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빵 이외의 것 / 이근화

 

 

삼십 미터 위의 나뭇잎

나뭇잎

기린의 입속 나뭇잎 나뭇잎

나뭇잎도 미치고 말거야

십오 분 동안 나뭇잎

삼일 동안 나뭇잎

그러나 나뭇잎으로 가릴 수 없는 것이 많다

나는 빵 이외의 것은 믿지 않아

빵이 찢어지면서 거짓말이 툭 튀어나올 때

나의 입술은 왜 부풀어 오르는가

 

이토록 부드럽고 달콤하고 백색이어도 좋은가

네 입속 일까지 관여할 수는 없어서

커다란 손에 입 맞추고

나는 바깥이 된다

안녕

안녕

안녕

그 다음은 무엇이 될까

너의 손바닥에 들러붙어도 좋을까

 

네 손바닥으로부터

비 오는 골목길처럼 부드럽게 풀려나온다면

빵 이외의 것에 대한 믿음도 솟아오르겠지만

나는 너무 남아돌아서 문제다

굶주린 사자처럼 나뭇잎을 센다

하나

그 다음은 너무 쉬운 것 같다

 

너는 지켜지지 않는 약속

믿음은 자라고

믿음은 부풀고

믿음은 터진다

동네 빵집을 탐구하듯

오래된 슈크림과 소보로를 무너뜨리듯

너를 무너뜨리고

 

빠른 속도로 나뭇잎 나뭇잎 나뭇잎

서서 자는 기린의 옆에 눕는다

허공이라는 달콤한 이불을 덮는다

영원토록 떨어지는 나뭇잎이 있다면

나뭇잎의 생도 그럴 듯해지겠지

반듯하고 차가운 병원 건물이 식빵 같았고

군침이 돌고 말았다

 

저 많은 병의 이름을 입속에 넣고 굴린다면

나의 얼굴과 너의 표정이 하나가 되는 마술이 펼쳐지겠지

대신에 나는 너를 주머니에 넣고 꾹꾹 눌렀다

꺼내서 조금씩 씹었다

목구멍으로 거짓말이 어렵게 넘어갔다

이제 나뭇잎을 주울 차례

네가 검은 새가 될 때까지

한 마리

두 마리

세 마리

끝까지 거울을 본다

긴 손가락으로 빵을 찢는다

 

 

 

 

칸트의 동물원

 

nefing.com

 

 

 

[수상소감] 딱딱하고 가지런한 이름

 

여러 개의 이름을 갖고 있다면 좋겠다. 날마다 다른 이름으로 불리면 어떤 기분이 들까, 계절마다 이름을 바꾼다면 이 어수선한 봄날, 내게 어떤 이름이 어울릴까. 이름이 두 글자가 아니라면 또 어떨까. 오늘 나는 고양이 목걸이를 하고 걸어가는 목 쉰 사람’ . 내일은 꿈속의 물컹한 손가락’ . 이름이 없으면 좋을 것 같은 날도 있다. 그냥 나를 이라 불러 줬으면 좋을 것 같은 날도 있다. 내가 쓴 작품들을 나의 긴 이름이라고 하면 어떨까. 그래서 내가 길어지거나 뚱뚱해지거나 재밌거나 지루하거나. 그런데 오늘도 내 이름은 가지런하고 삐딱하다. 내 앞으로 우편물이 세 개 도착했다. 우리집 꼬마는 나와 좀 다른 것 같다. 자기가 좋아하는 걸 다 까까 꼬꼬라 부른다. 밥도 과일도 책도 텔레비전도 까까 꼬꼬가 있으면 좋겠다. 즐거워 죽겠다는 듯이 아무나에게 손을 흔들고 무엇에게도 다 인사를 한다. 다 사랑할 수 없어서 나는날마다 다른 이름을 꿈꾸고 헤매고 멈추고 넘어지는 것 같다. 나의 긴 이름을 불러주신 송준영, 이만식, 이수명 선생님께 감사드린다. 앞으로 좀 더 창조적으로 살아보겠다.

 

-----------------------

 

이근화/ 2004현대문학으로 등단. 시집으로 칸트의 동물원(2006),우리들의 진화(2009) 윤동주상 젊은 작가상. 김준성문학상 수상.

