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나운 빗줄기가 유리에 흘러내리고 와이퍼가 빠르게 움직일 때, 천둥소리가 점점 가까워지며 번개가 밤하늘을 찢어 놓을 때, 고속도로 갓길에 차를 세워 놓고 나는 불현듯 그 기이한 문어를 떠올렸다. 발 하나를 떼어내듯 자신의 음경을 어둠 속으로 출발시키는 문어를.
달의 뒷면으로 하강하는 달착륙선처럼, 그것은 목표물을 향해 내려가고 있을 것이다. 태고의 흑암이 깔려 있는 바다에서 그 괴상한 음경은 홀로 떠돌아다니다가 마침내 원하는 것을 찾았을까. 눈 먼 채 개흙에 우글거리는 먹장어들이나 입 큰 아귀, 왕코브라처럼 성질 사나운 곰치의 먹이가 되지 않았을까. 눈앞에 벼락불이 떨어지고 천둥이 치고 사방이 점점 더 캄캄해진다.
初經을 막 시작한 딸아이, 이젠 내가 껴안아줄 수도 없고 생이 끔찍해졌다 딸의 일기를 이젠 훔쳐볼 수도 없게 되었다 눈빛만 형형한 아프리카 기민들 사진; "사랑의 빵을 나눕시다"라는 포스터 밑에 전가족의 성금란을 표시해놓은 아이의 방을 나와 나는 바깥을 거닌다, 바깥; 누군가 늘 나를 보고 있다는 생각 때문에 사람들을 피해 다니는 버릇이 언제부터 생겼는지 모르겠다 옷걸이에서 떨어지는 옷처럼 그 자리에서 그만 허물어져버리고 싶은 생; 뚱뚱한 가죽부대에 담긴 내가, 어색해서, 견딜 수 없다 글쎄, 슬픔처럼 상스러운 것이 또 있을까
그러므로, 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혼자 앉아 있을 것이다 완전히 늙어서 편안해진 가죽부대를 걸치고 등뒤로 시끄러운 잡담을 담담하게 들어주면서 먼 눈으로 술잔의 水位만을 아깝게 바라볼 것이다
본명은 황재우. 전통시와는 전혀 다른 형식과 내용의 시로 유명한 시인이다. 1972년 서울대학교 미학과에 입학하여 문리대 문학회에 가입하여 문학활동을 시작하였다. 1973년 유신반대 시위에 연루되어 강제입영 당하였고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에 가담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198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제적되어 서강대학교 대학원으로 옮겨 1985년 철학과를 졸업하였고, 1991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문학계간지 〈외국문학〉과 〈세계의 문학〉 주간을 역임하였으며, 1994년부터 한신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 1997년부터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교수로 재직했다. 2002년 월드컵 문화행사 전문위원으로 활동했고 '2005 독일 프랑크푸르트 도서전 한국의 책 100' 선정위원회 위원장 및 주빈국 조직위원회 총감독을 맡기도 했다. 2006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에 취임했으나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4년의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2009년 사퇴했다.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연혁(沿革)〉 입선, 〈문학과 지성〉에 수필 〈대답없는 날들을 위하여〉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시작활동뿐만 아니라 극작 및 미술평론에서도 능력을 보였다. 김수영문학상 수상작인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1983)는 기호, 만화, 사진, 다양한 서체 등을 사용하여 시 형태를 파괴함으로써 풍자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연극으로도 공연되었다. 1980년대 민주화운동 시대와 분리될 수 없는 그의 시에는 정치성, 종교성, 일상성이 시적 파괴의 형태로 융화되어 있으며 시인은 시적 화자의 자기부정을 통해 시대를 풍자하고 유토피아를 꿈꾸었다.
