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순 / 하기정
그는 슬픔에 관한 한
긴 목을 지녔다
바람의 구멍을 열면
두 개의 목이
서로의 목구멍에 대고
울음을 불어 넣었다
달빛을 가르는 여름 나무의
녹청색 그림자들
놋쇠 바닥에 달라붙은
저녁의 검은 그을음
울음통의 깊은 바닥을 딛고 일어서는
눈물과 같은 비소와
눈웃음을 그은 선과 같이
침묵이 그를 긴 관에 눕혔다
관통하는 게 울음인지 노래인지
한통속으로 통했다
빛나는 관록과도 같이
젊고 마디 굵은
청춘의 목울대에 빨대를 꽂고
숨을 불어 넣자
길고 긴 울음을
연주했다
[수상소감]
상을 받은 소감이라니, ‘얼마나 좋은지? 그래서 앞으로 쓸 작품은 무슨 생각으로 어떻게 쓸 것인지?’ 소감문을 쓰려고 생각하다가 나는 나에게 묻고 있었다. 수상 소식을 전해 들은 건 이른 아침이었으니, 해가 뜨는 쪽에서 귀인의 목소리를 들은 날이었다. 잠결인가 꿈결인가 했다. 심어놓은 지 얼마 되지 않은 나무에 열매가 열리는 꿈을 어렴풋이 꾸었다. 가지에 달린 것들은 지나치게 익었거나 아직 덜 익은 것들이었다. 간밤의 해몽을 오후가 되어서야 생각하다가 마스크 속에 감춰진 입꼬리가 올라갔을 것이다. 상을 받고 기쁘지 아니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로 인해 가까이에 있는 사람들도 더불어 기뻐하니, 얼마간 기쁨은 두 배로 지속할 것이다. 기쁜 것은 기쁜 것을 유지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생각할 것이다. 언덕을 넘고 산길로 호젓이 나 있는 오솔길을 걸어가기를, 그 ‘홀로 있는 방식’을 유지할 것이다. 한편으로 그런 마음이 사라질까 봐, 불안하기도 할 것이다. 상을 받았으니 그만큼 더 골몰하고 절실해지고 더 겸손해지는 것, 그리고 계속 쓰는 것, 이것 외에 또 무엇이 있을까. 받은 꽃다발은 기분 좋은 무게가 느껴질 것이다.
채우거나 버려야 할 부분이 있을 작품을 눈여겨 보아주신 심사위원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시’가 나아가야 할 자리가 어디인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끔 자리를 만들어주신 <시인뉴스 포엠>에 머리 숙여 감사드린다.
[심사평]
시인 뉴스포엠 시인상의 응모작들을 공들여 읽었다. 응모작은 140분이 보내온 800여 편의 작품이었다. 응모작들 중엔 이미 시단에 등단해 활동을 하고 있는 신진 시인들의 작품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고, 미등단자의 작품들 중에도 상당한 시적 수련을 거친 것으로 보이는 분들의 작품이 눈에 띠었다. 현대사회는 IT산업 사회라고도 하고, 대중문화 사회가 되어버렸다고도 한다. 시는 쇄락의 길에 접어들었다고도 한다. 그러나, 심사자는 시인뉴스포엠 시인상 심사과정에서 800여 편의 응모작들을 읽으면서 치열한 정신이 불러낸 ‘불꽃의 언어’, ‘목숨의 언어’들을 만났으며, 새로운 힘의 언어를 만날 수도 있었다. 심사자는 응모작들을 읽으면서 한국시의 현재와 미래를 톺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하였다.
시의 수준을 판별하는 몇 가지 기준이 있을 수 있는 것이라고 믿는다. 첫째, 시인의 일상사나 현실문제를 서술하고 있는 시. 둘째, 시인의 일상사나 현실 문제를 시적 장치로 표현하되 시적 구조를 이뤄내고 있는 시. 셋째, 깊은 투시력으로 발견한 시적 대상과 시적 자아가 적절한 구조를 지향하고 있으며, 비유의 관계로 원활히 소통되고 있는 시. 물론, 셋째 단계의 시를 만날 때의 환희가 가장 큰 것이라고 믿는다. 심사자는 그런 나름의 기준에서 응모작들을 읽었다.
하기정의 「바순」을 당선작으로 뽑는다. 바순은 목관악기이다. 목관악기 중 가장 낮은 음역의 소리를 낼 수 있는 악기라고 한다. 단풍나무나 배나무로 몸통을 만들며 갈대 조각으로 리드를 만든다고 한다. 바순은 갈대 조각으로 만든 리드를 숨으로 불어 울려 긴 울음통이 소리를 반향해내도록 만든 악기라 한다. 시 「바순」의 시인은 이 목질의 리드를 숨으로 불어 울림의 오묘한 소리를 만드는 발성 시스템을 입에서 입으로 숨을 옮겨 생명을 복원시키는 것으로 상정된 시를 이뤄내고 있는 것이다. 위기의 순간에 처한 응급환자와 ‘마우스 투 마우스’ 응급처치를 떠올리도록 배려되어 있다. “두 개의 목이/ 서로의 목구멍에 대고/ 울음을 불어 넣”고 있으며, “침묵이 그를 긴 관에 눕혔다”고 진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침묵하는 악기 바순은 긴 관에 눕혀져 있다. 관(管)은 관(棺)과도 상통해 쓰이도록 의도된 것으로 보인다. 소리를 내지 못하고 침묵하는 몸통은 소리의 죽음이기도 할 것이겠다. “빛나는 관록과도 같이/젊고 마디 굵은/ 청춘의 목을대에 빨대를 꽂”는 그의 시에는 생명회복에의 바램까지 깃들어 있다. 목관악기 바순을 노래한 외피를 벗겨보면 이토록 큰 함축이 내재해 있다.
심사과정에서 박성우의 「가정」, 조현순의 「돌배나무 모퉁이」, 박찬익의 「파레이돌리아」, 이명윤의 「안녕 하셉」, 김형태의 「쪽방촌」 등이 시적 재질을 보여준 분들이다. 이분들의 정진의 모습을 보고 싶다.
- 이건청 (한국시인협회 회장 역임. 한양대 명예교수)
'국내 문학상 > 시인뉴스포엠시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회 시인뉴스 포엠 시인상 / 이종원 (0) | 2021.05.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