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컨텐츠 > 신간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원 시집 <아득한 집>(푸른사상 시선 143) (0) | 2021.05.07 |
---|---|
권기덕 시집 <스프링 스프링>(파란시선 0040) (0) | 2021.05.06 |
합동시집 <시골시인K>(걷는사람) (0) | 2021.04.25 |
배세복 시집 <목화밭 목화밭>(달아실시선39) (0) | 2021.04.22 |
하동현 작가의 해양산문집 <양망일기> (0) | 2021.04.11 |
김정원 시집 <아득한 집>(푸른사상 시선 143) (0) | 2021.05.07 |
---|---|
권기덕 시집 <스프링 스프링>(파란시선 0040) (0) | 2021.05.06 |
합동시집 <시골시인K>(걷는사람) (0) | 2021.04.25 |
배세복 시집 <목화밭 목화밭>(달아실시선39) (0) | 2021.04.22 |
하동현 작가의 해양산문집 <양망일기> (0) | 2021.04.11 |
권기덕 시집 <스프링 스프링>(파란시선 0040) (0) | 2021.05.06 |
---|---|
합동시집 <시골시인-K>(걷는사람) (0) | 2021.05.03 |
배세복 시집 <목화밭 목화밭>(달아실시선39) (0) | 2021.04.22 |
하동현 작가의 해양산문집 <양망일기> (0) | 2021.04.11 |
시in 동인회 시집 2020 제4호 (0) | 2021.03.16 |
의기투합 시골시인K 주류 문단에 하이킥 - 경남도민일보
경상도 지역 시인 6명이 중앙 문단에 도전장을 던진다. 그들은 지역을 과소평가하고 중앙 문단 중심으로 흘러가는 현 문단에 대한 비판의식을 가지고 시 60편과 산문 6편을 묶어 내달 (걷는사람)
www.idomin.com
.
경남도민일보 김민지 기자께서
.
‘시골시인-K’에 관한 기사를 써 주셨다.
.
참으로 감사한 일이다.
.
요즘 합동시집(걷는 사람) 출간 이후의 행보에 대해서
.
지속적인 논의를 하는 중이다.
.
시집은 4월 5일부터 시중에 배포될 예정이니
.
많은 관심과 사랑을 부탁드리며
.
‘시골시인-K’와 함께 문학관련 행사를 원하시면
.
아래로 문의 바랍니다.
.
.
이메일 주소 : ksujin1977@hanmail.net
연락처 : 010-4221-1726
2022년도 부마민주항쟁 전국 백일장 및 고교생 백일장 (0) | 2022.09.17 |
---|---|
제2회 3.15청년문학상 현상 공모 (0) | 2021.03.17 |
빅풋 / 석민재
군함처럼 큰 발을 끌고
아버지가 낭떠러지까지
오두막집을 밀고 갔다가
밀고 왔다가
왼발 오른발 왼발 오른발 스텝을 맞추며
말기 암, 엄마를 재우고 있다
죽음을 데리고 놀고 있다
죽을까 말까 죽어줄까 말까
엄마는 아빠를 놀리고 있다
아기처럼 엄마처럼
절벽 끝에서 놀고 있다
2017 신춘문예 당선시집
nefing.com
[당선소감] “꿈꾸던 성탄 선물… 투병 중 모친께 바친다”
누구나 그렇듯이 쓸모없는 하나님이 제게도 있습니다. 감사와 은총보다는 원망과 타박이 필요할 때 종종 요긴합니다. 그런데 가끔 산타클로스처럼 선물을 주실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크리스마스 선물은 좀 놀랍습니다. 아니 많이 놀랍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줄 선물을 잠깐 혼동하신 게 아니었나 할 정도로. 마치 어린 여자아이가 받은 성인용 브래지어·팬티 선물세트처럼 당선 통보는 신기하고 민망하고 설렜습니다.