저서로는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1984), 〈나는 너다〉(1987), 〈게눈 속의 연꽃〉(1990), 〈저물면서 빛나는 바다〉(1995), 백석문학상 수상작인 〈어느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1998)가 있으며 역서로는 〈예술사의 철학〉, 〈큐비즘〉 등이 있다. 창작희곡으로 〈101번지의 3만일〉, 〈오월의 신부〉, 〈물질적 남자〉가 있다. 김수영문학상, 백석문학상 외에도 현대문학상(1991), 소월시문학상(1993), 대산문학상(1999) 등을 수상하였고 2006년 옥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어려서 나는 램프불 밑에서 자랐다 밤중에 눈을 뜨고 내가 보는 것은 실을 감는 주름진 할머니뿐이었다 나는 그것이 세상의 전부라고 믿었다 조금 자라서는 칸델라 불 밑에서 놀았다 밖은 칠흑 같은 어둠 지익 지익 소리로 새파란 불꽃을 뿜는 불은 주정하는 험상궂은 금점꾼들과 셈이 늦는다고 몰려와 생떼를 쓰는 그 아내들의 모습만 돋움새겠다 소년 시절은 전등불 밑에서 보냈다 가설극장의 화려한 간판과 가겟방의 휘황한 불빛을 보면서 나는 세상이 넓다고 알았다, 그리고
나는 대처로 나왔다 이 곳 저 곳 떠도는 즐거움도 알았다 바다를 건너 먼 세상으로 날아도 갔다 많은 것을 보고 많은 것을 들었다 하지만 멀리 다닐수록, 많이 보고 들을수록 이상하게도 내 시야는 차츰 좁아져 내 망막에는 마침내 재봉틀을 돌리는 젊은 어머니와 실을 감는 주름진 할머니의 실루엣만 남았다
시인. 1936년 충청북도 중원에서 태어나 1960년 동국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이한직의 추천을 받아 1955~56년 〈문학예술〉에 시 〈낮달〉·〈갈대〉·〈석상〉 등이 발표되어 문단에 나왔다. 그러나 곧 건강이 나빠져 고향으로 내려가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했으며, 다시 서울로 올라와 현대문학사·휘문출판사·동화출판사 등에서 편집일을 했다.
한때 절필하기도 했으나 1965년부터 다시 시를 쓰기 시작하여 〈원격지〉(동국시집, 1970. 1)·〈산읍기행〉(월간다리, 1972. 8)·〈시제(詩祭)〉(월간중앙, 1972. 12) 등을 발표했다. 이때부터 초기시에서 보여준 관념적인 세계를 벗어나 막연하고 정체된 농촌이 아니라 핍박받는 농민들의 애환을 노래했다.
1973년에 펴낸 첫 시집 〈농무(農舞)〉의 발문에서 백낙청은 "민중의 사랑을 받을 수 있고 받아 마땅한 문학"이라는 점에서 이 시집의 의의가 있다고 했다. 이후 그는 우리 민족의 정서가 짙게 깔려 있는 농촌 현실을 기초로 하여 민중들과 공감대를 이루려는 시도를 꾸준히 하고 있다. 시집으로 〈새재〉(1979)·〈달넘세〉(1985)·〈남한강〉(1987)·〈우리들의 북〉(1988) 등을 펴냈고, 그밖에 평론으로 〈농촌현실과 농민문학〉(창작과 비평, 1972. 6)·〈삶의 진실과 시적 진실〉(마당, 1982. 6)·〈역사와 현실에 진지하게 대응하는 시〉(오늘의 책, 1984. 3) 등을 발표했다.
1973년 만해문학상, 1981년 한국문학작가상을 받았다. 1992년 민족문학작가회의 회장을 맡았다.
1922년 경남 통영에서 태어나 니혼 대학 예술학원 창작과에서 수학했다. 1945년 유치환, 윤이상, 김상옥 등과 <통영문화협회>를 결성하면서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릴케의 영향을 받아 삶의 비극적 상황과 존재론적 고독을 탐구하였고, 이후 십여년의 암중모색을 거쳐 1960년대 말부터 '무의미시'를 주창, 자기만의 시세계를 구축했다.
82년 명예 문학박사(경북대) 학위를 받았다. 65년 경북대학교 문리대 교수, 78년 이후 영남대학교 교수를 거쳐 81년 11대 국회의원(민정), 86년 방송심의위원장, 91년 한국방송공사 이사 등을 지냈다. 대한민국문학상 본상, 한국시인협회상, 자유아세아문학상, 대산문학상, 인촌상 등을 받았다.
첫 시집 <구름과 장미> 이후 <늪>, <기>, <연인>,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타령조 기타>, <들림, 도스토예프스키>, <의자와 계단> 등의 시집과 <처용>, <처용이후>,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등의 시선집, <의미와 무의미>, <시의 표정> 등의 시론집을 냈다.
