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헛 눈물 / 신달자

 

 

슬픔의 이슬도 아니다

아픔의 진물도 아니다

한 순간 주르르 흐르는 한줄기 허수아비 눈물

 

내 나이 돼봐라

진 곳은 마르고 마른 곳은 젖느니

 

저 아래 출렁거리던 강물 다 마르고

보송보송 반짝이던 두 눈은 짓무르는데

울렁거리던 암내조차 완전 가신

어둑어둑 어둠 깔리고 저녁놀 발등 퍼질 때

소금끼조차 바짝 마른 눈물 한줄기

너 뭐냐?

 

 

 

 

살 흐르다

 

nefing.com

 

 

 

[심사평] 잘 구워진 언어의 사리

 

일찍이 한국시는 공초(空超) 오상순(吳相淳) 시인에 의해 눈을 떴고 그가 개척한 우주적 광활한 시세계를 딛고 오늘의 눈부신 팽창을 이루고 있다. 그 드높은 시의 정신을 받들고 기리기 위하여 제정된 공초문학상 제17회 수상작은 신달자 시인의 헛 눈물’(현대시학 20093월호)이 선정되었다. 공초문학상 운영조항에서 수상작 선정기준은 등단 20년 이상의 시인을 대상으로 인품이 훌륭하며 최근 1년간 발표한 신작시 가운데 수상작을 뽑는다.’로 되어 있다. 이 규정에 의해 선정된 신달자 시인은 40년 가까운 등단 햇수와 왕성한 창작 활동, 작품의 우수성, 인품의 고매함까지 모든 조건에서 상의 권위를 덧입히는 수상자라 하겠다.

 

수상작 헛 눈물은 겉으로 읽어도 저 공초가 해냈던 깊고 넓은 사유와 맞닿고 있음을 알겠거니와 글자들이 감추고 있는 뜻을 헤아려 들어가면 시인이 삶의 문턱을 얼마나 아프게 넘나들었으면, 또한 거기서 곪고 터진 생각을 얼마나 오래 깎고 다듬었으면 그 흔하고 비린 눈물을 이처럼 단단하고 빛나는 사리로 구워낼 수 있을까 하는 섬뜩한 궁금증을 자아낸다. ‘울렁거리던 암내조차 완전 가신에서 이승을 몇 바퀴나 돌아 나온 듯한 체관(諦觀)이 묻어 나오는가 하면 소금끼조차 바짝 마른 눈물 한줄기’, ‘너 뭐냐?’고 던지는 화두가 비어 있음()조차 넘어서는() 경지가 아닌가.

 

오늘의 시가 산문 쪽으로 넘어가고 낯설게 하기라는 탈을 쓰고 본래의 모습을 지워가고 있음에 비하여 신달자 시인은 시의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언어의 절제성과 명료성으로 그 울림의 폭을 드넓게 열어 가며 꾸준하게 앞서 나가고 있다. 이 수상의 후보에 그의 시선집 바람 멈추다가 참고되었음을 밝힌다.

 

- 심사위원 조오현 시조시인, 임헌영 중앙대 교수, 이근배 공초숭모회 회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