 

728x90

 

 

내가 무엇을 쓴다 해도 / 이근화

 

 

오늘밤 한 권의 책이 나를 낳았다

피부와 머리카락이 없고

입술과 성기가 없는 어여쁜 사람

오늘밤 내가 태어나고 나는

한 권의 책을 네 옆구리에서 다시 찾아냈다

여러 개의 서랍 속에서

모두들 태어나고 싶은데

 

그게 나를 부르는 소리라니

안아줄 팔도 없이

달려갈 발도 없이

네가 나를 부른다

아무 냄새가 없는 꿈속에서

나는 괴로워한다

나의 탄생을

한권의 책을

 

그건 내가 너를 만나는 동안 만들어낸

길쭉한 귀 동그란 코 벌어진 입술

애써 얼굴을 지우며

한권의 책을 가만히 내려놓았다

그게 너일까

한권의 책 속에서

정말 그렇게 살려고 내가 태어났다

 

네가 영원히 죽는다 해도

내가 무엇을 쓴다 해도

 

 

 

내가 무엇을 쓴다 해도

 

nefing.com

 

 

충북 보은문화원과 솔출판사가 주관하는 11회 오장환문학상수상자와 7회 오장환 신인문학상당선자가 발표됐다.

 

솔출판사는 11회 오장환문학상수상자로 이근화(43) 시인을 선정했고 수상 시집은 지난 2016년 창비사에서 발간된 '내가 무엇을 쓴다 해도'이다.

 

7회 오장환신인문학상당선작으로 '파이프'를 쓴 신성률(49) 씨를 선정했다.

 

이번 오장환 문학상의 심사는 최정례 시인, 박수연 문학평론가, 유성호 문학평론가가 맡았다.

 

심사위원들은 수상 시집인 '내가 무엇을 쓴다 해도'오장환의 시 정신을 환기하면서 탁월한 시적 성취를 이룬 시집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수상자인 이근화 시인은 차분하면서도 이지적인 시선과 목소리로 삶의 낱낱 장면들, 시간들, 관계들, 풍경들을 섬세하게 관찰하고 나직하게 표현한다""잔잔한 일상 속에 잠긴 개별 존재자로서의 갈등과 사랑을 촘촘한 언어로 담아간다. 새로운 일상시의 개화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오장환 신인문학상의 심사는 오봉옥·하재일·함순례 시인이 맡았다.

 

심사위원들은 당선작 '파이프'등의 시편들은 구체적인 현실이 상상력과 만나 독특한 시적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고통에 매몰되지 않고 생에 대한 관조의 경지까지 화자가 도달했으며, 그만큼 이 시가 환기할 수 있는 세계는 매우 암시적이며 이미지의 변주 또한 중층적이다라고 평가했습니다.

 

오장환문학상 수상자인 이근화 시인은 1976년 서울 출생으로 2004'현대문학'으로 등단, 단국대 국문과와 고려대 대학원 졸업했다. 시집으로 '칸트의 동물원'(2006), '우리들의 진화'(2009), '차가운 잠'(2012), '내가 무엇을 쓴다 해도'(2016)가 있고 동시집으로 '안녕, 외계인'(2008), '콧속의 작은 동물원(2018)을 발표했다.

 

산문집으로는'쓰면서 이야기하는 사람'(2015) 등이 있습니다.

 

이 시인은 윤동주상 젊은작가상(2009), 김준성문학상(2010), 시와세계 작품상(2011), 현대문학상(2013)을 수상한 바 있다.

 

신인문학상 수상자인 신성률 시인은 1970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오장환문학상 수상자에게는 창작기금 1000만 원, 오장환 신인문학상 당선자에게는 500만 원의 상금을 지급함며 시상식은 오장환문학제가 열리는 오는 19일 보은문화예술회관 앞 뱃들공원에서 열린다.

 

오장환 문학상은 보은군 회인면에서 출생해 한국 아방가르드 시단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오장환(19181951) 시인을 기리기 위해 2008년 제정돼 최금진(1백무산(2최두석(3김수열(4최종천(5윤재철(6장이지(7최정례(8이덕규(9박형권(10) 시인을 수상자로 선정한 바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