1939년 12월 17일 서울시 용산구에서 3남 1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3세 때 아버지의 근무지를 따라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으로 이사 가서 청소년기를 이곳에서 보냈다. 중 · 고등학교 시절부터 문학과 음악, 발레, 철학 등에 심취했다. 1959년 연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으며, 재학 시절 대학신문인 <연세춘추>에 발표한 시가 연세대 국문과 박두진 교수의 눈에 띄어 1984년 5월 <현대문학>의 추천을 받았다. 1965년 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해 3월과 8월에 각각 「독무」와 「여름과 겨울의 노래」로 <현대문학>에서 3회 추천을 완료하고 문단에 등단했다.
1966년에는 황동규, 박이도, 김화영, 김주연, 김현 등과 함께 동인지 <사계>를 결성하여 활동했다. 1970∼1973년 <서울신문> 문화부 기자로, 1975∼1977년에는 <중앙일보> 월간부에서 일했으며, 1977년 신문사를 퇴직한 뒤 서울예술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부임해서 시 창작 강의를 했다. 1982년부터 연세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2005년에 정년 퇴임했다.
1965년 <현대문학>을 통해 시단에 오르고, 1972년 첫 시집 『사물의 꿈』을 출간한 이후 지금까지 쉼 없는 창작열과 언제나 자신의 시 세계를 갱신하는 열정으로 꾸준한 작품 활동을 했다. 초기의 시는 관념적인 특징을 지니면서 사물의 존재 의의를 그려내는 데 치중한 반면, 1980년대 이후로는 구체적인 생명 현상에 대한 공감을 다룬 시를 발표했다. 2008년 내놓은 아홉 번째 시집 『광휘의 속삭임』 역시 사물의 바깥에서 사물을 해석하고 그에 대한 복잡한 의미의 얼개를 부여하는 대신, 사물들과 한 몸으로 움직이는 시를 갈망하게 된 시인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사물의 있음 그 자체, 움직임 그 자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시적 화자의 자세에 저절로 주목하게 되는 작품집이다.
1990년 「사람으로 붐비는 앎은 슬픔이니」 외 6편의 시로 ‘제3회 연암문학상’을 수상하였고, 1992년 「한 꽃송이」로 ‘제4회 이산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또 1995년 「내 어깨 위의 호랑이」로 ‘제40회 현대문학상’, 1996년 「세상의 나무들」로 ‘제4회 대산문학상’, 2001년 「견딜 수 없네」로 ‘제1회 미당문학상’ 시 부문을 수상하였으며. 『사물의 꿈』, 『나는 별아저씨』,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사랑할 시간이 많지 않다』, 『한 꽃송이』, 『세상의 나무들』, 『갈증이며 샘물인』 등의 시집과 『고통의 축제』,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사람으로 붐비는 앎은 슬픔이니』, 『사람들 사이에 섬이 있다』, 『이슬』 등의 시선집을 상자했다. 또한 독특한 시론과 탁월한 산문을 모은 『날자, 우울한 영혼이여』, 『숨과 꿈』, 『생명의 황홀』 등을 펴냈으며, 시 번역에도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여 예이츠, 네루다, 로르카의 시선집을 번역 출간했다.
세련된 감수성과 지성을 바탕으로 견고한 서정의 세계에서 시작하여 체제 비판의 목소리와 죽음에 대한 탐구에 이르기까지 쉼 없고 경계 없이 시를 쓰는 시인이다. 소설가 황순원의 아들이다. 1946년 월남해 1957년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영문학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았다. 1966~67년 영국 에든버러대학교 대학원에서 수학하고 1968년부터 정년퇴임까지 서울대학교 영문과 교수로 있었다.
