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흔한 풍경 / 김미령

 

 

시청 앞 작은 연못에 기억상실증에 걸린 비단잉어가 산다

몰락한 귀족처럼 느릿느릿 헤엄치면

양귀비꽃 수면에 비쳐온다

우리는 그걸 주홍빛 슬픔이라 부른다

 

허기진 햇빛이 정수리 위에 어른거린다

메마른 광장의 오후 2시가 아가미 속을 들락날락하는

지루한 염천(炎天)의 대낮

살아있다는 걸 확인하기 위해 벽을 두드려보듯 지느러밀 움직여

물의 파동을 느껴본다

배에 와닿는 물의 감촉이 따스하다

 

눈앞이 침침해지고부터는 소리에 집착하게 된다 좁고 가늘어진 바람소리

공중에 박음질하듯 이따금 지저귀는 새소리

무수한 소문들이 물기를 머금고 부풀었다 사라진 벤치에

빈 종이컵이 실신할 듯 입벌리고 있다

 

새우깡을 무심히 던지던 손이 오래 들여다보고 있었던 건 무엇일까

의 마지막 들숨을 쉬듯 물위로 솟구칠 때 무심코

돌아서던 누군가의 하얘진 귓불을 보았을 수도 그때 잠깐 흔들린 듯

눈을 깜빡였을 것이다 그러나 그때 서로가 엿본 것은 아무 것도

 

들킨 것 또한 아무 것도 없다 다만 그 동안에도

애초에 누구의 관심거리도 아니었다는 듯

개미들이 떨어진 여치 다리를 십자가처럼 옮기고 있었고

체인을 오래 매만지고 있던 자전거 옆으로 은색 승용차가

서류뭉치를 신생아처럼 안고 급히 주차장을 빠져나갔다

모두 외로움을 흙먼지처럼 껴입고 있지만

삶의 균형을 유지하는 법을 누구나 알고 있는 것이다

 

벤치 밑에 조금 구부러진 쇠뜨기풀이 다시 일어서는 동안

내 어슬렁거림은 어떤 사소함에 비유될 수 있을지 생각해본다

보이지 않게 어긋나도록 돼있는 정교한 교차로 같은 일상 속에서도

무언가에 열중하는 순간 누구나

제 몸에 딱 맞는 표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므로

 

모두 서로에게 그림 속 배경일 뿐이라는 듯

과자 부스러기들이 바람에 흩어진다

 

 

 

 

2005 신춘문예 당선시집

 

nefing.com

 

 

 

[당선소감]

 

막 외출하려던 참에 옷장에서 휴대전화 소리가 희미하게 울렸다. 외투 주머니에 넣어두었던 휴대전화를 깜빡 잊고 나가려던 참인데 간신히 받은 전화 속 상대방은 서울신문 문화부 기자였다! 나는 실감을 도둑맞은 채 멍하니 서 있었다. 그리고 도대체 내가 무슨 짓을 한 것인지 곰곰이 생각해야 했다.

 

무슨 일의 기미는 그렇게 희미하게 온다. 시가 내게 오는 방식도 그러하다. 시의 기미를 다행히 감지했을 때 나는 납작하게 엎드려 코를 벌름거리며 그 냄새의 방향과 거리와 크기를 탐색한다. 그리고 그것의 실체를 확실히 기억해둔 뒤에 아무것도 모르는 듯이 유유히 사라진다. 며칠동안은 부단히 그 실체의 환영에 시달리다가 내림굿을 받듯 어느 날 정신없이 받아 적곤 한다.

 

그러나 날것의 실체를 온전히 내 것으로 소화시키지 못해 좌절을 맛보기 일쑤였다. 그때마다 보편성에 관해서 많은 생각을 해야 했다. 감동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느끼는 평범한 감정들을 아름다운 충격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라 생각하면서부터 내 시 쓰기에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것 같다. 아웃사이더 같던 내 말들과 행동이 조금씩 보편성을 찾아가면서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을 알게 되고 점점 더 많은 것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시가 나를 세상에서 구원해줄 것이라 생각했지만 이제는 시가 내 속에서 나를 구원해 줄 것이라 확실히 믿고 있다.

 

오래된 일기장들이 꽂혀있는 책장을 보며 시 비슷한 것을 끄적거리기 시작한 10년 전 일이 생각난다. 그때 내 시를 처음 읽어봐 주시고 많은 조언을 해주신 남송우 교수님, 한동안 외면했던 시를 다시 공부하기 시작한 내 인생의 전환점이었던 시기에 훌륭한 스승이셨던 손진은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그리고 든든한 후원자인 남편과 철의 여인 엄마, 가족들, 또 함께 기뻐해 준 선화, 희경이에게도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우리가 동시에 여기 있다는 소문

 

nefing.com

 

 

[심사평]

 

예심을 거쳐 두 선자에게 전해진 작품들은 다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다수 응모작들에 결정적인 그 무엇이 모자란다는 인상을 주었다. 발상의 참신성이 돋보이는 작품은 흔히 언어의 밀도가 따라주지 않았고 감각적인 이미지가 돋보이는 작품은 호흡이 짧다는 인상을 주었다. 무엇보다 새로운 시정신을 엿볼 수 있는 패기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아쉬움을 주었다. 치열함이나 당돌함이 제거된 시적 수련이란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는 것일까 상념에 젖게 했다.

 

결국 선자들은 최종적으로 당선권에 근접했다고 여겨지는 네 명의 응모자의 작품을 추려내 논의를 거듭했다. 그 결과 김미령의 흔한 풍경이 마지막으로 낙점을 받게 되었다. 얼핏 보아서 무더운 날의 나른한 도시 풍경을 그리고 있는 이 작품은 현대인의 소외와 고독을 별 무리없이 부각시키는 데 성공하고 있다.

 

제목 그대로 흔한 풍경에 지나지 않는 현실의 단면에 대한 담담한 소묘가 돌연 삶의 무상함을 환기시키는 절실성을 획득하고 다가온다.“공중에 박음질하듯 이따금 지저귀는 새소리보이지 않게 어긋나도록 돼 있는 정교한 교차로 같은 일상같은 표현도 대범하게 씌어진 듯하지만 응모자의 만만치 않은 내공을 짐작하게 한다. 함께 투고한 다른 작품들도 다 일정한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어 한층 믿음이 갔다. 앞으로 자기만의 개성적인 시세계의 구축에 보다 신경을 쓴다면 한 뛰어난 신인의 탄생을 기대해도 좋을 것 같다.

 

최종심에서 논의된 작품 가운데 김영수의 들키지 않은 걸음걸이어두운 독서는 선자들을 오랫동안 망설이게 했다. 시에 담긴 사유의 깊이가 만만치 않았으나 그것이 시를 너무 건조하게 만든 감이 있고 불필요한 추상어의 남발도 거슬렸다. 이밖에 오징어 등불을 투고한 이병일과 사나운 연어떼가 밀려갔다의 박성현도 숙련된 솜씨를 선보이고 있지만 충분한 신뢰감을 주지 못하고 있다.

 

당선자에게 축하를 전하고 다른 응모자들에게도 분발과 정진을 부탁드린다.

 

심사위원 김명인·남진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