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골 / 송진권
고종내미 갸가 큰딸 여우살이 시킬 때 엇송아지 쇠전에 넘기구
정자옥서 술국에 탁배기까정 한잔 걸치고 나올 때는 벌써 하늘
이 잔뜩 으덩그려졌더랴 바람도 없는디 싸래기 눈이 풀풀 날리
기 시작혔는디 구장터 지나면서부터는 날비지 커튼 함박눈이 눈
도 못 뜨게 퍼붓드라는구만
금매 쇠물재 밑이까지 와서는 눈이 무픞꺼정 차고 술도 얼근히
오르고 날도 어두어져오는디 희한하게 몸이 뭉근히 달아오르는
디 기분이 참 묘하드라네 술도 얼근허겄다 노래 한자락 사래질
꺼정 해가며 갔다네 눈발은 점점 거치고 못뚝 얼음 갈라지는 소
리만 떠르르하니 똑 귀신 우는 거거치 들리드라는구만
그래 갔다네 시상이 왼통 허연디 가도 가도 거기여 아무리 용을
쓰고 가두 똑 그 자리란 밝고 뺑뺑이를 도는겨 이러단 죽겄다 싶
어 기를 쓰며 가는디두 똑 그 자리란 말여 설상가상으로 또 눈
이 오는디 자꾸만 졸리드랴 한걸음 띠다 꾸벅 이러면 안된다 안
된다 하믄서두 졸았는디
근디 말여 저수지 한가운디서 누가 자꾸 불러 보니께 웬 여자가
음석을 진수성찬으로 차려놓고 자꾸 불런단 말여 너비아니 육포
에 갖은 실과며 듣도 보지 못한 술냄새꺼정 그래 한걸음씩 들어
갔다네 눈은 퍼붓는다 거기만 눈이 안 오구 훤하드랴 시상에 그
런 여자가 옶겄다 싶이 이쁘게 생긴 여자가 사래질하며 불런께
허발대신 갔다네
똑 꿈속거치 둥둥 뜬 거거치 싸목싸목 가는디 그 여자 있는 디
다 왔다 싶은디 뒤에서 벼락커튼 소리가 들리거든 종내마 이놈
아 거가 워디라고가냐 돌아본께 죽은 할아버지가 호랭이 커튼 눈
을 부릅뜨고 지팽이를 휘두르며 부르는겨 무춤하고 있응께 지팽
이루다가 등짝을 후려치며 냉큼 못나겄냐 뒤징 줄 모르구 워딜
가는 겨
얼마나 잤으까 등짝을 뭐가 후려쳐 일어서 본께 당산나무에 쌓
인 눈을 못 이겨 가지가 부르지며 등짝을 친겨 등에 눈이 얼마
나 쌓였는지 시상이 훤한디 눈은 그치고 달이 떴는디 집이 가는
길이 화안하게 열렸거든 울컥 무서운 생각이 들어 똑 주먹 강생
이 거치 집으로 내달렸다는디 종내미 갸가 요새두 당산나무 저
티 가믄서는 절해가며 아이구 할아버지 헌다누만
무수 / 송진권
숱한 세월이 흘렀는디두 어제 일 겉다야
눈이 어둔 우리 고모 시래기 거튼 푸석한 손으로
막걸리 자신 입을 훔치며 무짠지 집어들고
찬찬히 그때를 짚어보시는디
하늘이 무수 대강이에 오른 파랑물 같은 봄날
해토한 움을 열고 우리 고모부 고종남씨 무수를 꺼냈겄다
삼동을 날 동안 무수 하나로 조석을 해댄
억척배기 우리 고모 박딸금씨도 그 저티서
광우리 무수를 담고 있었는디
얼렐레
내남적없이 하 배고픈 봄날에 박딸금씨
기중 못난 무수 하날 골라
쓱쓱 광목치마 말기에 닦아
한입 베물려는디
담배참으로 아지랑이나 쳐다보며 해찰하던
고모부 고종남씨가 여편네 고쟁이 새로 뵈는 무수 거튼
허연 다리통을 보고 만 거라
마음이 동한 고종남씨 싫다는 고모를 끌고
물 마른 봇도랑 새로 들어가
일을 벌이셨다는디
어따야
