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4/ 정영애

 

 

사랑을 한 적 있었네

수세기 전에 일어났던 연애가 부활되었네

꽃이 지듯 나를 버릴 결심을

그때 했네

모자란 나이를 이어가며

서둘러 늙고 싶었네

사랑은 황폐했지만

죄 짓는 스무 살은 아름다웠네

자주

버스 정류장에서 누군가를 기다리곤 했었네

활활 불 지르고 싶었네

나를 엎지르고 싶었네

불쏘시개로 희박해져가는 이름

일으켜 세우고 싶었네

그을린 머리채로 맹세하고 싶었네

 

나이를 먹지 않는 그리움이

지루한 생에 그림을 그리네

기억은 핏줄처럼 돌아

길 밖에 있는 스무 살, 아직 풋풋하네

길어진 나이를 끊어내며

청년처럼 걸어가면

다시

필사적인 사랑이 시작될까 두근거리네

습지 속 억새처럼

우리 끝내 늙지 못하네

 

 

 

 

[당선소감]

 

당선 소식을 듣고 처음에는 가슴만 콩콩거리다 끝내는 퍼질러 앉아 질펀하게 울어버렸습니다. 나를 세상에 눈뜨게 해주신 부모님과 장애가 있어 나를 더 행복하게 해주는 딸 소정이, 아직도 엄마, 안아주세요하는 성격 좋은 아들 일출이, 든든한 후원자 남편 모두에게 감사드립니다.”

 

14회 지용신인문학상 당선자 정영애씨(사진·52 강원도 속초시) 당선 소식이 놀랍기만 하다는 그는 긴장됐지만 차분한 목소리로 말을 이었다.

 

정씨는 이미 지난 20013회 의정부 신인문학상 장원을 시작으로 2003년 강원여성백일장 대상, 2006년 계룡시 전국여성백일장 대상, 2006년 신사임당 문예대전 대상 등 연이어 여러 대회에서 수상하며 실력을 인정받았다.

 

이번에 그에게 지용신인문학상의 영광을 안겨 준 작품은 시 ‘4’. 열두 달 중 가장 화사한 달이면서 가장 불행한 달, 그래서 해마다 가슴 아픈 4월을 그려낸 시다.

 

어려운 시는 제가 제일 싫어해요. 첨탑에서 퍼지는 종소리처럼 모두의 가슴에 스며드는 쉬운 시를 쓰고 싶습니다. 앞으로 평생 시와 손을 잡고 가야 하겠지요. 시는 곧 생활이고 제 삶이니까요. 발표할 만한 좋은 시를 많이 쓸 수 있게 되면 시집도 한 권 발간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심사평] ‘압축·생략으로 시의 참맛 잘 표현

 

시가 필요 없이 길고 말들이 많다. 컴퓨터로 글을 쓰면서 생긴 버릇이겠지만, 시의 참맛이 압축과 생략에 있다는 점은 예나 지금이나 대체로 동의를 얻고 있는 터다. 또 지나치게 말들이 많다는 것은 시가 설명으로 떨어지고 있다는 소리겠는데, 어쩔 수 없이 초점이 흐려지고 산만해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그래가지고는 활기찬 시가 되기 어렵다는 뜻이다. 그런 가운데서도 ‘4’(정영애), ‘가끔이란 시간’(김예영) 등 몇 사람의 시는 이 점을 극복하면서 우리 시의 앞날에 대해서 크게 희망과 신뢰를 갖게 해 주었다. ‘4은 지나간 사랑을 회상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지만, 그 사랑이 화로 속의 불씨처럼 다른 사랑으로 되살아날 수 있으리라는 암시와 더불어, 수채화처럼 아름답고 달콤하고 슬픈 이미지로 승화되고 있다. 빼어난 감각이 시를 시종 활기차게 만들고 있는 점도 이 시의 미덕이다. 가령 나를 엎지르고 싶었네같은 표현은 아무나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이 못된다. 그 빼어난 감각이 지금까지 우리 시가 잊고 있었던, 다른 장르의 문학이 가질 수 없는 시의 재미를 복원해 주고 있다는 점도 지적될 수 있을 것이다. 소재도 유행을 좇는 흔한 것이 아니어서, 이른바 문학학교 시를 한 걸음 극복하고 있다. 많은 말, 화려한 표현의 유혹을 이겨내고 있는 점도 미덕이다. 좋은 시를 쓸 바탕이 보인다. ‘가끔이란 시간은 발상도 표현도 신선하고 독특하다. 비슷비슷한 시를 읽다가 접하니 눈이 번쩍 띄었다는 것이 심사자들의 솔직한 고백이다. 하지만 발상이고 표현이고 좀 어리다. 남들과는 사물을 다르게 보고 표현을 다르게 한다는 자세는 값지고 귀하다. 이런 생각을 이어간다면 반드시 좋은 시를 쓸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시 가운데서 심사자들은 정영애의 ‘4을 당선작으로 뽑는데 합의했다.

