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저녁이 올 때 / 문태준

 

내가 들어서는 여기는

옛 석굴의 내부 같아요

나는 희미해져요

나는 사라져요

나는 풀벌레 무리 속에

나는 모래알, 잎새

나는 이제 구름, 애가(哀歌), 빗방울

산 그림자가 물가의 물처럼 움직여요

나무의 한 가지 한 가지에 새들이 앉아 있어요

새들은 나뭇가지를 서로 바꿔가며 날아 앉아요

새들이 날아가도록 허공은 왼쪽을 크게 비워놓았어요

모두가

흐르는 물의 일부가 된 것처럼

서쪽 하늘로 가는 돛배처럼

 

 

 

내가 사모하는 일에 무슨 끝이 있나요

 

nefing.com

 

 

19일 충북 옥천군에 따르면 이 지역 출신인 정지용 시인(鄭芝溶·1902~1950)을 기리기 위해 제정한 정지용문학상의 제31회 수상자로 문 시인을 선정했다. 수상작은 저녁이 올 때이다.

 

심사는 신달자·김광규 시인, 이남호·홍용희 문학평론가, 유자효 지용회장 등 5명이 했다.

 

김 시인은 수상작에 관해 “1930년 정지용 시인은 불 피어오르는 듯 하는 술/한숨에 키어도 아아 배고파라저녁 햇살을 노래한 바 있다그로부터 90여년 후에 문 시인이 마지막 햇살이 사라지고 어두워지기 시작하는 순간을 시에 담아 지평을 넓혔다라고 평했다.

 

문 시인은 1970년 경북 김천에서 태어났으며, 1994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에서 처서(處暑)10편이 당선해 등단했다.

 

시힘동인으로 활동하는 그는 동서문학상, 노작문학상, 소월시문학상, 미당문학상 등을 받았다.

 

시상은 32회 지용제기간(59~12)인 다음 달 11일 오후 4시 옥천읍 상계공원 특설무대에서 한다. 시상금은 2000만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