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잘 익은 사과 / 김혜순

 


백 마리 여치가 한꺼번에 우는 소리 내 자전거 바퀴가 치르르 치르르 도는 소리 보랏빛 가을 찬바람이 정미소에 실려온 나락들처럼 처녀 엄마의 눈물만 받아먹고 살다가 유모차에 실려 먼 나라로 입양 가는 아가의 뺨보다 더 차가운 한 송이 구름이 하늘에서 내려와 내 손등을 덮어주고 가네요 그 작은 구름에게선 천 년 동안 아직도 아가인 사람의 마음 냄새가 나네요 내 자전거 바퀴는 골목을 만날 때마다 둥글게 둥글게 길을 깎아내고 있어요 그럴 때마다 나 돌아온 고향마을만큼 큰 사과가 소리없이 깎이고 있네요 구멍가게 노망든 할머니가 평상에 앉아 그렇게 큰 사과를 숟가락으로 파내서 잇몸으로 오물오물 잘도 잡수시네요

 

 

 

잘익은 사과 외

 

nefing.com

 

 

김혜순은 1955년 경북 울진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에 입학할 무렵 강원도 원주에 이사해 거기서 청소년기를 보낸 그는 원주여고를 거쳐 1973년 건국대학교 국문과에 들어가 시를 쓰기 시작한다. 그는 1978동아일보신춘문예에 처음 써본 평론 시와 회화의 미학적 교류가 입선하고, 이어 1979문학과 지성담배를 피우는 시인,도솔가등의 시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문단에 나온다. 대학 졸업 뒤 평민사문장의 편집부에서 일하던 그는 1993김수영 시 연구라는 논문으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는다. 그는 1998'김수영 문학상'을 받음으로써, 낯설고 이색적이어서 사람들이 부담스러워하던 그의 시 세계는 비로소 문단의 공인을 받는다.

 

김혜순의 시는 대상을 주관적으로 비틀어 만든 기괴한 이미지들과 속도감 있는 언어 감각으로 자신의 독특한 세계를 구축해 온 김혜순이 시를 통해 끈질기게 말하는 것은 죽음에 둘러싸인 우리 삶의 뜻없음, 지옥에 갇힌 느낌이다. 그 죽음은 생물학적 개체의 종말로서의 현상적, 실재적 죽음이 아니라, 삶의 내면에 커다란 구멍으로 들어앉은 관념적, 선험적 죽음이다. 그의 세 번째 시집 제목이 어느 별의 지옥인 것도 우연은 아니다. 어느 별의 죽음은 세계의 무목적성에 대한 오랜 응시로 삶에 예정되어 있는 불행을 눈치채 버린 이의, 삶의 텅 빔과 헛됨, 견딜 수 없는 지옥의 느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비관주의적 상상력이 빚어낸 시집이다. 그의 시 세계는 일상적이고 자명한 것의 평화와 질서에 길들여져 있는 우리의 의식을 난폭하게 찌르고 괴롭힌다.

 

김혜순 시의 착지점은 '', 그것도 해탈이 불가능한 '여성의 몸'이다. 해탈이 불가능한 몸에서 출발한 그의 시적 상상력은 때때로 그로테스크한 식육적 상상력으로까지 뻗친다. 이런 점에서 김혜순의 시를 "블랙유머에 바탕을 둔 경쾌한 악마주의"의 시로 이해할 수도 있겠다.

 

그는 자기 시의 발생론적 근거를 '여성''여성의 몸'에서 찾는다. 이에 대해 그는 "식민지에 사는 사람은 절대 해탈이 불가능하다. 여성은 식민지 상황에서 살고 있다. 사회학적 요인이 아니라 유전자에 새겨진 식민지성이 있다. 이때의 여성은 인식론적 여성이 아니라 존재론적 여성이다."라고 말한다.

 

시집 또 다른 별에서, 아버지가 세운 허수아비, 어느 별의 지옥, 우리들의 陰畵, 나의 우파니샤드, 서울, 불쌍한 사랑기계, 달력 공장 공장장님 보세요, 한 잔의 붉은 거울, 당신의 첫, 슬픔치약 거울크림, 피어라 돼지, 죽음의 자서전, 날개환상통, 시론집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연인, 환자, 시인, 그리고 나), 여성, 시하다, 여자짐승아시아 하기, 시산문집 않아는 이렇게 말했다등을 출간했으며, 김수영문학상, 현대시작품상, 소월문학상, 올해의문학상, 미당문학상, 대산문학상, 이형기문학상, 그리핀 시 문학상을 수상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