 

심사위원 유종호, 신경림 시인

 

728x90

 

 

4월 / 최미경


벚꽃이 전쟁처럼 흩날리는 저녁
바그다드 도서관이 불에 탄다
길 위에 사람들은
낡은 책 안으로 사라져가고
죽음은,

검은 주머니 가득
모래 폭풍을 싣는다
어둠을 달리던 바람의 마차들
달빛아래 드러나는 폐허의 이빨들
희망도
절망도
깨진 꽃잎을 주워 담으며 중얼거린다

봄은,
학살이다

홀쭉해진 계절을 틈타
별빛도 마른 티그리스 강가
어린 소녀들의 물동이 안에서도
달은 자라고
포탄이 떨어진 자리마다
흰 꽃이 선다

 

 

 

저녁 7시에 울다

 

nefing.com

 

 


[당선소감]

나는. 내 詩가 거짓인 줄 알았다 돌아보면 모두가 거짓말 같은 게 삶 아니던가 그래서 두려웠다 함부로 들뜨지도 또 함부로 슬프지도 않으려 했다 길을 걷는 동안, 넘어지지 않으려고 애쓰며 나는. 나를 믿지 않았다

당선소식을 들은 날 저녁, 퇴근길 차안에서 싸구려 향수냄새가 나는 주유소 휴지에 코를 풀며 나는, 울었다. 차 창 밖으로 詩를 닮은 잎들이 詩를 닮은 사람들이 또 詩를 닮은 휴지통이 겨울 밤 안에 있었다. 왜 내 詩가 되었을까, 라는 물음은 잠시 접어두기로 한다. 아주 아주 긍정적이고 유머감각이 뛰어난 神이 너를 한번 믿어보라며 던져준 금화 한 닢이라고 나는, 생각하기로 한다. 내 삶이 금화 한 닢으로 통째로 바뀔 것이란 생각은 하지 않는다. 다만 지금은 그냥 아무 생각 않고 고맙고 행복, 하고 싶다. 그리고. 그런 다음. 바람이 부는 쪽으로 詩를 쓰고 싶다.

내게 아버지 같았던 오 교수님, 사랑하는 남편과 J, 그리고 내 생애 가장 슬픈 이름인 엄마에게 기쁨을 전하고 싶다. 또 모자란 詩를 안아주신 심사위원님들께도 오래오래 건강하고 행복하시라고 꼭. 꼭. 전하고 싶다.

 



[심사평]

예심을 거쳐 본심에 오른 작품은 17명의 91편이었다. 엄선에 엄선을 거듭한 것이었으므로 다들 일정 수준을 상회하는 것은 당연하였다. 난형난제에다 일진일퇴를 거듭하는 바람에 실로 자웅을 결하기가 어려웠다. ‘소리도에서’‘옷 만드는 여자’ ‘누드’ ‘부활’ ‘사자가족’ ‘막차’‘아버지의 겨울’‘남산동 2가’‘도배를 하며’‘4월’ 등 10편이 남아 한판 겨루기를 계속하였다.

설왕설래 끝에서야 어느 정도 윤곽이 잡히기 시작하였는데, 압축력이 약해 느슨해진 것, 너무 사변적이고 설명적인 것, 시적 변용에만 겉멋을 부린 것, 지나치게 표피적이고 감각적인 것, 감상적인 색칠하기에 급급한 것, 가식적 위장술로 교묘히 포장한 것, 시류에 편승한 산문적 억지를 고집한 것 등의 이유를 들어 얻어낸 결과였다.

결국 마지막까지 남아 끝까지 일전을 겨룬 작품은 ‘아버지의 겨울’ ‘남산동 2가’‘4월’등 3편이었다.

‘아버지의 겨울’은 그의 다른 작품들과 함께 흠잡을 데 없는 완성도에다 기성 시인의 냄새가 너무 짙은 나머지 오히려 낡은 매너리즘을 자초하고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고 역으로 ‘남산동 2가’는 용기와 열기를 앞세운 젊은 혈기와 현실 재단적 안목은 대단했으나 그만큼 거칠고 미완적이라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점까지 참작하여 작품 ‘4월’을 당선작으로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당선작 ‘4월’은 다소 소품적인 데가 있으나 그만큼 군더더기가 없는 언어 구사 능력이 뛰어나고 행과 연 구분의 탄탄한 구성력과 참신성이 돋보이는 데다 공교롭게도 최종심에서 겨루다 탈락하게 된 두 작품의 장단점을 무리 없이 절충하고 있는 것 같다는 점 또한 크게 참작되었음은 물론이다. 서정의 본령과 시적 정공법을 지속적으로 살려 앞으로 좋은 작품 많이 써 주기를 바란다.

심사위원 김용택 김창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