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와 이야기 / 이수윤
육차선 도로가 생기고
청과물 도매시장이 부쩍 몸피를 키워
산 밑의 각화동 마을은 몸을 더 엎드린다
예쁜 눈썹으로 웃는 기와는
알고 보면 지나온 이야기가 무거워
한평생 돌아눕지도 못한 거였다
아팠던, 그리고 달던 들숨과 날숨의 흔적에
풀꽃을 피우며 결리는 어깨뼈를 겯고
너나들이를 한다
그러다 문득
세월은 생각을 돌려놓는 큰손이라며
기와는 가끔씩 스스로를 돌아본다
된장 꽃으로 핀 푸른곰팡이도 밉지만은 않은 객
선선히 걷어내면 풋고추가 달다는 어머니는
먼데 소식에 귀를 세우는 능소화
하늘을 능멸하고 조소하는 그것을 왜 심으셨나
기와는 말없이 다 알고 있다
어머니의 젊음, 비릿한 날개를 단
붉은 꽃잎이 기와의 머릿속에 별처럼 누벼질 때
어머니는 오이냉국에 찬 밥 한 그릇의
밥상을 받기 위해 칠십 평생 달려온
밭고랑을 또 달린다
모서리가 닳아서 어머니 같은 기와 속엔
시간의 붉은 피가 이야기로 갇혀 있다
[당선소감] "매몰 직전 당선 감사"
부활, 아기 예수의 탄생을 알리는 캐롤이 울려 퍼지는 오늘, 향기로운 전령이 도착했다.
뜨겁게 숨쉬다가 젖은 채 식어버렸던 나의 클론들아 지하에서나마 귀를 열고 들어라.
내가 지금 겪고 있는 이 부활은 고스란히 너희의 몫이구나.
늦었지만 이 소중한 소식이 어두웠던 너네의 전생을 위로하겠니?
얼음 구유에서 식어가며 토해냈을 원망의 자모들을 분리해서 백지 위에 촘촘히 세운다면, 물고기 알 같은 나의 생리를 용서하겠니?
아테나의 분노 속에서 억울하게 사라져간 나의 아라크네여,
환한 등불이었던 너의 작품이 그 긴 세월 내게 보낸 응원을
헛되지 않게 하겠다.
내 안의 나야, 눈 속의 눈으로만 보이는 건강하게 솟구치는 귀두를 영접할 수 있겠니? 이제부터 태어나는 분신들의 진화를 고스란히 감당하겠니?
또 수 개의 물음표를 안았다. 치열하게 궁금해 하며 살아가야 할 나의 의무가 행복하다. 문학의 궤도를 벗어나 산 세월, 안드로메다처럼 여기실 존경하는 선생님들 제가 이렇게 살아있었습니다.
어버이 같으신 전원범 선생님, 광주대 대학원 문창과 선생님들, 이름도 아득하실 허형만 선생님, 부지런하고 씩씩한 서연정시인, 금초문학 동인님들, 우리시 동인님들. 희곡에 머리 부딪히고 몽롱하던 지문과 대사 여러분 그동안의 잠적을 용서하시겠습니까? 매몰당한, 압사 직전의 저를 발굴해주신 심사위원 선생님 큰절 올립니다. 따뜻한 자리 마련해주신 전남일보사에도 감사드립니다.
폭서에도 얼어붙는 나의 냉기를 함께 참아준 진, 영, 용, 우야 사랑한다. 부모님, 감사합니다.
[심사평] "평범한 삶의 풍경 따스한 표현"
예심을 거쳐 선자에게 이른 서른 분의 작품을 차례로 읽는 동안 변화가 있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응모 편수가 장르 불문하고 두 배로 늘었다는 담당 기자의 전언이 있었거니와 본심에 오른 작품들의 수준이 상당한 것이었다.
본선에 오른 작품들을 숙독하는 과정에서 선자의 초점은 새로움이었다. 삶과 언어를 대하는 관점이 새로우면서도 이미지의 전개 속에 시인이 꿈꾸는 따뜻한 유토피아가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았다. 윤은희, 이병승, 고민교, 김재준, 최인숙, 정영희, 이명순, 일곱 분의 작품들이 최종심에 남았다
윤은희, 이병승, 고민교 씨의 응모작품들은 자유롭고 열린 시 세계를 지니고 있었다. 대상을 거칠게 몰아가는 힘이 느껴졌고 상상력의 분출 또한 보기 좋은 것이었다. 문제는 이 시편들이 인간의 삶을 보다 따뜻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승화 시킬 수 있는가? 하는 것이었고 세계를 끌어안기에 이 진술들은 개인적인 사유 쪽에 더 머물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김재준, 최인숙 씨의 작품들은 전아한 품격을 지니고 있었다. 고전적인 소재와 언어 속에서 오늘의 모습을 찾는다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창작의 주요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전아함이 새로운 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정신의 깊이를 지녀야 할 것이다.
최종까지 선자에게 남은 작품은 정영희 씨의 '봄, 감전되다' 와 이명순 씨의 '기와 이야기'였다. 정영희 씨의 작품들은 언어가 지닌 풋풋한 상상력의 꿈이 최대의 아름다움이었다. 한 무리의 냉이꽃이 하얗게 잔물결 진다/ 마당 가득 돋아난 저릿한 음표를 밟고/ 고양이 한 마리 지나간다/와 같은 서정의 전개는 요즘 우리 시에서 보기 드문 것이었다.
이명순의 '기와 이야기'는 우리 일상 주위에서 찾을 수 있는 평범한 삶의 풍경을 노래한 것이다. 따스한 힘이 핏줄로 스며드는 우직한 느낌이 있다. 두 분의 작품 중 어느 분을 당선작으로 선정할 지 선자에게 몹시 난해한 일이었다. 숙고 끝에 '기와 이야기'를 당선작으로 결정하면서도 자꾸만 정영희 씨의 작품들을 돌아보게 된다. 우직하게 다가오는 따뜻한 삶의 꿈을 선자가 새로움으로 해석한 결과이지만 정영희 씨의 미래에도 함께 박수를 보낸다.
심사위원 곽재구 시인ㆍ순천대 교수
'신춘문예 > 전남일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전남일보 신춘문예 / 송혜영 (0) | 2011.02.13 |
---|---|
2010년 전남일보 신춘문예 / 정도전 (0) | 2011.02.13 |
2008년 전남일보 신춘문예 / 조다윗 (0) | 2011.02.13 |
2007년 전남일보 신춘문예 / 안오일 (0) | 2011.02.13 |
2006년 전남일보 신춘문예 / 정동철 (0) | 2011.02.13 |