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꽃나무 아래의 키스 / 이수익

 

 

더 멀리

떠나왔다 보다

밀교의 단호한 문을 여러 겹 건너

비바람과 눈보라 사이를 숨차게 헤쳐

바위처럼 금 간 상처 내려다보며

그래도 두렵지 않다, 두렵지 않다, 서로

위로하면서

몇백 날을 그렇게 달려왔지

은닉한 쾌감에 메마른 주둥이를 대고 싶어

피 흐르는 육체의 윤곽을 덮어 지우면서

저 감옥 속으로,

감옥 속으로

 

 

 

 

꽃나무 아래의 키스

 

nefing.com

 

 

오는 12~13일 이틀동안 이형기 시인의 고향인 진주 남강변에서 '이형기 문학제'가 열린다. 20세기 한국 현대 시단을 대표하는 이형기 시인의 고향사람들과 문인들이 이형기기념사업회(회장 강희근 경상대 교수)를 결성하고 처음으로 문학축제를 열기로 했다.

 

 

 

이번 문학제는 진주시가 주최하고, 이형기 기념사업회와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공동 주관하는 이형기문학제가 진주 남강변에서 열린다. 강희근 회장은 "이형기 선생의 출생일(16)과 돌아가신 날(22)7월이 아니지만, 올해는 처음이라서 여는데 의미를 두고 특정일과 관계없이 연다"고 말했다.

 

이어 이날 오후 430분 같은 장소에서 이형기문학상 시상식이 열린다. 올해로 3회째인 이형기문학상 수상자자로는 이수익(66) 시인이 선정되었다. 예심·본심을 거쳐 오른 시집을 대상으로 5명의 심사위원들이 토론을 거쳐 수상자를 결정했다.

 

수상 시집은 <꽃나무 아래의 키스>, 심사위원들은 "이전의 어떤 시집보다도 시인의 시인론이 충실하게 반영되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4부로 구성된 시집은 사소한 것부터 거대한 것까지 인간의 아픈 흉터를 어루만지는 등 삶의 근원적인 비애를 그려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시상은 정영석 진주시장이 할 예정이며, 박주택 교수(경희대)가 심사평을 할 예정이다. 상금 1000만원.

 

이형기 시인은 생전에 문예이론과 실제 창작분야에서 탁월함을 보였고 같은 동료들에게도 존경을 받는 자부심이 유달리 강했던 이다. 고향의 시우였던 최계락, 옛 삼천포의 박재삼 시인(1회 개천예술제 차상)과 나눈 평생 우정은 지금도 한국 문단뿐 만이 아니라 고향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강희근 교수는 "이형기 시인은 한국현대시를 대표하는 시인이면서 개천예술제 백일장 제1회 장원자이기도 하다""이번 문학제를 통해 지역민의 정서를 문학적으로 승화시키려고 하며, 진주에 많은 시인들이 있지만 고인은 갈수록 위상이 더 뚜렷해지는 대상이기기도 하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