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산까치 / 허형만

 

 

보슬비 오시는 날

날마다 찾아가는 산길을 걷는데

저만치 산까치 대여섯 마리

보슬보슬 젖는 길에서

신나게 뛰놀고 있다

나도 함께 뛰고 싶어 우산을 접고

비에 젖으며 가만가만 다가가는데

눈치 빠른 산까치들

후르르 나뭇가지 위로 날아오른다

하이고 못 본 척 뒤돌아갈걸

미안해하며 비에 젖어 걷는다

젖어라 시여

심장 깊이 젖어라 시여

산까치도 젖으며 노래하나니

산딸기도 젖으며 붉게 익나니

보슬보슬 젖는 시는 부드럽나니

젖어라 시여

뼛속까지 젖어라 시여

 

 

 

 

바람칼

 

nefing.com

 

 

[심사평] 산딸기처럼 도 부드럽게 젖어들어

 

자유와 허무, 방랑의식과 민족혼을 커다란 스케일로 노래했던 공초 오상순 선생의 시적 위의(威儀)는 오늘날 한없이 왜소해진 우리 삶의 성찰적 역상(逆像)이 되어 주고 있다. 이러한 선생의 삶과 시를 기리는 공초문학상 제29회 수상자로 선정된 허형만 시인은 맑고 고운 순수 모국어를 섬세하게 가다듬어 온 우리 시단의 대표적 중진이다.

 

그의 시 세계는 근원적 보편성을 일관되게 탐색하고 추구함으로써 존재의 기원에 대한 원형적 사유를 줄곧 축적해 왔다. 사물들을 향한 경험적 관찰과 그리움의 에너지를 통해 다양하고도 심원한 형상을 얻어 온 것이다. 이번 수상작 산까치또한 이러한 허형만 브랜드의 정점에서 발화된 결실로 다가오고 있다. 시인은 보슬비 내리는 산길에서 산까치들이 뛰노는 장면을 만난다.

 

그네들과 함께 뛰고 싶어 우산을 접고 다가가는데 산까치들은 어느새 나뭇가지 위로 날아오른다. 그때 시인은 젖어라 시여/ 심장 깊이 젖어라 시여라고 산까치들이 젖으며 노래하는 환청을 듣는다. 산딸기도 젖으며 붉게 익어가고 시인이 상상한 ’()도 부드럽게 젖어간다. “젖어라 시여/ 뼛속까지 젖어라 시여라는 마지막 외침은 산길=산까치=산딸기를 살아 있는 형상으로 만들면서 그 형상이 아름답고 처연하게 젖어 가는 순간을 실감 있게 담아내고 있다. 이는 서정시의 광맥을 지속적이고 균질적으로 일구어 온 그만의 미학적 성취다. 허형만 시인이 노래하는 이러한 생명 지향의 언어를 통해 우리는 경험적 진정성과 함께 사물의 존재 형식에 대한 발견에 깊이 참여하게 될 것이다.

 

- 심사위원 이근배·오탁번 시인, 유성호 문학평론가

 

728x90

 

 

눈 먼 사랑 / 허형만

 

 

한 방울 한 방울 물방울이 모여

강을 이룬 동굴이 있습니다

그 동굴에는

눈이 먼 사랑이 살고

그리움이 살고 아픔도 살고 있습니다

그리움은 눈 먼 사랑을 잡아먹고

아픔은 그리움을 잡아먹고 삽니다

 

눈 먼 사랑이여

한 방울 한 방울 물방울이 떨어질 때마다

그 파동으로 울음 우는

서러운 짐승이여

 

 

 

눈 먼 사랑

 

nefing.com

 

 

전남 강진군과 영랑기념사업회, 계간 '시와시학'이 공동 주관하는 제7회 영랑시문학상 본상 수상자로 허형만 시인이 7일 선정됐다. 수상작은 시집 '눈 먼 사랑'이다.

 

심사위원들은 "허형만 시인은 질 높은 서정의 품격을 유지하면서도 민족의식과 역사의식을 지속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이 시대 바람직한 서정시의 본령을 지키고 새 지평을 개척해온 대표적인 시인의 한 사람"이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이와 함께 우수상 수상자로는 시집 '햇살방석'의 윤효 시인이 선정됐다. 시집 햇살방석1984<현대문학>으로 등단한 윤효 시인의 세 번째 시집으로 누구보다도 구체적인 일상을 바탕으로 삼되 그 속에 있는 세속적 현실의 혼탁한 얼룩과 열기를 제거하여, 마음을 진정시키는 맑은 언어의 노래로 평정과 위안의 치유력을 담아내었다. 그리고 시적 화자의 마음으로부터 울려나오는 진정성과 절실한 체험적 동질성이 토대를 이룬 시작들은 독자와의 정서적 공감대를 불러일으킨다.

 

 

햇살방석

 

nefing.com

 

시상식은 24일 오후 전남 강진의 영랑생가 특설무대에서 열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