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알고리듬 / 김건영

 

 

이 죄는 나도 알아요 눈을 감으면 끝난다는 것을 설사 끝나지 않는 것이 있더라도 여러 번 감으면 끝날 수 있다는 것을 나는 앓고 있고 몸속에 시간이 쌓이는 것으로 먼별에서 순교자와 배교자의 자식들을 불태우며 항성보다 빛나는 별이 있음을 이해한 후 단지, 약속했던 손가락을 자를 뿐인데 웃자란 가지가 뿌리로부터 멀어지려 제 머리를 찢고 온몸에 눈을 틔울 때 한밤중은 몸을 뒤집으며 떨기 위한 구실임을 잊지 마라 이르니 제 손바닥으로 허공을 문지르고 잎은 자라 시간을 흐리면서 흐르지 않고 주름만 깊어질지니 화형된 자들이 쌓인 행성은 백색의 외골격으로 추위를 형용하고서 마냥 떠올라만 있어 그 빛을 받아 붉어진 이마를 눌러주며 이 별에 있는 모든 돌아오는 것들의 이름을 되뇌어 주던 사람이 있더라 했었는데 토마토 기러기 일요일 같은 것들은 돌아오고도 그는 돌아오지 않고 이 별의 사육사는 지구의 적극적 기울기에 대해 침묵하고 우주에 늘어진 검은 현을 연주하던 꿈속에서 껌을 씹거나 꿈속에서 꿈꾸지 않는 꿈을 꾸며 긴 잠이 들었었다 이르니 문을 활짝 열어 두고 보는데 바람이 그것을 닫아 버린 것을 듣고서 놀라 꿈에서 깨어나 누구든 나타나서 내 창문 너머로 적의라도 보여 주기를 바라고는 다시 문을 열고 몸을 식히려 꿈속의 육신으로 기어들어 갔으니

 

 

 

[수상소감]

 

이십 대 중반 즈음에 장자를 읽으며 지냈던 여름이 있습니다. ‘의자의 탄생은 나무의 파괴를 뜻한다라는 문장을 읽고 한동안 아무것도 하지 못했던 시절이었습니다. 불을 끄고 누우면 살아오며 행한 실수와 누군가를 아프게 했던 기억들이 엄습하여 잠들지 못했습니다. 언제 어디서 무엇을 하더라도, 결국 제가 알지 못하는 곳에서 부서질 것들이 있음에 겁을 먹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하면 주변에서는 웃음을 터뜨리거나, 자못 심각한 표정을 지으며 고개를 끄덕인 후 그래도 앞으로 나아가라는 조언을 해주곤 했습니다. 그래서 오래 망설였고 멍청해지려 오랜 기간을 망설이며 지냈습니다. 문제는 그렇게 지내면서도 누군가를 상처 입히고 또 나에게 상처를 준 사람들을 마음속으로 저주하며 지냈다는 사실입니다. 여전히 우둔하고 미련하기 때문에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주저하며 살았습니다.

 

여전히 사방은 모순투성이였고 그래도 무언가를 해야겠다는 심정으로 시를 썼습니다. 이제는 어떻게와 왜만 남아서, 망설이면서도 고민하며 썼습니다. 다시, ‘나무의 파괴는 의자의 탄생을 뜻한다라고 마음을 고쳐먹고 쓰고 있습니다. 부서지고 쓸모없어진 언어들로 의미를 만들겠습니다. 의미 없어 보일 수 있는 작업들을 심사위원님들께서 어여쁘게 보아 주신 것이라고 믿습니다. 아껴 읽던 시집들과 견주어 이 자리에 오른 것에 마음이 아픕니다. 하여 저에게 주신 상이 헛되지 않게 앞으로도 더 열심히 쓰겠습니다.

 

먼 길을 돌아 다시 시 쓰기로 돌아왔을 때 등대처럼 자리를 맡아두고 술을 많이 사주신 전형철 시인과 이범근 시인께 감사를 전합니다. 시집을 묶을 때 큰 도움을 주신 채상우 시인과 아름다운 평론을 써주신 장철환 평론가께도 무한한 감사를 드립니다. 호명해야 할 많은 사람들이 있지만 전화번호부처럼 보일까봐 나머지 분들께는 마음을 아껴 따로 감사를 전하겠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더 망설이고 고민하며 살겠습니다. 대가가 되지 못하고 결론을 맺지 못한 채로 길 위에서 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파이

 

nefing.com

 

 

 

올해 박인환문학상 수상자로 김건영 시인(37)이 선정됐다고 상을 주관하는 계간지 시현실이 26일 밝혔다.

 

30세에 요절한 고() 박인환 시인(1926~1956)을 기리고자 1999년 제정된 박인환문학상은 올해가 20회째다. 한국 시단에서 자기만의 영토를 개척한 신진 시인을 발굴해 왔다.

 

올해 본심에는 5인의 시인이 거명된 가운데 김건영 시인의 '알고리듬' 9편을 수상작으로 최종 선정했다. 심사는 유성호 문학평론가, 강동우 평론가, 장석원 시인이 맡아 진행했다.

 

박인환문학상 심사위원회는 "김건영 시인의 시가 사회적 차원과 개인의 내면을 결집해내는데 있어서 높은 성취를 보여준 동시에, 언어유희와 블랙유머를 결합해 청년세대가 겪는 사회적 고립감을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이를 통해 자기만의 시적 영토를 개척했다"고 평가했다.

 

1982년 전남 광주에서 태어난 김건영 시인은 서울예대 미디어창작학부를 졸업했다. 2016년 월간 '현대시' 신인상을 통해 등단했으며 최근 시집 '파이'를 출간했다. 현재 '다시다'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시상식은 11월에 열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