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대상] 갈대시집 / 김진수

 

허기를 채운 밀물이 빠져나간

하구언 뻘밭 강기슭에

백발을 흩날리며 서 있는 노인, 팔 척 노구를

가볍게 흔들며 한 소절 한 소절 풀어놓는다

노인의 구술을 받아 적는 참게들

행과 연 가르기에 걸음이 바쁘다

뻘밭이 시집 한 권이다

첫머리엔 무릇 시는 이렇게 써야 한다며

바닷바람의 추천사가 장황하다

별과 달의 축시가 곶감보다 달다

인사말을 대신한 서시는 사뭇 능청스럽게 휘었다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눠진 차례가 남다르다

서너 쪽 읽어가다 보니

이빨이 빠져 말이 샜는지,

아님 제대로 듣지 못해 잘못 적었는지

문장이 매끄럽지 못하고 표현이 거칠다

모처럼 좋은 시집 한 권 얻었는가 하였더니

서체도 십인십색이라 읽기가 쉽지 않다

세상에 내놓으려면 우선

물총새 한 마리 초빙해 매끄럽게 윤색하고

표지는 도드라지게 다시 디자인해야겠다

해설은 문단에서 이름깨나 있는 평론가, 종달 도요에게 부탁하고

편집은 전문가인 물결에 맡기니

풍각쟁이 산들바람,

홍보하면 자기라고 엄지손가락 치켜세우고 간다

곧 동네방네 소문나겠다

나는 언제쯤 시집 한 권 가져보려나

어설픈 내 노래는 이제 막 전주가 시작되었다

 

 

 

 

 

 

 

【 금 상 】

녹색 통장 / 동피랑

한라의 수묵(水墨) / 테울

【 은 상 】

잉어 / 미스터한공

화도(畵圖) / 안영주

옥탑방 / 팔삭동이

【 동 상 】

모란 / 시의미학

개망초 꽃 / jooni

35만 400여 시간의 인터뷰 / 동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