도반들에게도 항상 문운이 가득하길 바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