고백하건대 저는 시를 잘 모릅니다. 내가 써놓고도 잘 모릅니다. 아무리 봐도 가짜 같아서 어디다 버젓이 내놓을 만한 물건이 못 됩니다. 하지만 가끔 자해공갈단처럼 내 시를 중인환시에 던져놓고 싶었습니다. 온갖 모욕과 모멸을 참담하게 당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기다리고 있던 수모 대신 누군가가 칭찬을 해줄 때는 하나님처럼 난감합니다. 그 칭찬을 긍정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어서 혼란스럽습니다. 지금이 그렇습니다. 그렇게 간절하게 꿈꾸던 농담이지만 비현실적입니다.
무슨 군말이 필요하겠습니까. 앞으로 잘 써야지요. 이렇게 겨우 시를 흉내 내는 데도 얼마나 많은 분들에게 빚졌는데요. 특히 진주의 김언희, 유홍준 선생님, 하동의 김남호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선생님들이 아니었으면 산타클로스는 저를 알아보지도 못했을 겁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말기 암으로 투병 중이신 친정의 어머니와 극진한 간병인이신 아버지께 이 선물을 고스란히 드립니다. 잠시 효도한 것 같아 위안이 됩니다.
끝으로 뽑아 주신 김사인, 황인숙 선생님과 세계일보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제 한 줄의 약력을 쓸 때마다 상기하겠습니다. 이 어색한 소감문은 얼른 끝내고 서둘러 나를 학대하러 가야겠습니다.
엄마는 나를 또 낳았다
nefing.com
[심사평] “해학·역설의 묘미 살려 삶의 애환 잘 갈무리”
본심에 올라온 작품들은 전반적으로, 좋게 말하면 말과 느낌을 적절히 짜 맞추는 솜씨들이 상당해서 안정감이 있었다. 그런데 한 발 떨어져서 보면 평면적이고, 어딘가 낯익은 형언과 방식에 기대어 있는 느낌이다. 그런 가운데 석민재씨의 응모작 ‘계통’ 외 2편은 단연 돋보였다. 그의 시들은 수월하게 읽히면서 수려한데 그 속에 삶의 애환이 갈무리돼 있다. 또 근년의 젊은 시인들에게서 보암직한 축조방식으로부터도 자유로이, 시를 다루는 방식이 신선하다. 좋은 시의 길을 가고 있는 것이다.
응모한 세 편의 시들이 각기 다른 매력을 지니고 있다. ‘이건 빨강 네가 아무리 우겨도 빨강/파랑 같아도 이건 빨강/노랑 같아도 이건 빨강’으로 시작되는 시 ‘계통’은 빛깔 이미지들과 이응의 음성상징이 공처럼 통통 튀면서 설사 내용을 모르더라도 읽으면서 기분이 좋다. 그의 시 ‘빅풋’을 당선작으로 기쁘게 뽑는다. ‘빅풋’은 무지무지하게 슬픈 상황인데 아버지의 당당함(‘군함처럼 큰 발을 끌고’)과 쾌활(‘왼발 오른 발 왼발 오른발 스텝을 맞추며’), 그리고 엄마의 해학(‘죽을까 말까 죽어줄까 말까’)으로 상황을 뒤집어 보여준다. 상상력의 전복, 역설의 묘미를 깔끔하게 끌어낸 시다.
함인우(‘아스피린’ 외 3편), 의현(‘여유가 있다면’ 외 2편), 김순철(‘복숭아’ 외 2편)의 응모작들도 놓치기 아까운 작품들이었다. 특히 이미지를 첩첩 겹쳐 연결시키는 힘이 여간 아니며 변두리 주변인에 대한 연민과 공감이 뛰어난 함인우의 시들이 그러하다. 약국이라는 작은 공간을 그 이름이 ‘우주’인 것을 빌려 우리네 작은 세상의 삶과 죽음을 우주에 병치시키는 ‘아스피린’이나 피아노와 노파와 파를 음계와 연계시키며 펼치는 ‘버려질 것을, 산다’나 삶의 통증과 페이소스로 자욱하다. 당선자께 커다란 축하를, 세 분께 안타까움을 전한다.
심사위원 김사인·황인숙
2019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 당선취소 (0) | 2020.02.29 |
---|---|
2018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 우남정 (0) | 2020.02.29 |
2016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 이윤정 (0) | 2016.01.01 |
2015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 김성호 (0) | 2015.01.05 |
2014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 이영재 (0) | 201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