1958년 〈현대문학〉에 시 〈시월〉·〈동백나무〉·〈즐거운 편지〉가 서정주의 추천을 받아 등단했다. 초기작 〈어떤 개인 날〉(1961),〈비가〉(1965)의 시기는 구체적 현실을 배제하고 비극적 감상을 전경화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환멸과 부정, 외로움과 상실 등이 드러나는 낭만적 우울의 시 세계를 보인다. 〈태평가〉(1968),〈열하일기〉(1972)에서는 연가풍의 애상적인 분위기보다는 시대적 상황의 모순을 역사적, 고전적 제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이어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1978),〈악어를 조심하라고?〉(1986) 등에서는 폭력적 세계와 마주친 주체의 위기와 공포를 '극(劇)서정시'라는 형식으로 전환하여 암시와 간접화의 표현법을 사용함으로써 사회문제를 한 차원 높게 작품화하고 있다. 1982년 시작되어 14년간 70편으로 연작된 〈풍장〉(1995) 이후에는 동양적 선(禪)의 세계와 역동적이면서도 달관적인 풍모가 어우러진 죽음에 대한 관조, 자연과의 합일, 죽음과 삶에 대한 통찰을 통해 '삶의 완성으로서의 죽음'이라는 낙관적이고 여유로운 인식을 보인다.
이외에 시집 〈평균율1〉(1968; 마종기·김영태 공저), 〈삼남에 내리는 눈〉(1975), 〈몰운대행〉(1991), 〈미시령 큰바람〉(1993), 〈외계인〉(1997), 〈버클리풍의 사랑노래〉(2000), 〈우연에 기댈 때도 있었다〉(2003), 〈꽃의 고요〉(2006), 〈겨울밤 0시5분〉(2009) 등이 있고, 산문집으로 〈사랑의 뿌리〉(1976), 〈나의 시의 빛과 그늘〉(1994), 〈젖은 손으로 돌아보라〉(2001), 〈삶의 향기 몇 점〉(2008) 등이 있다.
현대문학신인상(1968), 현대문학상(1980), 김종삼문학상(1991), 이산문학상(1991), 대산문학상(1995), 미당문학상(2002), 만해문학부문대상(2006) 등을 수상했다.
이 도시의 시민들은 아무도 죽지 않는다 어제 분명히 죽었는데도 오늘은 또 거뜬히 살아나서 조간을 펼쳐든 스트랄드브라그* 씨의 아침 식탁 그것은 위대한 생명공학의 승리 인공합성의 디엔에이 주사 한 대가 시민들의 영생불사를 확실하게 보장하고 있다 교통사고로 머리가 깨어진 채 오토바이의 액셀러레이터를 밟아대는 젊은 폭주족 온 몸에 암세포가 퍼져서 수술한 배를 그냥 덮어버린 노인이 내기 장기를 두다가 싸운다 아무도 죽지 않기 때문에 장사를 망치고 죽을 지경인 장의사 주인도 죽지 않고 살아서 계속 파리를 날린다 1년에 한 살씩 나이를 먹는다는 계산은 전설이 되어버린 도시 얼마나 오래 살았는지 누구도 제 나이를 아는 사람이 없다 젊어도 늙고 늙어도 늙고 태어날 때부터 이미 폭삭 늙어서 온통 노욕과 고집불통만 칡넝쿨처럼 칭칭 무성하게 뻗어난 도시 실연한 백발의 노처녀가 드디어 목을 맨다 그러나 결코 죽을 수는 없는 차가운 디엔에이의 위력 스스로 개발한 첨단의 생명공학이 죽음에의 길마저 차단해버린 문명의 막바지에서 시민들의 소망은 하나 밖에 없다 아 죽고 싶다
1963년에 간행된 시집 〈적막강산〉에 수록된 시 〈낙화〉로 유명한 시인이다. 존재의 무상함과 아름답게 사라져가는 소멸의 미학을 특유의 반어법으로 표현해, 사라짐에 대한 존재론적·사회학적 미학의 정점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았다. 진주농림학교를 졸업하고 동국대 불교학과를 나왔다.
〈연합신문〉·〈동양통신〉·〈서울신문〉 기자 및 〈대한일보〉 문화부장, 〈국제신문〉 편집국장 등을 역임하고 1980년 신군부의 언론통폐합 때 언론계를 떠났다. 1981년 부산산업대학 교수를 거쳐 1987년부터 동국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했다.
1974년 〈월간문학〉 주간을 지냈고 1994년부터 2년간 한국시인협회 회장으로 있었다.
1949년 고등학교 재학 중에 〈문예〉지에 〈비오는 날〉이 추천되어 최연소 기록을 세우며 등단했다. 초기 이형기의 시 세계는 자연을 응시하는 가운데 맑고 고운 현대적 서정의 세계를 추구했으며, 자아와 존재의 궁극을 추구하며 조락과 소멸의 운명을 수긍하는 전통 서정의 계보에 속했다. 시집 〈적막강산〉(1963)에서 그는 생의 근원적 고독과 세계의 공허를 일찍부터 깨달은 한 인간의 정신세계를 펼쳐 보인다.