쉰밥 취급하던 여편넬 그리 장하게 밀고 들어온 적이 없었다는디
갓 날아온 제비년들이
전깃줄에 나리비로 앉아서들
난 다 봤는디
다 봤는디 머
하 입싸게 놀려대고
입 무거운 굴왕신마저도 움 속에서
우멍한 눈을 거멓게 뜨고는 신들신들 웃었다는디
낯 붉어진 박딸금씨
주섬주섬 광우리 무수를 이고
지아비 앞세우고 동네 입새 들어섰는디
삼동네 꽃다지 번지드끼
매초롬한 제비년들 입방아를 찧고 다녀
몇날을 얼굴을 못 들고 댕겼다는디
그 고모부 동란 때 잃고
삼남매 혼자 키워낸
아직 정정한 우리 고모 박딸금씨
아흔에서 둘이 빠지는 미수(米壽)
무수만 보믄 얼굴이 붉어진다고
갓 시물 난 시악시 겉다고
막걸리 대접 부시며
아직도 보얀 다리통 드러내며
희벌쭉 웃으시는 우리 고모 박딸금씨
시상 최고로 맛난 건
겨울 지난 무수 낫으로 썩썩 삐져 먹는 거라고
체머리 흔들며 말씀하시지요
아덜 앞에서 못하는 소리가 없다고
며느리한테 퉁박을 맞으면
애고 무시라
애고 무시라 하시믄서두요
당선작: 송진권 「절골」 외 4편
당선자 약력: 송진권(宋鎭權)
1970년 충북 옥천 출생. 방송대 국문과 졸업. 대전지역 관리역 대전조차장역 근무.
심사위원: 이시영 최정례 박형준 (시인)
본심 진출작: 총 583명의 응모자 중 아래 24명의 작품이 본심에 진출함.
고원효(파주) 「헌책방」 외
권오영(수원) 「그린 공원에 앉아 있는 노인들」 외
김성환(필리핀) 「등꽃을 보듯」 외
김영한(천안) 「판」 외
김윤희(서울) 「화장하는 남자」 외
박민규(인천) 「프루스트 형사와 함께 이 밤을」 외
성향숙(수원) 「노인과 시계」 외
송진권(대전) 「절골」 외
신재호(순천) 「시골場」 외
여은하(서울) 「인도 시편 5」 외
유재혁(서울) 「콜라캔」 외
윤진화(서울) 「일식」 외
이 반(남양주) 「금촌에서의 기억」 외
이세경(천안) 「무덤이 보이는 길」 외
이해존(서울) 「고시원」 외
이호준(서울) 「象徵들」 외
임영옥(춘천) 「수유(授乳)」 외
임재정(남양주) 「즐거운 수리공」 외
장희정(서울) 「옷걸이에 걸린」 외
전 현(시흥) 「은사시나무는 은사시나무의 길을 간다」 외
정재원(대구) 「울 할배 후치-질할 때」 외
주영중(서울) 「고요한 적의」 외
주향호(서울) 「낙수(落穗)」 외
황경민(서울) 「인석이형네 아침풍경」 외
창비신인시인상 심사평
공동당선작을 낼 뻔할 정도로 좋은 시들이 많았다. 영혼의 꽃바구니에서 꺼낸 삶의 마술은 갈수록 우리 시의 침체가 심화되는 현실에서도 용기를 잃지 않는 신인들의 패기를 입증하는 것이었다. 특히 그들이 바라보는 세계는 여러 층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콜라캔으로 대변되는 도시 삶의 비애에서부터 청춘의 열정을 소진하던 80년대의 도시 외곽 풍경을 지나 농촌공동체의 한 끄트머리에 매달린 설화적 공간에 이르기까지 빼곡한 지층으로 이뤄져 있었다. 문제는 이러한 다채로운 지층에서 내밀한 시적 생명성을 바탕으로 사회와 자연 등의 사물과 다리를 놓는 새로운 상상력을 발견하는 일이었다.
