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가리, 호랑이 / 이정훈
나는 가끔 생각한다
범들이 강물 속에 살고 있는 거라고
범이 되고 싶었던 큰아버지는 얼룩얼룩한 가죽에 쇠촉 자국만 남아
집으로 돌아오진 못하고 병창[i] 아래 엎드려 있는 거라고
할애비는 밤마다 마당귀를 단단히 여몄다
아버지는 굴속 같은 고라댕이[ii]가 싫다고 산등강으로만 쏘다니다
생각나면 손가락만 하나씩 잘라먹고 날 뱉어냈다
우두둑, 소리에 앞 병창 귀퉁이가 와지끈 무너져 내렸고
손가락 세 개를 깨물어 먹고서야 아버지는 집으로 돌아갔다
아버지가 밟고 다니던 병창 아래서 작살을 간다
바위너덜마다 사슴 떼가 몰려나와 청태를 뜯고
멧돼지, 곰이 덜걱덜걱 나뭇등걸 파헤치는 소리
내가 작살을 움켜쥐어 물속 산맥을 타넘으면
덩굴무늬 우수리 범이 가장 연한 물살을 꼬리에 말아 따라오고
내가 들판을 걸어가면
구름무늬 조선표범이 가장 깊은 바람을 부레에 감춰 끝없이 달려가고
수염이 났었을라나 큰아버지는,
덤불에서 장과를 주워먹고 동굴 속 낙엽잠이 들 때마다
내 송곳니는 점점 날카로워지고
짐승이 피를 몸에 바를 때마다
나는 하루하루 집을 잊고 아버지를 잊었다
벼락에 부러진 거대한 사스레나무 아래
저 물 밖 인간의 나라를 파묻어 버렸을 때
별과 별 사이 가득한 이끼가 내 눈의 흰창을 지우고
등줄기 가득 가시가 돋아났다 심장이 둘로 갈려져,
아가미 양쪽에서, 퍼덕,
거,리,기,시,작,했,다
산과 산 사이
沼와 여울, 여울과 沼가 끊일 듯 끊일 듯 흘러간다
坐向 한번 틀지 않고 수 십 대를 버티는 일가붙이들
지붕과 지붕이 툭툭 불거진 저 산 줄기줄기
큰아버지가 살고 할애비가 살고
해 지는 병창 바위처마에 걸터앉으면
언제나 아버지의 없는 손가락, 나는
[i]'절벽'이란 뜻의 강원도 사투리
[ii] '골짜기'란 뜻의 강원도 사투리
[당선소감] "세 번 도리질했는데… 두 아이 이름 적어놓고 또 밤길을 줄여갑니다“
세상의 하고많은 배역 중 왜 제게는 나귀 한 마리와 끝없이 걸어야 하는 길이 주어졌는지
밤마다 손바닥을 들여다봅니다 후벼서 미안하다는 듯 흐르는 이 강을 오늘은 애수라고 불러봅니다 내가 강가에 마을 하나 지어놓으면 밤나무 두 그루와 낡은 슬레이트 지붕이 떠갑니다 뇌운 용항 도돈 판운 멀리 주천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여울 가 삐익 삑, 노루새끼 호드기 붑니다
고지를 받았을 땐 지실고개를 넘고 있었습니다 아니요, 세 번 도리질 했는데네 번 맞다고 해서 박달재를 넘을 땐말씀으로 수태한 처녀 같았습니다 딱! 밤톨 떨어지는 소리가 만종처럼 울려 다릿재 꼭대기 노을을 몰고 시속 팔십 킬로미터 붕붕 서쪽으로 달려갔습니다
그립고 고마운 이름이 왜 없겠습니까 만나경 해오니 두 아이의 이름 울금빛으로 적어놓고 또 밤길을 줄여야합니다
고형렬 선생님, 감사합니다
[심사평] 독특한 개성의 탄생… 신화적 상상력의 눈부신 질주 보는 듯
세 명의 심사위원이 투고작 전부를 나눠 읽고 거기서 추린 작품을 토대로 논의를 거듭한 결과 '쏘가리, 호랑이'(이정훈)를 당선작으로 결정하는 데 합의했다.
'쏘가리, 호랑이'를 비롯해 이정훈의 작품은 요즘 우리 시단에서 보기 힘든 신화적 상상력의 눈부신 질주를 보여준다. 그 상상력은 강물에서 헤엄치는 물고기를 산맥을 치달리는 호랑이로 치환시키는 마법을 가능케 한다. 우리 민족 고유의 향토적 풍광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 시는 마치 이 땅에 산업사회가 도래한 적이 없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킬 만큼 언어의 구체성과 밀도를 획득하고 있다. 이 독특한 개성의 탄생을 축하하며 다만 그의 시편들에 내포된 일종의 아나크로니즘(의도적인 시대착오성)을 앞으로의 시작을 통해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모색해주길 바란다는 권고를 덧붙이고 싶다.
'단풍나무 빵집'의 손현승은 심사위원들에게 오랜 망설임의 시간을 강요한 응모자였다. 대화체를 적절히 활용한 이 시는 대상이 되는 빵-빵집-빵집 여자에 범용한 일상성을 뛰어넘는 서정적 후광을 씌워주는 데 성공하고 있다. 삶을 바라보는 따스하면서도 원숙한 시선이 인상적인 이 시는 읽다보면 고소한 빵냄새가 주변에 감도는 듯한 풍미를 선사한다. 심사위원 구성이 조금만 달랐다면 최종 결과가 다르게 나왔을지도 모를 만큼 이 작품이 주는 매혹은 상당했다.
'곰이 돌아왔다'의 장유정도 아까운 응모자였다. 투고작 전부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 견고한 시적 형상화 능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미지의 조형이나 어조의 완급조절에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시적 발상이 새롭지 않다는 난점을 갖고 있었다.
이밖에 '누군가의 단검'의 김지연, '애플파이 레시피'의 고태관, '골목은 모퉁이를 돌면 막혀 있다'의 유병현, '불룩한 체류'의 이문정 등도 기억에 남는 작품을 선보인 응모자들이었다. 이들 모두에게 건필의 응원을 보낸다.
심사위원 황현산(문학평론가) 황지우(시인) 남진우(문학평론가 시인)
'신춘문예 > 한국일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 김복희, 윤종욱 (0) | 2015.01.05 |
---|---|
2014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 김진규 (0) | 2014.01.17 |
201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 류성훈 (0) | 2011.12.31 |
2011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 박송이 (0) | 2011.02.14 |
201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 김성태 (0) | 2011.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