1970년대 이후에는 투명하고 절제된 서정에서 벗어나 상투성과 모방을 거부하고 끊임없이 새로움과 시적 방법론의 갱신을 추구한다. 1980년대 중반 이후로는 인간 내면을 탐구해가는 경향을 띠게 되었고 사물을 관념화하여 우회적으로 서정의 세계를 드러내는 시를 썼다. 뇌졸중으로 투병 중이던 1998년 〈절벽〉에서는 소멸의 운명과 맞서 있는 단독자의 고독과 결의를 노래했다. 여기서 그는 소멸이라는 존재의 소실점과 생명의 궁극성에 대한 질문에, 삶이란 허무와 충만이라는 양가적 시간이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것임을 강조했다.
평론으로도 주목받은 그는 1963년 이어령과의 문학논쟁에서 평론 표절과 모방문학론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또한 당시의 예술가의 현실참여 논쟁에서는 예술가의 개성적 자유를 옹호하고 순수문학의 예술지상주의적 경향을 강조했으며 이 같은 문학세계는 이후 줄곧 견지되었다.
시집에 〈적막강산〉·〈돌베개의 시〉·〈풍선심장〉·〈그해 겨울의 눈〉·〈심야의 일기예보〉·〈보물섬의 지도〉·〈죽지않는 도시〉·〈절벽〉·〈꿈꾸는 한발〉·〈존재하지 않는 나무〉 등이 있고, 평론집에 〈시와 언어〉·〈감성의 논리〉·〈한국문학의 반성〉·〈시와 언어〉·〈시를 어떻게 쓸 것인가〉, 수필집에 〈자하산의 청노루〉·〈서서 흐르는 강물〉·〈바람으로 만든 조약돌〉 등 저서 20여 권이 있다.
한국문학가협회상, 한국시인협회상, 대한민국문학상, 대한민국 문화예술상, 예술원상, 은관문화훈장, 서울시문화상, 윤동주문학상, 공초문학상, 만해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시인. 본명 은태(銀泰). 호 파옹(波翁). 법명 일초(一超). 전북 군산시 미룡동(옥구) 생. 미룡초등학교 졸, 군산중학교 4년 휴학, 해인사 대교과(大敎科.1951년), 1951년부터 해인사 승려가 됨(1962년까지). 선 과정(禪課程.1957년) 이수, 1959년 대덕법계(大德法階) 품수(稟受). 1956년 [불교신문]을 창간, 초대 주필 역임. 1958년 [현대문학]에 <봄밤의 말씀>, <눈길>, <천은사운(天恩寺韻)>, [현대시]지에 시 <폐결핵>(1958)이 추천되어 환속, 등단. 1960년 대본산 주지, [불교신문] 주필을 역임, 승려시인이었으나, 1962년 환속, 일정한 직업 없이 시작(詩作), 저술작업에 전념하였다.
1974년 자유실천문인협회 창립, 초대 간사, 민족예술인총연합회 공동의장, 민족문학작가회 회장 등 역임. 1975년 제1회 한국문학작가상, 시집 *<만인보>(1989-1,2,3권)로 3회 만해문학상(1988년. [창작과 비평사] 운영), 1991년 중앙문화대상 예술상 수상. 美 하바드대 하바드옌칭 연구교수, 버클리대 객원교수 역임 1970년대 지식인의 민주화운동에 적극 참여 여러 차례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발랄하고 청신하며 기발한 감성의 소유자로 알려져 있다.
제3회 萬海문학상(1989), 중앙문화대상(1992), 제1회 대산문학상(시부문.1993), 1998/02/28 제2회 만해상 시문학상(만해사상실천선양회) 시문학 은관문화훈장(2002), 제18회 단재상(한길사.2004), 제10회 늦봄통일상(2005), 노르웨이 비외른손훈장(2005), 제3회 시카다상(스웨덴 시카다재단.2006), 영랑시문학상(2007), 캐나다 그리핀 시인상 평생공로상(2007), 제52회 대한민국예술원상 문학부문(대한민국예술원.2008) 등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