이번 창비신인시인상 심사는 세 명의 심사위원이 예심과정에서부터 참여하여 세심한 분석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시적 개성을 소중하게 키워나가는 좋은 신인을 여럿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막상 본심 뚜껑을 열어보니 단 한명의 신인을 골라내는 일은 여간 힘든 것이 아니었다. 시는 시인의 시선과 감정이 잘 녹아 있을 때 설득력을 발휘하는데, 이 양자가 행복한 결합을 이룬 시로 세 심사위원이 선뜻 동의한 신인이 쉽게 결정되지 않았다. 시인의 시선이 뛰어나면 감정의 무게가 부족했고, 이와 반대로 풍부한 감정이 잘 살아 있으면 새로운 시선이 부족했다. 시란 인간의 눈으로 보고 인간의 감정으로 느끼고 인간의 머리로 생각해서 표현하는 장르이기 때문에 작품을 쓴 사람의 사상과 시인의 눈 속에 들어온 형상의 결합이 시를 만드는 가장 큰 요소이다.
본심에서 논의된 신인은 모두 4명이었다. 이 중에서 김윤희의 시는 한국어의 순도높은 서정을 보여주는 안정성이 단연 돋보였으나 돌출된 언어구조가 빚어내는 매력이 부족했다. 또 자신만의 시적 스타일로 언술의 새로움을 추구하는 권오영의 시는 매력적 시세계에 비해 투고된 시작품이 균질하지 않았다. 특히 권오영의 시를 읽으면서 안타까운 것 중 하나는 공모제에서는 많은 시를 투고하는 것보다 자신의 시라고 해도 정해진 편수에서 시적 개성과 완성도를 보여줄 수 있는 작품을 스스로 가려뽑을 줄 아는 감식안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당선자로 집중 논의된 신인은 송진권과 임재정이었다. 세 심사위원은 침묵과 설득이 번갈아 오가는 과정에서 두 신인을 공동당선자로 결정하자는 의견이 모아지는 듯했다. 그러나 한 심사위원이 끝내 임재정의 시가 당선작으로 하기에는 시적 높이가 그렇게 우수하지 않다는 부정적인 의견을 냈고, 자연스럽게 당선작은 송진권의 시로 결정되었다.
임재정의 「즐거운 수리공」외 4편은 젊은 세대의 감수성을 랩의 언어의 발랄하게 표현한 새로운 감수성이 인상적이었다. 가령 무거운 소재를 가벼운 어조로 치환하는 독특한 어법은 무덤 파는 포크레인을 ‘정원사’로 노래하는 「내 친구는 정원사」라는 시편에서 빛을 발한다. 포크레인에게서 “황토밭 위를 내닫는 소나기”를 발견하거나 “장지(葬地) 한쪽에 쉴 때면 합장하는 품새가 대찰 큰스님”이라는, 그러니까 가벼움과 무거움이 교차하는 시선의 발굴은 새로운 어조에 의해 흥겨움마저 선사해준다. 하지만 투고된 다른 시편들은 시적 대상을 표현하는 데서 개연성과 시적 깊이가 부족하고 재치에 흐른 단점이 있다.
송진권의 시는 본심에 회부된 통과작 중에서 세 심사위원이 각자 마음에 둔 시에 모두 포함될 만큼 생생한 설화적 풍경이 압권이었다. 그는 시를 만들지 않고 스스로 즐기면서 신명나게 분출한다. 구성지면서 입에 착착 달라붙는 말랑말랑한 언어의 묘미로 빼어나게 살린 충청도 사투리, 거기에 걸맞은 어휘 선택, 가난과 설화의 현실마저 경쾌하게 그려낸 우리 전통의 익살스러운 가락이 일품이다. 그러나「절골」「무수」두 작품이 이러한 높은 시적 성과를 거둔 반면 나머지 투고작은 상대적으로 우려의 심사를 던져준다. 과다하게 사투리로 상황을 설명하면서 지나치게 과거 편향적인 측면은 앞으로 이 신인이 현대 도시의 일상을 그릴 때 얼마큼 고뇌의 흔적을 보여줄지 조금 걱정스럽게 한다. 앞으로 이 신인이 신명의 언어로 시선의 다양성과 감정의 균형을 이룬, 뛰어난 시인으로 거듭나 우리의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켜줄 것을 기대한다.
[심사위원: 이시영 최정례 박형준]
'문예지 신인상 > 창비신인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회 창비신인시인상 당선작 (0) | 2011.07.28 |
---|---|
제5회 창비신인문학상 (0) | 2011.07.28 |
제3회 창비신인문학상 (0) | 2011.07.28 |
제2회 창비신인문학상 (0) | 2011.07.28 |
제1회 창비신인문학상 (0) | 2011.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