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러쉬
라린코나다, 바람의 분진같은 사내 몇몇이 |
바람에 실려
풍성한 바람들이 몇 갈래로 나뉘어지는 저녁 누런 모래 알갱이를 껴안고 웅크려있는 신밧드 신밧드 얼굴에 주름처럼 지도가 새겨진다 | ||
순간포착을 하는 순간 바람을 따라잡을 수 없는 속도 방망이를 원으로 돌리며 공에 붙기 위해 뼈마디를 퉁기며 달아난 화살하나가 |
|
매일 같은 그림을 보는 것처럼 세상엔 병실 안 병든 아침이 먼저 일어나 창문을 연다 | |
인쇄소는 귀가 밝다 귓바퀴 속으로 들어가는 돋보기를 쓴 채 구겨진 포장지처럼 잠들어 있는 주인 새벽부터 길목엔 막 찍어낸 신문지 냄새가 나고 |
| ||
![]() |
시를 쓰는 동안 아이를 잃은 프리다 칼로처럼 아무것도 만들 수가 없었습니다. 두근대는 깊은 밤 폐광 속으로 들어가는 여자가 되기도 했습니다. 펜을 잡을 때마다 밤이 길을 이끌어오고, 바람은 집 앞에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누군가 버린 것들, 혹은 잃어버린 것들을 짊어지고 늘 어디론가 숨어 들어갔습니다. 그 자리에서 시를 썼지만, 그것 역시 헛것일 때가 많았습니다. 항상 생각했습니다. “시는 언어의 스펙트럼에 나만의 색깔로 내뿜는 아름다운 운율의 생명체 이므로 때로는 진지함으로 때로는 발랄함으로 때로는 따스함으로 때로는 날카로움으로 시가 나를 선택하게 하자, 그리고 상상력의 한계를 뛰어넘자” 라고 다짐했습니다. 가끔씩 제 몸이 깊은 터널처럼 느껴져 저는 밤이면 수없이 빨려 들어갔습니다. 온 몸 전체가 현악기의 몸통처럼 수없이 울릴 때가 있었습니다. 멀리서 터져오는 메아리, 메아리 같은 것들이 밤마다 저를 일으켜 세우고 또 펜을 잡게 했습니다. 시를 쓰지 않아도 늘 어두운 밤들이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터널 밖으로 나갈 수가 없었습니다. 늦은 저녁 골목길에 낮게 깔린 안개처럼 저는 항상 밑에서 서성거렸습니다. 끝없이 빨려 들어가는 동안, 제가 의지해온 것은 터널에서 낯선 궤도를 따라 멈칫멈칫 하던 저를 붙잡아준 펜, 한 자루였습니다. 오늘 한통의 전화로 깊은 폐광 속으로 더욱 더 밀어 넣어 주신 심사위원 분들 감사합니다. 무엇보다도 어두운 나머지 딸이 길을 잃을까 걱정하시는 부모님 감사합니다. 그리고 때로 길을 잃을 때마다 늘 제가 옳은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격려해주셨던 전상국 작가, 이윤학 시인, 시 선생님인 신동옥 시인, 윤한로 선생님, 모든 분들을 항상 기억하고 있습니다. 언제였던가 감히 시는 허락된 거짓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상처받고 버려진 것들을 아름답게 하는 것, 세상을 떠나는 것들을 잡지 못하고 가만히 서서 바라보는 것이 시라고 저는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펜을 잡으면 사람들의 슬픔이 떠오릅니다. 반짝하는 것은 모두 눈물이고, 먼 하늘에서 힘주고 있는 별들에 대해서 저는 오늘 밤에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눈물을 담는 가슴이 되고 싶습니다. 몇 편의 시로 자욱한 그리움들을 몰아내기는 어렵겠지만 자만하지 않고 결코 쉬지 않겠습니다. 분발하기 위해 견고한 날개를 만들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대학문학상 > SDU사이버문학상 '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U 제4회 사이버문학상 가작 (0) | 2011.02.23 |
---|---|
SDU 제4회 사이버문학상 당선작 (0) | 2011.02.23 |
SDU 제3회 사이버문학상 가작 (0) | 2011.02.23 |
[스크랩] 제2회 서울디지털대학교 사이버문학상 당선작 - 성백선 ‘분합문’ 외 6편 (0) | 2011.02.20 |
[스크랩] 제1회 사이버문학상 당선작 (0) | 2011.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